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공병여단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
17사단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
1사단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
7사단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
12사단
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
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
3사단
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
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
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
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
수도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31사단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
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수방사
52사단
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
60사단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3공병여단마크 건축물.png
육군 3공병여단 마크를 형상화 한 건축물이다.

공병을 의미하는 마크에 3군단을 의미하는 마크가 덧붙여진 모습이다.

산악을 호령하는 맹호와 같이

포효하는 무적용사 여기 모였다

맹호출림 기상으로 승리의 길 열고

조국 통일 그 영광에 다리를 놓자

빛나는 독립문의 선봉에 서는

우리는 무적정예 3공병여단

제3공병여단가


1. 개요[편집]


강원도에 위치한 제3군단 예하 공병여단이다. 여단급 부대 지휘관은 준장이 지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최근 거쳐간 지휘관들은 대부분 대령이거나 준장(진)이었다. 현재 여단장은 육사 47기인 성정섭 대령이다.

경례 구호는 충성!

2. 편제[편집]


예하 대대
  • 제111공병대대
  • 교량대대[1]
  • 제125공병대대
  • 제137공병대대

여단 직할부대
  • 본부대
  • 통신중대[2]
  • 도하중대[3]
모든 부대가 인제군 전역에 퍼져 주둔하고 있다.
이 중 125대대를 제외한 모든 부대는 다 신막사이다. 그나마 시설이 덜 좋은 도하중대와 본부대조차도 침상인 아닌 2층 침대를 쓴다.

만약 자신이 제3공병여단에 자대배치 되었다면 125대대만 안가기를 빌자. 목욕탕이 막사 바깥에 있어서 혹한기에는 목욕하고 머리를 말려도 머리속에서 연기가 새록새록 피어난다. 또한 막사로 돌아오는 그 길은 매일 혹한기를 한다고해도 무방한 정도 하지만 휴가나 외박시 인제터미널에 빠르게 갈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현재 이홍기가 통신중대로 자대배치를 받아 복무중이다.

시설대대 창설[언젠지] - 08년1월에서 2월 사이 각 예하 부대에서 인원을 차출해 시설대대를 창설하여 여단내 직할부대로서 공사 감독을 전문으로하는 공사관리대를 두어 각종 막사나 부대관련 공사들을 감독케 하였다[공사감독이란게].

= 도하중대 ==
여단 직할대로서 독립중대이다, 대대로 통합된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그냥 소문이였을뿐 계속 유지중이다.

이곳은 운전병의 무덤이라고도 불리는 곳이다, 차는 많은데 훈련때만 운용하는거라 특정차량(카니발,코란도,마이티)이외에는 운전할 일이 거의 없다고 보면된다.

군생활내내 차량정비와 훈련으로 지옥을 맛볼것이다.

홍천 제1야수교에서 3군단이 떳다면 그날 잠안자고 기도하는게 좋다. 1주먼저 가는 중형차기수들을 인제 간다고 놀리지 말자 어차피 너도 인제니까

3. 역할[편집]


3군단의 부대들의 작전을 지원. 적군의 국토 진입 저지(교량 폭파, 지뢰지대 설치, 장애물 설치)와 적 장애물 극복, 적 지뢰지대 극복에 가장 큰 목표가 있다. 제일 큰 역할은 역내 가장 큰 지형물인 소양강 도강 작전 지원. 다리 만드는 훈련을 매년 한다 흔히 말하는 장간조립교, MGB를 뜻한다.[5]

이 부대는 비무장지대 불모지 지뢰제거작전과 6.25전시자 유해발굴지원을 나가는 부대인데, 펀치볼지나 부대로 이동 후, 그곳에서 적응하는 것이 힘들고, 작전지역에서 작전하는 것도 힘들다고 한다. 군단 내 사단에 GOP지역에 가서 지원을 하는데 가뜩이나 열악한 GOP시설에 얹혀사는 꼴이라...

한 소초당 배정되있는 4개의 싸지방 컴퓨터중 하나를 전세내서 쓰는데 눈치밥이 여간저간 아니다.

하지만 불모지파견 기간동안에는 유격훈련,경계근무등등 각종 대대의 업무,훈련에서 벗어날수 있고 또한 같은 불모지 파견 소대원끼리는 엄청나게 친해지는 장점이 있다. 기간은 대략 6주에서 8주인데 불모지휴가라고 해서 최소 4박5일의 휴가가 지급된다.

