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G eSports/오버워치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Gen.G eSports

}}} ||



파일:DU-mc25X4AUr0Ro.png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참가팀
【 트라이얼 1주차 】
【 컨텐더스 1주차 】
파일:Runawaylogo.png파일:O2 BLAST 2019 logo.png파일:Gen.Glogo_square.png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RunAwayO2 BlastGen.GElement Mystic트라이얼 1위트라이얼 2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트라이얼 3위트라이얼 4위트라이얼 5위트라이얼 6위트라이얼 7위트라이얼 8위
【 트라이얼 2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5위컨텐더스 6위컨텐더스 7위컨텐더스 8위컨텐더스 9위컨텐더스 10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11위컨텐더스 12위트라이얼 9위트라이얼 10위트라이얼 11위트라이얼 12위
【 컨텐더스 2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1시드컨텐더스 2시드컨텐더스 3시드컨텐더스 4시드트라이얼 1위트라이얼 2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트라이얼 3위트라이얼 4위트라이얼 5위트라이얼 6위트라이얼 7위트라이얼 8위
【 트라이얼 3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트라이얼 1시드트라이얼 2시드트라이얼 3시드트라이얼 4시드오픈 디비전 1위오픈 디비전 2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오픈 디비전 3위오픈 디비전 4위오픈 디비전 5위오픈 디비전 6위오픈 디비전 7위오픈 디비전 8위
【 컨텐더스 3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1시드컨텐더스 2시드컨텐더스 3시드컨텐더스 4시드트라이얼 1위트라이얼 2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트라이얼 3위트라이얼 4위트라이얼 5위트라이얼 6위트라이얼 7위트라이얼 8위
【 트라이얼 4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5위컨텐더스 6위컨텐더스 7위컨텐더스 8위컨텐더스 9위컨텐더스 10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11위컨텐더스 12위트라이얼 9위트라이얼 10위트라이얼 11위트라이얼 12위
【 컨텐더스 4주차 】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컨텐더스 1시드컨텐더스 2시드컨텐더스 3시드컨텐더스 4시드트라이얼 1위트라이얼 2위
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파일:오버워치 로고.png
트라이얼 3위트라이얼 4위트라이얼 5위트라이얼 6위트라이얼 7위트라이얼 8위
오버워치 프로게임단 목록


파일:GenG_only_logo.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Gen.Glogo_square.png
젠지 이스포츠
Gen.G eSports
창단2018년 11월 2일
지역파일: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
소속 리그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약칭GGE
팀 오너파일:미국 국기.png 케빈 추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png 25. zelgadiss (이시우)
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png 88. MMA (문성원)
스카우터파일:대한민국 국기.png Lime (박시훈)
팀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PS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9. 정학용

Stalk3r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임길성

Glister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최석우

Wekeed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함은상

Oberon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성승현

WooHyaL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파일:crwn.png ?. 김세용

DNCE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김영완

crea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 김태훈

Fuze
1. 개요
2. 멤버
2.1. Stalk3r
2.3. Glister
2.6. Fuze
2.7. Creative
2.8. DNCE
3. 전 멤버
4. 대회 기록
5. 기타


1. 개요[편집]


11월 2일 창단된 Gen.G 산하의 서울 다이너스티 아카데미 팀으로, 리퀴피디아 등의 사이트에서는 Gen.G eSports라는 팀명으로 표기했으며, 11월 8일 조지명식 공지에서 젠지 산하 타 게임 팀들과 같이 Gen.G eSports 브랜드를 사용하게 되었음이 발표됐다.

2. 멤버[편집]


파일:Gen.Glogo_square.png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PS
No.0No.1No.9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Wekeed파일:대한민국 국기.png Haeim파일:대한민국 국기.png Stalk3r
최석우황준선정학용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No.24No.31No.77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someone파일:대한민국 국기.png Oberon파일:대한민국 국기.png WooHyaL
함정완함은상성승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No.5No.7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Bliss파일:대한민국 국기.png Be9
김소명안규민




2.1. Stalk3r[편집]


이름 : 정학용
포지션 : DPS
전 Wild Cat 소속

이전 소속했던 팀은 트라이얼에서 탈락했으나 본인은 젠지에 입단하면서 컨텐더스에서도 활약하게 되었다.

