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os Labs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알토스 랩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계 벤처 캐피탈에 대한 내용은 알토스벤처스 문서
알토스벤처스번 문단을
알토스벤처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알토스랩스
Altos Labs Inc.

파일:알토스랩스 로고.png
설립
2022년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경영진
CEO
할 배런[1] (2022년~ )
이사회
공동의장
리처드 클라우스너, 할 배런, 한스 비숍
산업
생명공학
상장 거래소
비상장 기업
고용 인원
약 500명 (2022년)
본사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여담




1. 개요[편집]


안티에이징을 연구하는 미국생명공학 스타트업. 2022년 1월 무려 30억 달러 투자금을 조달했는데, 역대 생명공학 기업이 조달한 최대 규모의 액수다. 특히 해당 라운드에 아마존닷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참여하면서 더욱 화제를 몰았다. 해당 투자금은 야마나카 신야 교수의 역분화줄기세포 연구를 기반으로 한 세포 리프로그래밍 연구에 투입될 예정이다.[2]

세포 리프로그래밍은 이미 다 자란 체세포에 유전자를 투입하며 초기세포로 되돌리며 사실상 세포를 회춘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방식이다. 노화를 늦춘다는 개념보다는 세포의 시간을 거꾸로 되돌린다는 개념에 가깝다.[3]


2. 여담[편집]


  • 시작부터 드림팀에 가까운 초호화 경영진과 연구원들이 영입되며, 기존 모기업 알파벳의 영향력으로 인해 안티에이징 분야에서 가장 주목을 받았던 칼리코와 더불어 가장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4] 특히 실리콘밸리에서는 노화 방지 분야가 한국에서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5][6]


  • 2023년 6월 16일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줄기세포학회에서는 알토스랩스의 후안 카를로스 이주피수아 벨몬테 박사의 세미나에 과도한 인원이 몰리면서 경찰의 제지가 일어난 적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50:38에 나무위키 Altos Lab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글락소스미스클라인칼리코에서 사장을 지낸 기업인이자 임상과학자다.[2] 자세한 투자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해당 투자금은 장기간에 걸쳐 출자될 것으로 추정된다. OpenAI 사례가 대표적인데, 창업 당시 약속된 자금의 최종 이행률은 10%를 조금 상회하는 수준에 불과했다.[3] 아직까지는 해당 과정에서 세포가 나타날 수 있다는 위험성 때문에 쥐 실험을 위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 대비 윤리성 문제로부터는 자유로우나, 인간 임상은 가까운 시일 내로는 힘들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4] 러시아 출신의 벤처 투자자이자 브레이크스루상 주최자인 유리 밀너의 주도로 저명한 인물들이 합세하며 설립되었다고 한다. 밀너는 30억 달러 자금 조달에도 참여했다.[5] 베이조스 외에도 세르게이 브린, 샘 올트먼, 피터 틸 등 여러 기업인들이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6] 다만 혈장 수혈 방식으로 노화 방지를 추구했던 대표격 기업인 암브로시아가 FDA의 경고를 받으며 사업을 중단하자 혈장 수혈 방식의 안티에이징은 큰 논란에 시달리며 존재감이 사라지는 등 좋지 못한 사례도 존재한다. 비슷한 결로 브라이언 존슨이라는 부호는 영생을위해 주기적으로 본인의 아들을 포함한 젊은 사람의 혈장을 수혈받고, 하루 111알의 알약을 복용하는 등 블루프린트 프로젝트로 자칭한 루틴에만 연간 200만 달러를 사용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그도 최근 혈장 투여는 효과가 없다고 언급하며 투여를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