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어뢰

덤프버전 :

1. 개요
2. 발전



1. 개요[편집]


사람이 탑승하는 어뢰. 이름과 달리 결코 자폭 병기가 아니고, 대부분은 당연히 '잠수부들이 살아 돌아오는 것'을 전제로 만든 무기다. 쉽게 말하자면 어뢰보다는 1~2인승 정도의 초소형 특수전 침투 잠수정에 더 가까운 병기다.

이런 어뢰의 존재는 단 하나. 당시에는 현대같은 유도 무장을 만들 기술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어뢰란 유도 장치가 없는 수중 로켓을 의미했다. 당연히 명중률은 기대할 수 없는 판. 때문에 비교적 근거리까지 사람이 직접 어뢰에 탑승해 조준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된 어뢰이다. 해저라면 어지간해서는 공격으로 피탄 당할 위험이 적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인간이 자폭하러 가는 것이 아니므로,[1][2] 폭탄을 목표물까지 이송하고 복귀하는 특수 작전이란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실제로 이걸로 전과를 올리는 데 성공하기도 했고, 많은 나라에서 실험 연구를 시도했으나, 그다지 전략적으로 유용한 무기는 아니었다. 무엇보다 잠수함처럼 본격적인 생명유지장치를 달을 수 있는 크기가 아니었고, 기체를 자폭으로 사용한 뒤 군인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준비가 이루어져 있어야 했다.[3]


2. 발전[편집]


유인어뢰의 첫 실전 사례는 제1차 세계 대전 종반부인 1918년 11월 1일 이스트리아 반도풀라 항에 대한 이탈리아 왕립 해군의 특공이다. 다만 이 때 이탈리아 해군은 유인어뢰로 배를 직접 공격하는 방식이 아니라 특공대원이 유인어뢰를 타고 배 근처로 잠입한 후 배 하부에 폭발물을 부착해 폭파시키는 방식을 사용했다. 아무튼 이날의 특공에서 이탈리아 해군은 단 2명의 특공대원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전함 1척[4]과 화물선 1척[5]을 격침시키는 전공을 세웠다. 전후 이탈리아군은 이 특공에서 얻은 유인어뢰의 성과에 주목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한다.

파일:external/www.clubpanerai.com/1229Maiale.jpg


2차 대전때 사용된 인간어뢰인 이탈리아의 Maiale[6]의 경우 두 명의 잠수부가 이를 타고 적 함선 근처로 접근 한 후, 탄두를 분리해 기뢰로 장착하고 잠수부들은 빠져나오는 방법으로 작전한다. 전후에는 탄두가 없이 잠수부들을 이동시키기만 하는 어뢰도 흔히 사용된다. 사실 자살을 크게 죄악시 하는 이탈리아 같은 가톨릭 문화권 나라에서 자폭병기를 만들어 공공연하게 사용했다면 국내 여론이 가만히 있지 않았을 것이다.

중간의 사고와 실패도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12월 19일, Decima Flottiglia MAS소속의 세 척의 유인어뢰가 영국 해군의 알렉산드리아 항에 접근해 6명이 포로로 잡히는 피해만으로 두 척의 전함(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인 퀸 엘리자베스, 발리언트)과 한 척의 유조선을 대파하는 성과를 냈다. 이후에도 이 부대는 유인어뢰를 연합군의 함선에 대한 공격방법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이탈리아 함대의 졸전과 함께 이탈리아군은 배가 작아질수록 용맹해진다는 말을 듣긴 했지만 이때 포로로 잡혔던 침투부대 지휘관인 루이지 드라펜느(Luigi Durand de la Penne)[7]는 자기가 폭탄을 설치한 그 배인 발리언트에서 조사를 받다가 "15분 뒤 이 배는 터진다!"라고 외쳤고, 다른 영국군과 함께 간신히 탈출했다. 이후 라펜느는 이탈리아가 항복하자 연합국 편에 선 남왕국군에 합류했다. 독일군이 노획한 미완성 상태의 항공모함 아퀼라함를 자폭 모터보트로 공격하는 작전에도 지휘관으로 참가했다. 라펜느는 종전 직전에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전공을 인정받아 훈장을 받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수여식 때는 그 때 발리언트의 함장도 참석했다고. 자세한 것은 알렉산드리아 습격 참고.

