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3. 우회 방법
4. 반응
4.1. 국가
4.1.1. 한국
4.1.2. 일본
4.1.3. 그 외 국가
4.2. 트위터
4.2.1. 일론 머스크
5. 기타


1. 개요[편집]


2023년 7월을 기점으로 트위터에 발생한 서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트위터 사측이 이용자의 API 사용을 제한시키면서 시스템 이용에 심각한 오류를 초래한 사건.

리밋 현상 자체는 트위터 초창기 때 흔히 헤비 트위터리안들이 겪었던 증상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지만 초창기 트위터의 리밋들에 비하면 이 사태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심각성이 크다.


2. 과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7월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경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우회 방법[편집]


비공식 뷰어인 Nitter를 이용하면 되지만 막혔다가 풀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트위터의 임베드 링크를 이용해 트위터 로그인 없이 트윗 내용을 볼 수 있다. 간편한 방법은 Greasemonkey 확장 기능을 이용해 이 유저 스크립트를 설치하면 된다. 단점이라면 가장 최근 트윗만 볼 수 있다는 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특정 계정의 트윗을 보는 기능[1]이 7월 4일부로 작동하지 않는다.

old twitter layout(크롬) (파이어폭스)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트위터 공식 홈페이지의 UI가 구버전 UI(2015년 쯤의 UI)로 변하는 대신 API 리밋 없이 트윗을 읽고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사태 초기에 사용되었다. 되는 사람도 있었고 안 되는 사람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


4. 반응[편집]



4.1. 국가[편집]



4.1.1. 한국[편집]


한국 실시간 트렌드api초과, 새로고침, 정신차려, 안보여요, 무슨 일이, 비계 탐라, 일론머스크, 언제 복구가 올랐으며 심지어 일론 머스크에 대한 분노로 머스크새끼, 멜론새끼[3], 미친새끼 같은 원색적인 욕설까지 실트에 올랐다.(# 기사) 23일부터는 유령 계정이 새롭게 실트에 갱신되었다.

한국은 일본보다 인스타그램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유저가 많아 상대적으로 대체 SNS를 구하기에는 더 쉬우리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해당 SNS들은 텍스트 기반의 짧은 글을 주고받는 트위터와는 서비스의 성격이나 유저 성향 등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온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후술할 일본의 경우는 트위터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일본 소식을 듣기 위해 트위터를 쓰는 한국 유저들에게는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4] 이 때문에 트위터 유저들이 대체 SNS로 언급하는 SNS들도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을 잘 언급하지는 않았다.

마스토돈, Bluesky가 실시간 트렌드 1, 2위를 기록했다. 일부 유저들은 트위터 대안 서비스로 각자도생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Bluesky의 경우 한국어 유저 클러스터가 1주일 사이에 수천 명 단위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4.1.2. 일본[편집]


일본은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데 한국의 경우 다양한 커뮤니티 사이트로 분화가 되어 있으며 교류의 목적으로 트위터 사용자는 얼마 되지 않는 수준이라 그냥 유명인들의 소식 전달용 플랫폼에 불과한 데 비해[5] 일본에서의 트위터는 한국의 커뮤니티 사이트가 차지하는 역할을 전부 하고 있는 국민 SNS이기 때문에[6][7] 이 사태로 트위터가 마비되면서 국가급 혼란이 벌어졌다. 특히 중앙화로 인해 개인은 물론이고 정치인, 사기업, 공기업, 학교 등에서도 홈페이지 대신 공지용으로 트위터를 사용 중이며 유튜버나 버튜버들 역시 주로 사용하는 SNS가 트위터다 보니 어떤 의미로는 한국의 카카오랑 비슷한 상황.[8]

