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기업)

덤프버전 : (♥ 0)

파일:알파벳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4><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ed1c24><tablewidth=100%> 자회사 ||
|| Google || Calico || DeepMind || fitbit ||
|| Google Fiber || verily ||<bgcolor=#0103f4> CapitalG || GV ||
|| SIDEWALK LABS || W A Y M O || Wing || X ||
||<-4><bgcolor=#ed1c24><width=100%> 인물 ||
||<-4> 세르게이 브린 · 래리 페이지 · 에릭 슈미트 · 존 헤네시 · 선다 피차이 · 아서 레빈슨 ||
||<-4><bgcolor=#ed1c24><width=100%> 기타 ||
|| ||
||<-4><bgcolor=#ed1c24><width=100%> 관련 틀 ||
|| ||



알파벳 주식회사
Alphabet Inc.
파일:알파벳 로고.svg
설립2015년 8월 10일 (8주년)
파일:미국 국기.svg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뷰
이사회
의장
존 헤네시[1] (2018년~ )
경영진
CEO
선다 피차이[2] (2019년~ )
CFO
루스 포랏 (2015년~ )>

CAO
에이미 선더 오툴 (2018년~ )
편입 지수S&P 500 (2006년 3월~ )
상장 거래소나스닥 (2004년 8월, GOOGL[3], GOOG[4])
시가 총액1조 6.100억 달러 (2023년 8월)
자산3,830억 달러 (2023년 2분기)
매출2,828억 3,600만 달러 (2022년)
영업 이익748억 4,200만 달러 (2022년)
고용 인원190,711명 (2023년 1분기)[5]
모토Do the right thing
(옳은 일을 하라)
Imagine the unimaginable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
홈페이지파일:알파벳 로고.svg[6]
1. 개요
2. 역사
3. 지배구조
4. 사업 분야
4.2. 기타
4.2.1. 사업 중단



1. 개요[편집]


알파벳 주식회사는 IT/바이오 특화 기업집단을 거느리는 미국지주회사이다. 사명의 유래는 그리스 문자의 앞 두 글자의 이름인 ἄλφα와 βῆτα이며, 구글과 같은 규모의 기업을 로마자 알파벳 A에서 Z까지 전부 채워넣겠다는 목표를 담아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7][8]


2. 역사[편집]


2015년 8월 10일 구글 블로그를 통하여 물적분할을 발표되었다. 에릭 슈밋은 이사회 의장, 래리 페이지는 CEO, 세르게이 브린은 사장이 된다고 한다. 사옥으로 구글 본사와 구글플렉스를 같이 쓰고 있다.

2015년 8월 래리 페이지가 '사이드워크 랩스(Sidewalk Labs)'라는 자회사를 설립했고 뉴욕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이미 "뉴욕 뉴시티"라는 무료 Wi-Fi 보급 등 도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10월 5일부터 미국 나스닥에서 기존의 구글 주식 대신 알파벳의 주식이 거래되기 시작했다. 4분기부터 구글과 그 외의 사업부의 실적 발표를 분리해서 발표할 예정이다.

2015년 12월 8일 구글 X 생명과학 부문의 새로운 명칭 'Verily'를 발표했다.

2016년 2월 17일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디지털 공격과 공권력의 인터넷 탄압을 막고 극단주의와 지역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는 자회사 직쏘의 설립을 발표했다.

2017년 10월 8일 허리케인으로 폐허가 된 푸에르토리코에서 풍선을 이용해 LTE 통신망을 복구하는 프로젝트 룬을 FCC로부터 허가받았다.

2018년 2월, 퇴임한 에릭 슈미트의 후임으로 존 헤네시가 2대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2019년 12월, 래리 페이지의 뒤를 이어 구글의 CEO인 선다 피차이가 알파벳의 CEO까지 겸하게 되었다.