또한 스페인에서 영국 특수부대 공격으로 좌초된 자국 유조선 올테라(Olterra)를 스페인 당국 몰래[8] 개조해서 마이알레 모함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이 올테라를 모함으로 사용했던 MAS 소속 큰곰자리 전대는 이탈리아 항복 때까지 6척의 상선을 파괴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영국 해군도 유인어뢰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해 Chariot(채리엇)라는 어뢰를 개발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a_mk1chariot_2UBAs.jpg

영국 해군의 Chariot.

양측의 유인어뢰는 각각 여러 함선들을 격침시키거나 특수부대원들을 투입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세웠고, 독일 같은 다른 나라들도 차차 도입하며, 전후에도 여러 나라들에 의해 도입된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f0075523_572f7b797c70c.jpg
파일:external/pds21.egloos.com/f0075523_572f7ba58eb07.jpg

러시아의 Сирена-УМЭ.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c0219395_5821642ee76b3.jpg

이스라엘의 특작용 인간어뢰.

파일:external/pds25.egloos.com/c0219395_5821643465d5f.jpg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독일 Neger. Marder이라고도 불린다. RC모형으로 나왔다.

파일:external/pds25.egloos.com/c0219395_58216a75f1aed.jpg

SDV 340.

현대에도 특수부대에서 비슷한 장비를 운용하는데, 일반 어뢰를 개조해서 쓰는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임무에 맞게 제작한 소형 잠수정을 사용한다.

그런데 일본군은 모두의 상상을 뒤엎고 사람이 끝까지 함께하는 물건을 만들었다.

북한도 동해와 서해에 인간어뢰부대를 한 부대씩 배치해 운용한다고 한다. # 2015년 1월 북한에서는 김정은의 언급을 두고 "훈련을 강도높이 진행하여 해병들을 만능 해병 바다의 결사대로 튼튼히 준비시켜야 한다고 하시었습니다."라고 했는데 적어도 목숨을 담보로 하는 무언가를 운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유용원 기자가 북한의 인간 어뢰가 범인이라고 단정짓는 기사를 올렸으나 허무맹랑한 음모론이라 비판 받았고 실제로도 인간 어뢰가 아닌 일반 유도 어뢰라는 것이 밝혀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13:46에 나무위키 인간어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일반적으로 라는 말을 잘 기억해 두자.[2] 월오쉽 좀 했다거나 역덕, 밀덕이라면 잘 알 것이다. 바로 가이텐이다. 어째 일본 이름 같다? 라고 말할 수 있는데 역시는 역시. 일본 거 맞다.[3] 자폭병기가 아닌 소형 잠수정을 이용해도 다른 문제가 있었다. 어뢰를 작은 잠수정의 외부에 장착하니 해류에 의해 어뢰와 잠수정의 연결부가 파손될 위험성이 컸다. 독일의 반 잠수정 니거가 이런 형태.[4] 테게토프급 전함 2번함 비리부스 우니티스(SMS Viribus Unitis). 다만 공격 하루 전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세르비아국 임시정부에 양도되어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로 이름이 바뀐 상태였다.[5] SMS 이다. 원래 특공 목표였던 비리부스 우니티스의 폭발에 휘말리는 바람에 같이 침몰했다.[6] '마이알레'. 이름의 뜻은 '돼지'다. 외형이 둔중한 편이고 속도도 빠르지 않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속도는 2.5 노트로 4.63 km/h 정도에 불과했고, 항속 거리는 10해리에 잠항 심도도 30 미터 정도밖에 안됐다.[7] 귀족인 백작 집안 출신이라서 이런 호칭이 붙었다.[8] 아예 스페인 당국 눈을 속이려고 스페인인 경비원 2명을 태우는가 하면, 마이알레 같은 것들은 분해했다가 배 수리에 필요하다는 핑계로 들여와서 배 안에서 조립하기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