이렇다보니 인스타그램은 물론 마스토돈, Misskey, Threads, 하다못해 mixi 등으로 SNS를 이사가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한국에서도 카카오톡이 논란이 많아도 그냥 쓰듯 만약 옮긴다고 해도 중앙화에 따른 여러 메리트를 얻지 못하니 함부로 옮기지도 못해 이도 저도 못하는 상황이 펼쳐졌다. 물론 이와는 상관없이 다른 SNS도 쓰니까 그냥 그쪽으로 망설임 없이 가는 유저들도 종종 보이며 주로 머스크 인수 직후부터 대체제로 거론되던 Misskey로 가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일본 실시간 트렌드) 유튜버나 버튜버들 역시 마찬가지이며 유튜브 커뮤니티를 사용하는 버튜버들은 이쪽을 통해 공지사항을 갱신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블루 아카이브 일본 내수용 서버는 트위터 연동 계정을 8월에서 9월 경 종료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존과 마찬가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요스타 연동 계정이나 Apple 연동 계정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이후 같은 Yostar 계열 게임인 벽람항로, 명일방주, 작혼도 마찬가지로 같은 공지를 올렸다. 물론 2023년 2월 API 유료화 때만 해도 소셜로그인이 중단될 여지는 있으니 다른 대상으로 인계하란 말이 공지로 흔하게 나오긴 했다지만[9] 이 사건 및 불안정의 여파로 하반기 들어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10]


4.1.3. 그 외 국가[편집]


다른 나라에선 터질 게 터졌다며 대체 SNS로 옮기는 사람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메타이 틈을 놓치지 않고 스레드 런칭을 발표했고[11] Bluesky 앱은 접속자가 폭등하여 계정 생성 기능이 잠시 불능화되기도 했다.

하지만 메타스레드는 이용자수가 무려 70%나 급감하고 평균 사용시간 역시 5분밖에 되지 않아 벌써부터 트위터한데 졌다는 반응이 나왔다.# 스레드는 DAU가 1,300만명에 평균 사용시간이 4분이지만 트위터는 DAU가 약 2억명에 평균 사용시간도 30분이다.[12]

2023년 11월 6일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PlayStation 5PlayStation 4에서의 트위터 연동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4.2. 트위터[편집]


7월 5일, 트위터의 공식 계정 중 하나인 트위터 비지니스와 CEO 린다 야카리노는 트위터의 API 제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트윗을 올려 공지했다.

When you have a mission like Twitter -- you need to make big moves to keep strengthening the platform. This work is meaningful and on-going. Here's more insight on our work to ensure the authenticity of our user base. 👇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큰 움직임을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작업은 그만한 의미가 있으며 현재 진행 중입니다. 이용자 기반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리의 작업을 더 자세히 살펴보세요. 👇

린다 야카리노


Over the past few days, we've taken action to keep making Twitter a great place for everyone. And we want you to know why 👇

지난 며칠 동안, 우리는 트위터를 모두에게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이 그 이유를 알기를 원합니다. 👇

트위터 비지니스

위와 같은 공지와 함께 트위터 공식 홈페이지로 이어지는 링크를 함께 올렸는데 내용을 요약하자면 API 제한은 스팸과 봇을 제거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선택한 극단적 조치(extreme measures)였으며 사전 공지를 하지 않은 것은 악성 이용자가 대응하지 못하도록 일부러 긴급하게 조치를 취했다는 설명이다. 때로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속도를 늦춰야 한다(you must slow down to speed up)"는 애매모호한 설명과 "작업이 완료되면 업데이트가 있을 것"이라는 공지로 해당 사태에 대한 해명을 마쳤다.

This is so funny. Days after they started rate limiting and the statement from Twitter’s CEO is “here’s more insight into what we were doing,” with a link to the world’s vaguest explanation possible

진짜 어이없다. 제한 사태가 일어난 지 며칠이 지나서야 CEO는 "우리의 작업을 더 자세히 살펴보세요"라며 세상에서 가장 애매한 설명문으로 이어지는 링크를 걸어놓은 거잖아

트위터 이용자 Ed Zitron의 트윗. 린다 야카리노의 트윗을 인용한 트윗 중 가장 많이 RT되었다.


well you failed miserably buddy

당신들은 개같이 실패했어

트위터 이용자 Hurt CoPain의 트윗. 트위터 비지니스의 트윗을 인용한 트윗 중 가장 많이 RT되었다.

물론 이러한 공지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이용자의 활동을 제한시키는 등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면서 사전공지가 일체 없었다는 점, 제한이 언제 해제될지에 대한 설명은 없이 "플랫폼을 강화하기 위한 큰 움직임",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속도를 줄여야 한다" 등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한다는 점 등이 비판받았으며 제한 조치로 인해 이용자의 혼란이 가중된 지 4일만에 뒤늦게 올라온 공지임에도 무엇 하나 명확히 설명된 점이 없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들이 이러한 공지에 불만을 표했다.


