슈퍼 다이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구분
명칭
그랜드 투어러
슈퍼 GT
오픈휠
슈퍼 포뮬러 | 슈퍼 포뮬러 라이츠 | 포뮬러 지역 일본 챔피언십 | FIA 일본 F4 | 포뮬러 비트 | 슈퍼 FJ
내구 레이스
슈퍼 다이큐
투어링카
TCR 일본
랠리
JAF 전일본 랠리 챔피언십
짐카나
JAF 전일본 짐카나 챔피언십
카트
JAF 전일본 카트 챔피언십
원메이크
인터프로토 시리즈 | 86/BRZ 레이스 | 야리스 컵 | VITA Race | 교조 컵





슈퍼 다이큐
スーパー耐久

정식 명칭
2023년 에네오스배 슈퍼 다이큐 시리즈 파워드 바이 브리지스톤
영문 명칭
Eneos Super Taikyu Series 2023 Powered by Bridgestone
창설
1991년 N1 다이큐 시리즈
주최
전일본 자동차 모터스포츠 협회 (JAF)
타이어 공급 업체
파일:브리지스톤 로고.svg
웹 사이트
홈페이지

1. 개요
2. 클래스
3. 일정
3.1. 2023 시즌



1. 개요[편집]


슈퍼 다이큐는 1991년 창설된 N1 다이큐 시리즈를 이어받아 2005년부터 개최된 일본의 내구 레이스 시리즈이다. 원래는 순수한 차량의 내구성을 겨루는 시합으로 개조가 거의 안 이루어진 양산차들만 출전하는 대회였지만,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허용된 커스터머 규격 레이싱카도 허용된다.

차량 규정은 ST-X나 ST-Z를 제외하면 그룹 N이나 A로 한정되어 있다. 그룹 B도 특별 허가만 있으면 출전은 되는데 1,200만엔 넘어가면 못 나오게 막는다. 또한 타이어 선택권은 없다. 명칭 보면 딱 떠올릴 수는 있다.

국내에서는 2007년 태백 스피드웨이에서 드라이버들이 한국을 방문, 한국인 드라이버들과 KT건설 태백 SUPER300 국제 자동차 경주대회로 경기를 벌인 바 있으며[1], 2011년 한국에서도 열릴 예정이었으나 동일본 대지진으로 열리지 못하고, 2013년 인제 스피디움에서 경기가 열린 바 있다. 한국인 드라이버들도 참전한 경력이 있는 대회인데, 2000년대 초반에 박정룡, 김한봉, 김의수 선수가 이 대회에 참가한 전력이 있다. 가장 최근 참전자는 이정우 선수로 후지 24시간 스팟 참전.

타이어는 2011년부터 요코하마 타이어 원메이크로 열리다가 2018년부터 피렐리로 변경, 2021년부터 한국타이어가 공급했다가 2023년 제2전 한정으로 브리지스톤+한국타이어 체제로 바뀌었다.[2] 2022년부터 메인 타이틀 스폰서로는 일본의 에너지 관련 기업인 ENEOS가 참가한다.


2. 클래스[편집]


배기량에 따라서 클래스 숫자가 정해진다. 레이스카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사용. FIA 그룹 A 기준을 따라 터보차져가 들어간 가솔린 차량의 경우 배기량에 1.7을 곱한다. 이로 인해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스바루 임프레자와 그 변형모델인 WRX는 모두 2리터 모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ST-2로 편성되었다.

참가 차량 문제로 여러번 클래스 변경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 변경은 2022년 시즌이다.

  • ST-X
2012년에 ST-GT3이란 명칭으로 출범한 클래스로 대회 내 최상위 클래스. SRO가 주도해서 제정한 FIA-GT3 차량이 사용된다. 단, 플래티넘 드라이버[3]는 팀당 한 명 이하로만 참여가 가능하다. 종합우승도 여기서 나온다. 현재의 이름은 2014년부터 사용했으나 슈퍼 GT와의 경합[4] 문제도 있어서 참가차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

  • ST-TCR
2017년부터 시작한 TCN-2 전용 클래스. 등장 초기에는 ST-R이라는 명칭이었다.

  • ST-Z
2017년 ST-TCR과 같이 출범했으며, 벨기에 규격인 RACB GT4 차량이 사용된다. 플래티넘 드라이버는 여기에도 팀당 한 명 이하로만 참여가 가능하다. 관대하다[5] 일본에서 GT4가 참여하는 대회가 거의 없기 때문인지 알파벳 클래스 중에서는 가장 많이 참여한다.

