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일륜도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귀살대


혁도
(かく(とう[1] | Bright Red Nichirin Sword


파일:츠기쿠니 요리이치.png


파일:Bright_Red_Nichirin_Sword.png

1. 개요
2. 상세
2.1. 발현 조건
2.2. 효과
3. 사용자
3.1. 악력으로 만든 경우
3.2. 마찰로 만든 경우
4. 여담



1. 개요[편집]


귀멸의 칼날에 나오는 설정.

일륜도가 특정한 조건에서 칼날이 붉게 변하는 현상으로, 작중에서는 전설과 같이 여겨지고 있다.


2. 상세[편집]


일륜도에는 전집중 호흡 각 유파의 상징색과 별개로 도신을 붉게[2] 물들이는 혁도(赫刀)라는 기능이 있다.

과거 회상을 통해 츠기쿠니 요리이치가 흑도를 혁도로 물들여 싸웠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당초엔 해의 호흡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이라 추측되었으나, 코쿠시보 전에서 무이치로를 시작으로 사네미교메이 그리고 기유 역시 혁도를 끌어냄으로써 일륜도 자체에 숨겨진 비밀로 판명났다.


2.1. 발현 조건[편집]


발현 방식은 두 가지. 첫 번째는 고열을 도신에 가하는 것. 두 번째는 강한 압력을 가하는 것. 주로 죽음을 앞에 둘 때 나오는 한계를 넘어선 강한 악력으로 혁도를 재현하는 게 정석이고, 이 외에 일륜도끼리 맞부딪쳐 마찰시킴으로써 그 열과 압력으로 한동안 혁도를 재현하는 방식이 있다. 어느쪽이든 오랫동안 유지하기는 힘든 현상.

단순하게 열과 압력의 문제라면, 불 속에서 칼을 두들기는 도공들이 진작에 발견했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른 요소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3] 네즈코가 혈귀술로 재현한 폭혈도가 비슷한 효과를 내긴 했지만 이쪽은 불 자체가 도깨비를 태우는 성질의 혈귀술이라 혁도와 유사한 효과를 냈을 뿐, 그냥 칼에 기름을 붓고 불을 붙인다고 같은 효과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해당 현상을 처음 발견한 요리이치는 그냥 검을 쥐기만 해도 혁도가 될 만큼 초인적인 악력을 지녔기에, 이게 어떤 매커니즘으로 발현되는 현상인지를 몰랐다. 오죽하면 검을 쥔 채 늙어 죽었을 때도 그의 칼은 붉은색이었을 정도.

사실 일본도는 애초에 적당히 가볍게 쥐면서 휘두르는 검이기에, 일반적인 사용법과는 정반대라서 정석적인 방법을 고수한다면 볼 일이 없는 현상이기도 하다.[4] 더욱이 해당 현상이 드러날 정도의 상황에서는 생존률이 높지 않고, 그런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도깨비들의 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는 무잔이 혁도 사용자를 절대 가만히 둘 리가 없다.

이렇다 보니 다들 막연하게 해의 호흡과 관련된 무언가라고만 여겨져 실전된 상태였다. 심지어 도깨비가 되면서 초월적인 악력을 손에 넣은 코쿠시보조차 혁도의 정확한 발현 조건을 몰랐다.[5]

혁도에 대한 모든 게 밝혀진 시점에서, 요리이치가 아닌 이상 혁도를 가장 효율적으로 발동시킬 방법은 네즈코의 폭혈도처럼 외부 요인에 의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공들이 혁도를 몰랐다는 점에서 단순하게 불만 붙이면 되는 문제는 아니고, 네즈코 같은 조력자도 현실적으로 구하기 힘듬으로 실전에서 재현하기에는 여전히 까다로운 현상. 그나마 쓸 법한 사용법이 사네미와 기유가 했듯이, 두 사람이 서로의 칼날을 맞부딪치는 것이다.


2.2. 효과[편집]


  • 도깨비에 대한 격통과 재생력 저하
기본적으로 일륜도는 흑인홍 철에 깃든 태양의 힘에 의해 도깨비들은 닿는 것만으로 지져지며 고통스러워한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소재로 쓰인 철의 수준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대부분의 경우 거의 드러날 일 없는 특징.[6] 그러나 혁도 상태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극대화되어, 베여도 아무렇지 않게 재생하던 도깨비도 같은 칼이 혁도가 되면 고통스러워하며 재생을 힘들어한다. 극단적인 예시로는, 도깨비에게 치유 불가의 흉터를 남기는 경우도 있다. 무잔은 궁지에 몰리자, 수백 년 전 요리이치에게 당했던 부상이 흉터가 되어 떠오르기도 했다.

  • 참격의 공격력 상승
검술의 공격력 또한 눈에 띄게 상승해, 베지 못하던 것도 벨 수 있게 된다.