4.2.1. 일론 머스크[편집]


일론 머스크는 6월 6일부로 트위터 CEO직에서 사임했는데도 이 사태에 대한 트위터의 공식 입장은 사실상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서만 올라왔다. 오래 전부터 활동이 끊긴 트위터 코리아는 물론이고 트위터 공식계정이나 트위터 서포트 계정조차 이 사태에 대해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았으며 심지어 현 트위터 CEO린다 야카리노의 계정에조차 트윗이 올라오지 않았다.

수백개의 집단(아마도 그 이상)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매우 공격적인 스크랩을 하고 있었다.

그걸 막으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될까? 의견은 달게 받을게.

- API 차단에 항의하는 유저에 대한 머스크의 답변#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이용해 AI를 학습하고 있는 ChatGPT 등의 대형 언어 모델에 대한 불만을 표한 것[13]으로 추측되었다. 4월 무렵부터 머스크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상대로 AI의 학습에 사용하는 API에 대한 요금 지불을 요구했으며 그 밖의 인공지능 기업들이 트위터를 사용해 언어 훈련을 시키고 있는 것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나 7월 12일 xAI라는 AI 회사를 출범시키면서 남의 AI 데이터 크롤링은 금지하면서 자기는 크롤링을 하려 드는 내로남불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이런 심각한 상황이 일어났는데도 "조회수 제한 정책은 트위터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트윗한 패러디 계정을 알티하거나 "폰 끄고 나가서 가족들이랑 대화나 해라" 등의 발언을 하는 등 어그로성 행보로 일관했다. 그나마 인생의 낭비란 발언을 먼저 한 알렉스 퍼거슨 감독은 트위터를 아예 안 쓰니 문제 없지만 이쪽은 트위터 중독자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트위터를 애용하는 데다 상술했듯이 트위터의 전 CEO이면서도 현 CEO인 린다 야카리노를 대신해 관리하는 시점에서 충분히 비판받을 점이자 내로남불을 시전한 것이다. 즉, 상황을 해결하거나 고쳐 주기는커녕 나 몰라라를 시전한 것이다.

한편 IT 플랫폼 관련 전문가들은 이러한 머스크의 행동을 이번 사태의 원인을 회피하기 위한 일종의 허세로 보고 있는 듯하다. '데이터 스크래핑'을 API 폭주의 원인으로 지목한 일론 머스크의 주장과는 달리 비로그인 사용자의 접근을 금지하고 API 제한을 강화한 새로운 정책이 '셀프 디도스 공격'으로 이어져 서버에 부담을 준 것이라는 주장이나 이전부터 문제가 되었던 관리인력 대량 해고 사건이 결국 문제를 일으켰다는 주장 등 머스크의 경영 실책이 이 사태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었으며 트위터와 같이 오픈된 SNS에서 조회수 제한 정책을 실시하면 트위터의 이용률은 급감할 수밖에 없어 트위터의 주요한 자금줄 중 하나인 광고의 메리트도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졌으므로 머스크의 입장으로서도 커다란 손해를 걱정해야 하게 되었다.#


5. 기타[편집]


  • 트위터가 구글 클라우드에 매달 결제하던 서버비를 내지 못해 서버가 터진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는 사실과는 거리가 있는 주장으로 밝혀졌다.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서버비 결제가 밀렸던 것은 사실이나 6월 중순에 새 CEO인 린다 야카리노가 임명되며 결제가 이행되었던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 해당 사건의 영향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각종 커뮤니티에서 게임 계정 연동으로 트위터를 선택한 유저들에게 타 계정 연동을 권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게임들에서는 아예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트위터 연동 서비스를 중단할 것임을 공지했다.

