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턴(포켓몬스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include(틀:포켓몬 기술, 벌레=, 물리=,
파일=유턴.jpg,
한칭=유턴, 일칭=とんぼがえり, 영칭=U-turn,
위력=70, 명중=100, PP=20,
효과=공격한 뒤 굉장한 스피드로 돌아와서 교대 포켓몬과 교체한다.,
성질=접촉)]

포켓몬스터기술. 4~7세대 기술머신 89번, 레츠고 시리즈 기술머신 18번, 8세대 기술머신 56번, 9세대 기술머신 060번.

원 기술명은 とんぼがえり로, '(목적지에 닿자마자)바로 되돌아감'을 의미. 잠자리를 뜻하는 とんぼ가 들어가기 때문에 벌레 타입이 붙었다.

상대에게 대미지를 주면서 동시에 교체하는 기술. 유턴에 의한 교체는 상대의 교체를 막는 특성[1]으로도 막을 수 없다. 다만, 배턴터치와 다르게 따라가때리기의 효과 대상은 되기 때문에 따라가때리기가 나오는 경우라면 주의해야 한다.

상대가 유턴을 쓴 자신보다 빠르면 따라가때리기가 먼저 들어가기 때문에 1배로 들어가고, 상대가 자신보다 느리면 따라가때리기는 2배로 들어간다.

또한 유턴을 썼다면 반드시 교체가 이루어져야한다는 것도 주의점. 단, 자신의 남은 포켓몬이 한 마리밖에 없다면 교체 없이 대미지만을 입힌다.

당연히 실전에서도 응용도가 높은 기술. 우선 불리한 대면에서 내 쪽이 포켓몬을 교체해야 되는데 내 포켓몬이 상대 포켓몬보다 빠를 경우, 교체기를 통해 상대에게 딜을 넣으면서 턴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대면에서 상대측의 교체가 예상되는 경우, 상대방이 교체하는 타이밍에 맞추어서 맞교체를 통해 유리대면을 유지할 수 있다. 당연히 그냥 포켓몬을 교체하는 행위가 교체기보다 우선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교체기를 통해 포켓몬을 바꾸는 쪽은 상대의 포켓몬을 보고 내보낼 포켓몬을 고를 수 있다. 물론 상대측의 스피드가 더 빨라 먼저 교체기가 나가는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참고로 피해를 줄 수 없다는 점만 제외하면 바톤터치 역시 위와 동일한 방식의 운용이 가능하다. 다만 대미지를 입힐 수 없기에, 랭크업과 병용하는 게 아니면 효율은 훨씬 떨어지는 편. 바톤터치는 배우는 포켓몬이 적고 주 용도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자주 보이는 상황은 아니지만.

구애 시리즈[2]를 착용한 포켓몬은 상대의 교체 타이밍을 읽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인데, 유턴은 그 턴에 상대가 교체를 하는지 안 하는지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해 준다. 이른바 정찰용인 셈.

추가로 일부 날씨팟 유저들의 고단수 플레이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기라스글라이온을 내보냈는데 저쪽에서 교체로 잔비 왕구리눈설왕 정도가 나왔다. 그러면 마기라스를 교체해 넣고, 글라이온이 유턴으로 돌아와 다시 마기라스를 내보내 날씨를 다시 바꿀 수 있다.

그래서인지 유턴은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은 그다지 많은 편이 아닌데도, 성능이 우수한 포켓몬이 꽤 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피죤투, 파이어로를 포함한 새 포켓몬은 상당수가 배운다. 그 정도가 아니라 보만다, 망나뇽, 리자몽 정도를 제외하면 날개 달린 포켓몬은 다 배운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외에 플라이곤, 글라이온, 핫삼, 크로뱃, 비조도[3], 메가독침붕 등등. 특히 플라이곤이 한카리아스와는 차별화가 가능해진 요소로 유턴을 빼놓을 수 없다. 메가독침붕은 적응력 보정을 받아 무려 위력 140의 유턴을 쓴다. 거기다 150의 높은 공격이 합해지면 매우 끔찍할 것이다.