2021년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2022년 11월 영국계 헤지펀드 TCI는 알파벳 지분 60억 달러를 매입한 뒤 서한을 보내, 웨이모 등이 포함된 신사업 손실을 줄이며 마진을 끌어올릴 것을 촉구했다.

2023년 1월에 보낸 두 번째 서한에서는 인력 10% 이상 감축 및 임금 삭감을 요청했다. 특히 스톡옵션으로 인해 30만 달러에 육박하는 평균 연봉이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2023년 12월 Gemini를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 분야에 총력을 쏟고 있다. 투자자들은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공개 당일 주가가 5% 이상 폭등하는 등 OpenAI의 검색엔진 시장 잠식 위협에도 선방하고 있다.

2024년 4월 25일 실적발표회에서 매출과 EPS 예상치 상회는 물론 7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창사 이래 최초로 주당 0.2달러 수준의 배당금 지급 계획을 발표하면서, 당일 주가가 약 10% 폭등[9]하여 역대 기업 중 다섯 번째로 시가총액 2조 달러를 돌파했다. 디지털 광고 업계 경쟁사인 메타도 지난 2월에 대규모 자사주 매입안과 창사 이래 첫 배당금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10]


3. 지배구조[편집]


순위대상지분율의결권
1뱅가드그룹7.1%4.2%
2블랙록6.1%2.8%
3래리 페이지5.7%26.3%
4세르게이 브린5.4%25.0%
-에릭 슈밋1.0%4.2%
-존 도어0.4%1.5%
2023년 4월 지분 기준#[11]

이름구분합류일비고
래리 페이지사내이사1998년
세르게이 브린1998년
선다 피차이2017년
람 슈리람사외이사1998년[12]
존 도어1999년
존 헤네시2004년[의장]
앤 마서2005년[13]
로저 퍼거슨 주니어2016년[14]
프랜시스 아놀드2017년[15]
로빈 워싱턴2019년[16]
마티 차베즈2022년[17]
2023년 4월 이사회 기준#

4. 사업 분야[편집]


분야매출(USD)영업이익(USD)비고
구글
검색1,750억959억
네트워크313억
유튜브광고315억
기타273억[18]
클라우드331억17억
기타
기타15억-41억
2023년 연결 기준#


4.1. 구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구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구글의 핵심 기술인 검색 엔진을 필두로 하며 연구개발에 치중하고 있는 일부 자회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 분야가 구글 산하에 속한다.


4.2. 기타[편집]


기업명총괄자비고
Google Fiber디네쉬 제인[19]
Calico아서 레빈슨[20]
Verily앤드류 콘래드[21]
Mineral엘리엇 그랜트[22]
Isomorphic Labs데미스 허사비스[23]
Waymo테케드라 마와카나
드미트리 돌고프
[24]
Wing제임스 라이언 버게스[25]
Intrinsic웬디 탠 화이트[26]
X 디벨롭먼트애스트로 텔러[27]
CapitalG데이비드 라위[28]
GV데이비드 크레인[29]
산하 기업별로 독립성을 보장받으며 운영되고 있다. 오랜 기간동안 기타 부문이 해당되는 신산업에 투자해왔으나, 매출을 훨씬 상회하는 적자가 누적되는 반면 괄목할만한 사업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폐지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생겨나고 있다. 2022년 연결 기준으로 10억 6,800만 달러 매출[30]을 올린 반면 무려 60억 달러가 넘는 적자[31]를 기록했다.


4.2.1. 사업 중단[편집]


풍선을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는 지역에 LTE 속도의 인터넷을 공급하는 프로젝트 룬이 X로부터 독립해 만들어진 기업. 2021년 1월, 사업이 중단되었다.