3. 사용자[편집]



3.1. 악력으로 만든 경우[편집]


파일:요리이치_최후.png
죽기 직전의 순간까지 혁도를 유지하는 요리이치

: 최초 사용자. 악력이 너무 강해 그냥 검을 쥐기만 해도 혁도가 되었고, 그래서 발현에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를 알지 못했다. 그 효과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

: 초반에는 네즈코의 혈귀술로 칼날에 불을 붙여 혁도와 유사한 폭혈도를 사용했으나, 후반에는 자력으로 혁도를 만들어 사용한다.


: 코쿠시보와의 전투 중 상대 몸에 칼날을 꽂은 채로 하반신이 잘려 아무것도 할 수 없던 상황에서, 무엇이라도 해보고자 칼을 극한까지 강하게 쥠으로서 우연찮게 혁도를 발현한다. 다만 상황상 악력이 부족했는지 칼끝까지 완전히 붉게 물들이지는 못했다.[7]

파일:Obanai_awakening_his_Demon_Slayer_Mark.png
파일:뱀의 호흡_혁도.jpg
오바나이의 혁도 연출

: 무이치로의 사례를 통해 혁도의 발현 조건을 깨닫고 스스로의 악력으로 만들어낸다. 하지만 본래 신체 능력이 그렇게 뛰어난 인물은 아닌 데다 부상을 입은 상황이다 보니, 혁도의 유지를 힘들어했으며 칼끝까지 붉게 물들이지는 못했다. 이 때문인지 뱀의 호흡 연출도 뱀의 머리 부분만 붉게 바뀌었다.

탄지로와 함께 검을 움켜쥐어 혁도를 만들어주는 기유

: 사네미와 서로 칼날을 맞부딪친 뒤 발현되었다. 후반에는 팔이 하나뿐인 탄지로를 도와 함께 검을 움켜쥐어서 혁도를 만들어 주기도 한다.


3.2. 마찰로 만든 경우[편집]



: 처음에는 코쿠시보에게 결정타를 날리기 위해 교메이의 철퇴를 칼로 내리찍다가 발현되었다. 이후 혁도의 발현 조건을 알아챈 사네미는 기유와 칼날을 맞부딪쳐, 불꽃이 튀길 만큼의 마찰열로 혁도를 만들었다.

던진 도끼와 철구를 마찰시켜 혁도를 끌어내는 교메이


: 처음에는 사네미가 칼로 철퇴를 내리치다가 우연히 발현되었지만, 발현 조건을 눈치챈 이후에는 스스로 방법을 고안해 사용한다. 고안한 방법이란 철퇴와 도끼를 던져서 서로 부딪히게 하는 것. 사슬 무기의 특성상 혁도의 효과가 전도되기 힘들고 계속 쥐고 있을 수도 없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고안해낸 모양. 일종의 편법이나 교메이 정도의 근력이 없으면 하지 못하는 기술이다.


4. 여담[편집]


  • 붉은 칼날과 베였을 때 고통스럽고 재생도 느려지는 등, 여러모로 히트 병기를 연상하는 사람들이 많다.

[1] 점프에 처음 연재되었을 당시에는 しゃく라고 잘못된 후리가나가 달린 적이 있었는데 赫의 음독은 かく밖에 없다. 이후 편집부에서도 후리가나가 틀렸음을 인정하였고, 단행본에서 수정되었다.[2] 일본어로 赫い라고 하는데, 붉은색 중에서도 짙다 못해 불타는 듯한 인상을 주는 색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소 고어스럽거나 공포스러운 장르에서 피와 같이 붉은색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구글에서 赫い를 검색해보면 대충 어떤 용법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쉽게 말해 진홍색이다 탄지로를 가리키는 '혁작의 아이'의 '혁'자도 이것.[3] 교메이가 던진 철퇴와 도끼를 부딪쳐 혁도를 재현한 것을 보면, 꼭 사람이 쥐고 있어야 한다거나, 전집중 호흡에 직접 영향을 받는 현상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4] 일본도를 다룰 땐 오른손에는 힘을 빼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손에 모두 힘을 주면 휘두르고 조작하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오른손은 방향을 잡기만 하고 왼손으로 검을 움직이게 된다. 즉, 정석으로 검을 배운 이상 양손으로 사력을 다해 쥔다는 상황 자체가 비상식적인 것이다. 그리고 악력도 혼신의 힘을 다할 정도로 세게 쥐고 휘두른다면 '방아쇠 수지 증후군'에 걸리기 딱 좋다. 유연하지 않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대가 미는 공격으로 나오면 후속 대처가 힘들다.[5] 미치카츠도 요리이치에게 밀렸을 뿐, 동세대 검사 중에선 최상급 강자였고 무잔과 본격적으로 싸워보기도 전에 본인이 무잔의 계약을 받아들여 냅다 이적해버렸기에 사력을 다한 싸움을 해본 적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6] 상현의 1 코쿠시보조차 베기 어려워했을 만큼 순도 높은 흑진홍 철이 쓰인 교메이의 무기 정도는 되어야 닿는 것만으로 고통스러워한다. 이 외에 일륜도는 이러한 묘사가 거의 없다.[7] 처음 장면에서는 칼날이 붉게 물드는 과정을 연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후 이어지는 장면에서도 칼날 전체가 붉게 그려지지는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2:55:33에 나무위키 혁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