4세대에서 호일이 유턴을 이용해 치고 빠지면서 딱충이나 단데기로 바꾸는 전술을 사용한다.

5세대부턴 전기 타입 특수기 버전인 볼트체인지가, 8세대에서는 물 타입 물리버전인 퀵턴이 추가되었다. 단, 후술한 둘은 각각 타입이나 특성을 통해 무효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에 실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전기나 물 타입이 일관성이 훨씬 좋긴 하지만 교체기를 사용하는 것이 상대에게 큰 딜을 우겨넣는 목적이 아닌 것을 고려해보면 유턴이 다른 두 기술의 상위호환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배우는 포켓몬들의 타입이 크게 한정된 볼트체인지와 퀵턴과 달리 유턴은 벌레나 조류뿐만 아니라 몸놀림이 빠른 포켓몬들도 배울 수 있어 접근성이 압도적으로 좋기도 하다.

BW2에서 추가된 토네로스의 영물폼은 특성이 재생력인데 이 유턴을 배울 수 있어서, 사용하면 공격+교체+회복이 가능한 일석삼조의 기술이 된다.

참고로 유턴을 사용한 뒤 상대가 5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탈출버튼'으로 되돌아가거나 7세대에 추가된 갑주무사의 '위기회피' 특성 등으로 교체할 경우, 유턴의 교체 기능은 무효화된다. 이는 볼트체인지도 동일.

이런 유틸성이 너무 뛰어나고, 무효로 막히는 경우가 위기회피, 탈출버튼, 껍질몬 이외에에는 거의 없다 보니 벌레 타입 공격의 일관성 개선을 가로막는 기술이 되었다.[4] 벌레 타입 자속을 살려야하는 벌레 타입 포켓몬들은 타점도 안 좋은데 자체 성능도 나사빠진 주력기에 의존해야하는 반면, 일부 사기 포켓몬들은 유턴으로 치고 빠지는 플레이가 워낙 역겹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에, 벌레 타입의 타점을 개선시키면 참사가 일어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5] 이런 유턴의 사기성과 벌레 타입의 비참한 입지에 환멸을 느끼는 유저들은, 벌레 타입 포켓몬들과 일부 조류/격투 포켓몬들 정도를 제외하면 배우는 포켓몬들에 제한을 둬야 한다는 입장도 자주 나온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게임 특성 상 교대하는 효과는 없지만, 선공기와 판정이 똑같아서[6] 상대를 안전하게 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초 불가사의 던전부터는 전방 단일 공격으로 너프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6:49:29에 나무위키 유턴(포켓몬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미지옥, 그림자밟기 등[2] 구애스카프, 구애머리띠, 구애안경.[3] 나오자마자 속이기로 약간의 대미지를 입히면서 기합의띠, 옹골참, 멀티스케일 등을 무력하시킨 뒤 유턴으로 대미지를 입히며 돌아가서 재생력으로 생구 대미지를 회복하는 기술-특성-도구의 환상의 조합.[4] 뛰어난 유틸성을 가진 에스퍼 타입 기술들인 사이코쇼크어시스트파워는 유턴 만큼 배우는 포켓몬들도 많지 않은데다, 특수막이 파훼/고랭크업 스위퍼의 주요 서브웨폰으로서 사용되기에 유턴에 비하면 범용성이 떨어지고, 악 타입에 무효화되는 고질적 단점 또한 존재해서 특정 타입 개선을 억제할 만큼 사기적이지는 않다.[5] 실제로 풀/악, 풀/에스퍼 타입 포켓몬들은 자체 약점도 많지만 결정적으로 이 비자속 유턴에 4배를 찔릴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6] 사용자와 목표 사이에 동료가 끼어 있을 경우 동료를 뛰어넘어 공격하는 것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