시즌 초에는 자리야, 겐지, 파라 등 어떠한 영웅도 잘 다루지 못하는 루크와 더불어 팀의 구멍으로 평가되었지만 시즌이 지날수록 본인의 기량이 점점 발전하면서 포지션이 다소 과한 것을 제외하면 나름대로 준수한 자리야 플레이를 보여주는 등 평가가 꽤 올라갔다. 결국 2018 OWCK S3를 종료하고 닥친 리빌딩의 칼날에서 든세와 함께 살아남았다.


2.2. Wekeed[편집]


문서 참고.


2.3. Glister[편집]


이름 : 임길성
포지션 : DPS
주 영웅 : 겐지, 트레이서,위도우메이커

전 X6-gaming 소속.


2.4. Oberon[편집]


문서 참고.


2.5. Woohyal[편집]


문서 참고.


2.6. Fuze[편집]


이름: 김태훈
나이: 20
포지션: SUPPORT
주 영웅: 루시우, 아나, 메르시

전 MVP space 소속.

지금은 EMP 비트 카운터를 다른 선수들도 할 수 있지만, 이 선수가 사실상 최초로 역카운터를 시도하였으며 성공한 선수이다.


2.7. Creative[편집]


이름 : 김영완
포지션 : Support
주 영웅 : 젠야타, 아나

X6-Gaming 소속.


2.8. DNCE[편집]


이름 : 김세용
포지션 : SUPPORT
주 영웅 : 젠야타

전 콩두 운시아, Samsung MoningStars Blue 소속 서브힐러.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3. 전 멤버[편집]


  • Agnes (예현서)
포지션 : DPS
EXL-Esports 소속
든세와 슈빌의 똥꼬쇼와 루크와 스토커의 쓰로잉으로 묻혀있지만 팀이 패배하는 와중에도 꽤나 판을 만들어주는 플레이를 자주 만들어내는 편이다. 다만 3탱3힐의 주 영웅인 브리기테 기량은 아직은 아쉬운 편.
  • LUKE (김현준)
포지션 : TANK
주 영웅 : 라인하르트, 윈스턴
전 Monster Shield KR 소속.
경기에 출전할 때마다 포커싱에 무기력하게 녹아내리고[1] 이해할 수 없는 진입 등 영 좋지 않은 기량을 보이며 스토커랑 같이 젠지에서 구멍을 담당했으나 이후 스토커의 기량이 조금씩 성장하면서 유일한 구멍으로 남았고 이후 엄태가 영입되고 나서 바로 벤치 신세가 됐다.
특히 러너웨이의 메인 탱커인 Mag를 서류 심사에서 탈락시키고 이 선수를 뽑은게 밝혀져 더욱 놀림감이 되고 있다.
  • Shubil (방민준)
포지션 : TANK
주 영웅 : D.Va, 자리야, 위도우메이커
콩두 판테라 소속 서브탱커.
2018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개막식에서 위도우 1:1 매치에 참가, 4강 진출이라는 성적을 얻어냈다. 쟁쟁한 위도우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4강에 진출한 탱커 포지션이다.
시즌에서는 든세와 같이 소년가장 역할을 맡고 있다. 킬캐치 능력은 뛰어나지만 메카 유지력과 자폭 활용이 살짝 부족하다는 평
결국 고질적인 부족한 메카 유지력을 극복하지 못해 포스트시즌 탈락에 원흉이 되고 말았다.
  • LVLZ (문성민)
포지션 : SUPPORT
주 영웅 : 루시우, 메르시
ARMAMENT 소속 메인힐러
안정적인 플레이를 고수하면서 큰 미스 없이 무난한 모습을 보여준다.
마우스 DPI는 800, 인게임 감도는 루시우 5, 메르시 7을 사용한다. X6에 들어간것이 확인되었다.