  • ST1
3,500cc 초과 차량이 들어가는 클래스다. 구동방식은 제한 없음. 하지만 GT3 모는 게 낫다고 봐서 ST-X로 쑥쑥 넘어가는 바람에 많이 축소되었다. 초기에는 닛산 스카이라인 GT-R 천하였지만, 이후 BMW, 포르쉐 등이 이 클래스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 ST2
2,400cc 초과 3,5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된다. 구동방식은 본래 사륜구동만 허용되었으나 2018년부터 전륜구동 차량도 참여가능한 클래스로 변경. 과거 여기에 란에보와 임프레자 혹은 WRX 라는 깡패가 있어 사실상 둘만의 싸움이었고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란에보 원메이크 체제였고, 2013년부터 다시 한번 둘만의 싸움을 벌였다. 이후 2016년에 란에보가 단종되면서 WRX 독무대로 변한 상황이지만, 2018년부터 규정이 바뀌면서 ST3에서 활동하던 마쓰다 3 디젤 모델이 이 클래스로 참전했으며 2019년에 혼다 시빅 타입 R이 스팟 출격하고 2020년에 토요타 GR 야리스가 참전하면서 클래스에 나오는 차량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2022시즌부터 종래의 2,000cc에서 2,400cc로 변경되었다.

  • ST3
ST2와 배기량 범위는 같지만, 후륜구동만 허용된다. 과거에는 전륜구동차들도 이 클래스에 나왔지만, 2018년 규정 변경으로 전륜구동 차량은 ST2로 이동했다. 2021년 대표적인 차량은 닛산 페어레이디 Z, 토요타 크라운, 렉서스 RC350.

  • ST4
1,500cc 초과 2,0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됐으나, 2022년 규정변경으로 2,400cc로 확대됐다. 혼다 인테그라가 단종된 이후 토요타 86이나 마쓰다 로드스터 중심으로 흘렀지만, 토요타 86의 2세대 모델인 GR86이 2.4리터 엔진을 얹으면서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자, 규정이 변경된 셈.
  • ST5
가장 낮은 클래스로, 1,5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된다.

또한 7대 미만이 참여한 클래스는 빈집털이 못하게 상위 클래스로 편입된다. 클래스별 결과지는 따로 나오지만, 승점은 상위 클래스와 통합하여 매기고, 우승 트로피도 따로 나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참가 신청한 팀이 ST1 2대, ST2 5대, ST3 3대, ST4 7대, ST5 5대이면 ST5는 차량 부족으로 개최되지 않고, ST4가 12대로 진행된다. ST4는 최소 조건을 이미 만족했으니 개최 확정. ST3 역시 차량 대수 부족으로 없어지고 ST2에 편입된다. ST2는 신청 차량이 5대라서 최소 조건을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ST3에서 3대를 끌어오면 8대가 되므로 ST1으로 편입되지 않고 그대로 개최된다. ST1은 더 위가 없으므로 그대로 개최 확정.


3. 일정[편집]



3.1. 2023 시즌[편집]


2023 레이스 일정
일시
라운드
장소
개최지
3/18~19
R1
스즈카 서킷
파일:일본 국기.svg
5/26~28
R2
후지 스피드웨이
파일:일본 국기.svg
7/8~9
R3
스포츠랜드 스고
파일:일본 국기.svg
7/29~30
R4
오토폴리스 서킷
파일:일본 국기.svg
9/2~3
R5
모빌리티 리조트 모테기
파일:일본 국기.svg
10/21~22
R6
오카야마 인터내셔널 서킷
파일:일본 국기.svg
11/18~19
R7
후지 스피드웨이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4:03:51에 나무위키 슈퍼 다이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당시 카게야마 마사미, 사카구치 료헤 선수 등 국내 무대에서 활동하거나 이후 활동한 드라이버들이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킥스 레이싱팀의 조항우, 안석원, 오비탈레이싱의 이문식(2021년 현재 플릿퍼플모터스포트의 감독인 그 분 맞다.) 등의 6명의 선수가 3대의 차량으로 참가. 당초에는 당시 열리던 GT마스터즈의 14대와 DDGT, 슈퍼레이스에 참가하던 4대를 포함해 18대가 예정되었지만, GT마스터즈쪽의 사정이 여의치 못해서 3대만 참가했다.[2] 사유는 당연히 이것 때문. 하필 왜 2전인가 싶은데, 슈퍼 다이큐 운영기구 사무국장인 쿠와야마 하루미의 말에 의하면, 이 체제로 가지 않으면 남은 일정이 취소될 수 있기 때문에, 23시즌 2전은 슬릭은 브리지스톤, 웨트는 한국타이어의 것을 쓴다고 한다.# 당초 스폰서 계약은 2024년부터였으나 사정이 급해서 2전에 슬릭타이어만 제공하고 3전부터 들어가는 거로 변경되었다.[3] FIA 라이선스 기준으로 플래티넘 항목을 2개 달성한 드라이버. 예를 들어 르망 24시 LMP1 클래스에서 우승하고, F1 데뷔에 성공했으면 2개 만족으로 플래티넘이다. 또한 플래티넘 과제 중 골드 3개 달성도 있어서 플레티넘 1개, 골드 추가로 2개(골드 조건 중 플레티넘 항목 1개 만족이 있다.) 달성해도 인정된다.[4] GT3 차량은 슈퍼 GT의 GT300 클래스에도 참여할 수 있다.[5] 일반적인 GT4 대회에는 실버 이하 라이선스만 참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