  •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아 미국의 대부분의 직장이 7월 1일부터 7월 4일까지 나흘 연휴에 들어간 상태였던 데다 한국과 트위터 본사가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시차를 고려하면 아시아권 기준으로는 7월 5~6일은 되어야 겨우 서버 복원 작업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 계정에 따라 트위터 이용이 잠깐 정상화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트위터의 서버가 안정화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24시간이 지나 API 제한이 리셋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4] 즉, (일반 사용자의 경우) 1000 트윗 조회를 넘어가면 다시 제한이 걸리게 된다. 트위터의 오류가 서버 문제에서 API 문제로 옮겨온 지 시간이 꽤 되었고 일론 머스크가 API 제한을 철회한다는 트윗을 올린 적도 없기 때문에 트위터의 완전한 '정상화'는 아직 요원한 상태이고 아예 앞으로는 블루 미구독 유저는 하루 1000트윗 열람이 기본 사양으로 정착해 사실상 트위터 블루 가입을 강요하는 게 기본 정책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일일 열람 가능 트윗을 모두 사용한 사용자에게 Unlock more posts by subscribing(구독하여 더 많은 포스트를 보세요)라는 안내가 뜨기 시작한 것이 확인되었다.#

[1] 정확히는 타임라인 추가하기로 삽입한 위젯이 막힌 것이며 해당 위젯으로 아무 계정의 트위터의 트윗 목록을 임베드로 넣는 경우 작성한 트윗이 없다고 나온다. (공식 사이트에 해당 위젯을 삽입하는 GITADORA FUZZ-UP, BanG Dream! It's MyGO!!!!!로 확인됨.)[2] API 지원 변동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때마다 개발자가 빠르게 업데이트한다. 다만 크롬의 경우 스토어 정책에 의해 업데이트 반영까지 최대 이틀이 걸려 좀 느릴 수 있다.[3] 일론 머스크의 이름을 비슷한 어감의 머스크멜론에 빗댄 멸칭. 특히 한국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이 사태를 기점으로 아예 이 멸칭이 머스크를 칭하는 이름으로 굳어졌다.[4] 특히 애니메이션 이벤트 관련 정보 및 성우 관련 신작, 애니메이션 성우 콘서트 정보 등 오타쿠 계층 이용자가 많은 편이며 버튜버를 응원하는 한국 리스너들 역시 트위터를 주로 사용한다.[5] 유명인이라고 해도 트위터 없이 다른 SNS로 소식을 전달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만큼 한국에서 트위터는 중요 SNS가 아님을 알 수 있다.[6] 정치인(참의원, 중의원, 도도부현 지사, 정부기관), 각 도도부현 구시정촌, 성우, 가수, 배우 등이 활용한다.[7] 한국은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이 인싸용, 트위터가 아싸 및 오타쿠의 이미지가 강한 반면 일본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인싸 이미지인 것만 같을 뿐 트위터는 사람을 가리지 않고 사용한다. SNS 특성상 딱히 이들이 부딪히는 일도 없는 편이며 흔히 일본의 디시인사이드 포지션으로 알려진 5ch는 스레드당 1000개를 못 넘기는 원시적인 시스템 구조, 너무나 자유로운 스레드 설립 및 고닉질 자체를 어그로로 보는 분위기로 인해 결속력이 매우 떨어져 인간대 인간의 소통 역할은 트위터가 거의 대신하고 있다.[8] 국민 서비스란 점에서 카카오 급이라고 했지만 사실 카카오톡 먹통 사태 당시에도 대체재가 있었던 한국에 비하면 일본은 진짜로 대체할 서비스가 없어서 더 심각하다.[9] 사용료를 지불하지 못하는 소규모 회사/개인 앱들은 이때 서비스 종료를 했고 사용료를 지불할 능력이 있는 대기업만 남았다.[10] 위에서 제시한 AP/AT 기반의 SNS로 소통 자체는 가능하더라도 탈중앙화라는 특성 때문에 연동기능이 생기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11] 그러나 Threads 역시 게시물 조회 수를 제한했다.#[12] 약 2억명에 평균 사용시간이 30분이라는 수치가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로 인해 다수의 이탈자들을 반영한 수치다. 즉, 원래는 해당 수치보다 더 높았다는 의미다.[13] 일론이 OpenAI 창업 발기인들 중 한명인 것을 감안하면 의아할 수 있으나 경영권 관련에서부터 알력이 생겨서 OpenAI에서는 손을 뗀 상태. 상세는 OpenAI의 각주 참조.[14] 한국시간 기준으로 대략 11시쯤에 초기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02:58에 나무위키 2023년 7월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