[1] 초대 의장이었던 에릭 슈미트의 후임이다.[2] 초대 CEO였던 래리 페이지의 후임이다.[3] A주[4] C주[5] 2023년 1월, 미국 경기 둔화로 인하여 정원 6% 가량인 12,000명을 해고하며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구조조정을 단행했다.[6] 이스터 에그로 홈페이지에 실리콘밸리(미국 드라마)의 가상기업인 'Hooli'의 홈페이지 링크가 숨어있다. 주소는 'http://hooli.xyz'. 기나긴 글 속에서 our drone delivery effort를 찾고나서 effort 다음에 있는 마침표를 누르면 된다. Ctrl+F를 사용하면 찾기 편하다. 마침표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도 손가락 모양으로 바뀌지 않는다.[7] C, D, F, G, J, S, V, W, X 등. 심지어 자사 홈페이지 주소가 abc.xyz다.[8] 주식도 A, B, C 세 종류가 있는데 정식 상장되어 있는 건 A와 C 두 개뿐이다. A는 의결권이 있고 C는 의결권이 없는 주식이다. B는 비상장주식으로 이사들이 보유하고 있다.[9] 2015년 7월 이후 일간 최대 상승률.[10] 비슷한 시기 또 다른 빅테크 업체인 세일즈포스도 첫 배당금 지급 정책을 발표했다.[11] 공동창업자 래리 페이지세르게이 브린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으나, 여전히 이사회에 남아 클래스 B 주식의 차등의결권을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둘의 동의 없이는 특별결의안 통과가 불가하다.[12] 셔팔로 벤처스 매니징 파트너. 구글 초기 투자자이며, 원년 이사회 구성원이다.[의장] [13] 픽사 전직 CFO.[14] TIAA 전직 CEO.[15]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16] 길레드 사이언스 전직 CFO.[17] 식스 스트릿 파트너 부의장.[18] 유튜브 프리미엄, 유튜브 TV, 구글 픽셀, 구글 플레이 등 광고를 제외한 구글 분야.[19] 광대역 인터넷과 IPTV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미국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데 사실상 구글과 유튜브 등 자사 서비스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한 사업으로 취급받는다.[20] 고령화와 관련된 질병 퇴치 및 안티에이징을 목표로 하는 생명공학 연구 기업.[21] 생명과학 연구 기업. 원래 X 디벨롭먼트 소속 프로젝트였다.[22] 지속 가능한 농업에 관한 사업을 전개한다.[23] 딥마인드에서 분사된 이후 설립된 신약개발 업체이다. 알파폴드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한다.[24] 로보택시 개발 기업. 애리조나 피닉스 지역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Loon, Verily와 마찬가지로 원래 X 디벨롭먼트 소속 프로젝트였다가 분리되었다.[25] 드론을 기반으로 한 화물 운송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 미국과 핀란드, 호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2019년에 호주에서 시범으로 음식 배달을 시작했다. 위의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원래 X 디벨롭먼트 소속 프로젝트였다.[26] 산업용 로봇을 제작하는 로보틱스 기업. X 디벨롭먼트 산하에서 독립했다.[27] 주주들에게 알려지면 반발이 거세질 연구들을 하고 있었으나, 요즘은 공식 홈페이지도 올려놓고 주요 프로젝트들도 소개하는 등 예전에 비해서는 신비주의가 약해졌다. 본사 구글플렉스에서 좀 떨어진 곳에 따로 사무실이 있다. 회사명은 원래 Google X였다가 알파벳 산하로 들어오면서 바뀌었다.[28] 사모 펀드 기업. 원래 구글 캐피탈(Google Capital)이었다가 알파벳 산하로 들어왔다. 국내에서는 아이온큐에 투자한 것으로 유명하다.[29]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 기업. 회사명은 원래는 구글 벤처스(Google Ventures)였다가 알파벳 산하로 들어오면서 바뀌었다.[30] 재무제표에 따르면 헬스케어(Calico)와 인터넷(Google Fiber)에서 대다수의 매출이 발생한다고 한다.[31] 2020년에만 45억 달러 적자를 낸 Waymo와 더불어 매출 자체가 안나오고 있는 X 디벨롭먼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알파벳 문서의 r2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알파벳 문서의 r2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9 22:25:08에 나무위키 알파벳(기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