청소는 바닥 살짝 쓸고나면 끝일 정도로 주둔지내 작업은 거의 없다. 하지만 불모지 작전이 정말 힘든 작업인 만큼 바싹 정신차리자. 한 생활관에서 간부와 함께 생활하다보니 제일 막내도 큰 부담감없이 지낼수있다는 장점이 있다. 갈굼이 정말 없어진다! 하지만 PX 이용하기도 어렵고 어디까지나 얹혀 사는 신세이기 때문에 생활에 제약이 있다. 하지만 배정된 생활관에서는 간부들도 군기를 그렇게 요구하지 않는다.

이때 운전병도 한 명씩 배정되는데 일병말~물병장 정도의 기량이 물오른 병사가 차출된다. 이 운전병은 매우 꿀이다! 왜냐하면 불모지 작전도 투입되지 않기 때문에 막사를 지키는것이 평소 임무이다. 말이 지키는것이지 그냥 먹고 자고 티비보는 백수생활을 군대에서 할수 있다! 오죽하면 이 불모지 작전에 간 운전병은 그 자체로도 부러움을 받는 경우도 많다.

2010년 기준 전방의 신형 막사로 교체하는 것을 감리 감독하는 역할을 많이 했다.

4. 장비[편집]


일반 보병들과 다를 바 없다. K2 소총, 보통탄과 예광탄을 섞은 실탄, 수류탄, 장구류.

전투공병 한정 크게 다른 점은, M14 발목지뢰, M16 도약지뢰, M15 대전차지뢰와 같은 지뢰들이나, 군용 다이너마이트, 폭파통, Composition, 도로대화구KIT과 같은 것들이 있다.
파일:KM180.jpg
도로대화구 키트의 모습이다. 이래보여도 위력은 상당하다.
그 외 폭파조끼, 원격폭파세트, 지뢰탐지기 그리고 수송부에는 엄청난 양의 덤프트럭 K-713이 있으며 15톤 덤프트럭도 각 대대에 지급된다.

이 15톤 덤프트럭은 운전병들 중 월등한 기량을 가진 대형차량 운전병이 운전하게 되며 20대 초반에 이런 차를 몰아본 경험을 가지고 전역하는것은 차후 운전실력에 엄청난 큰 도움이 된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지뢰들은 모두 철제이거나, 철이 포함된 지뢰들이며 우리나라는 CCW(Convention on Certain Conventional-비인도적 재래식 무기)협정으로 인해서 북한과 달리 목함지뢰처럼 탐지가 거의 안되는 지뢰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4:59:02에 나무위키 제3공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년 11월 1일부로 115대대가 교량중대와 합쳐지면서 교량대대가 창설되었다.[2] 여단 영내직할부대이다[3] 독립중대이다. 부대 위치상 교량대대와 접촉이 많은 듯 하다.[4] 다만, 이것이 의미가 없는 것이 대부분의 부대는 출타자 버스로 터미널까지 태워다 주며, 교량대대 또한 터미널까지 가는데 10분조차 걸리지 않는다.[언젠지] 모르겠지만 해체된것 같다[공사감독이란게] 공사현장에 매일매일 상주하다시피 해야 해서 해당부대나 근처부대로 파견을 나가있다보니 나머지 전체 인원의 15~20% 정도의 파견을 안나가거나 못나간 인원은 근무지옥 이었다 파견을 나간 인원 들은 근무도 서지않고 사제 인터넷 가능한 컴퓨터와 휴대폰을 민간 공사업체 소장에게 지원받아 편히 꿀을 빨수는 있었었겠지만 겨울엔 공사를 쉬기때문에 복귀하면 밤을 새워 서류 작업을 해야했다.[5] 3공병여단의 모든 부대들이 '축성'을 주 작계로 실행하지 않는다. 지형 거부가 주요 작계인 부대도 있으며, 논 수십개를 합친 면적을 지뢰지대로 만드는 작계를 가진 부대도 존재한다. 15년 여름 대대전술 때 1개중대가 모두 붙어(원래는 2개 소대의 작계였다.) 비슷한 지형에서 모의로 시행했지만 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