  • Umtae (엄태형)
포지션: TANK
주 영웅 : 라인하르트, 윈스턴
GoinWaterS 소속. 2018 컨텐더스 시즌 3 도중에 영입되었다.
영입 전에 평가가 썩 뛰어나지는 않아서 루크와 함께 구멍을 이룰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입단 후 첫 게임에서 확실한 캐리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는 라인하르트에 비해 윈스턴 기량은 아쉬웠다는게 드러났다

4. 대회 기록[편집]


우승준우승3-4위5-6위진출 실패
플레이오프 란에 적용

파일:GenG_Logo.png 젠지 이스포츠
연도시즌최종 순위승패승점정규시즌플레이오프
순위
2018년OWCK 시즌 310위1승 4패-9B조5위진출 실패
2019년OWCK 시즌 1

4.1. 2018년[편집]



4.1.1.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편집]


조 지명식에 LVLZ 선수가 참여했다. 아무래도 보여준 거 없이 리그 아카데미 팀의 시드로 컨텐더스에 온지라 타 팀들에게 상대적으로 맛집으로 인식되는 듯.[2] 이후의 위도우 1vs1 이벤트 매치에서는 서브탱커 포지션인 슈빌이 참여하였는데, 의외로 4강까지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탑4 위도우 중 유일한 탱커 포지션이었다.

정규 시즌에서는 1승 4패로 플레이 오프 진출에 실패하였다. 든세와 슈빌이 어떻게는 팀을 지탱해봤지만 루크의 부족한 탱커 실력때문에 역부족이었다. 빈약한 탱라인을 보완하기 위해 엄태를 영입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메타 아테나 에게서 4대0 완승을 따냈지만, 스톰퀘이크에게는 역부족이었다.


4.1.2. Sino-Korean e-Sports Competition 2018[편집]


SKC 2018 (2018. 12. 31.)
파일:오버워치 거점 쟁탈.png파일:오버워치 화물 호위.png
파일:그리스 국기.png
일리오스
파일:미국 국기.png
66번 국도
파일:GenG_Logo.png222
파일:FGlogo.png010
[ 경기 영상 펼치기 · 접기 ]
파일:zhanqi.png (중국어): #

컨텐더스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고, 감독인 문성원의 트위터에 중국 컨텐더스 팀인 Flag Gaming[3]과의 경기로 팀원들이 출국한다는 글이 게시되었다. 경기 결과는 2:0으로 젠지가 승리했다.

4.2. 2019년[편집]



4.2.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리그 아카데미 팀 시드로 참가가 확정되었다.

대회 개막 전 스토커와 든세를 제외한 5명의 선수가 팀을 나가면서 대대적인 리빌딩이 있을 예정이다.리그 팀이랑 아카데미랑 첫 시즌 성적이랑 큰 리빌딩하는것이랑 똑같이 따라간다.

이후 2월 22일 트위치 Gen.G 그룹에 우햘, 글리스터, 크리에이티브, 퓨즈가 추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여기에 위키드, 오베론이 추가된 6인을 영입하며 8인 로스터를 완성했다. 리그급으로 평가받던 우햘, 퓨즈와 전 리거 위키드, 그들과 함께 MVP에서 넘어온 오베론과 나이 어린 유망주 글리스터가 합류하며 컨텐더스 최상위권의 전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그리고 전 GC 부산 소속이었던 우햘루나틱 하이를 전신으로 하는 서울 다이너스티의 아카데미 팀에 입단하며, 끝까지 1점 안주려고 젠지에 들어갔다.라는 드립이 나왔다.[4]


5. 기타[편집]


유일 한국 연고지 리그팀의 아카데미팀 답게 대리문제는 전혀 없다. 오히려 반대로 전 소속인 아그네스의 대리의혹이 터졌을때 이시우 감독 왈으로 "저희 팀 연습 일정으로는 대리할 시간도 안나옵니다. 그리고 어떤 정신나간 선수가 제 밑에서 대리하겠습니까. 그 길로 강제 은퇴인데..."라는 말을 남겨서 앞으론 그렇게 큰 걱정은 안해도 될거같다.[5] 참고로 이시우 감독은 데일리e스포츠 기자 시절 대리에 관해 강하게 규탄하는 기사를 쓰기도 했을만큼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6]
[1] 특히 엘미전에서 엘미의 포커싱을 감당 못하고 무너졌고 부산전 경기에서 총 세트 합 62데스를 기록 거의 세트 당 15데스는 할 정도로 포커싱을 받아내지 못 하고 있다.[2] Luke, Agnes는 상대적으로 수준이 떨어진다는 퍼시픽에서 각각 4강, 8강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Shubil은 콩두 판테라에서 DDing, Decay에게 서브탱커 자리를 밀려 후보 선수가 되었고, 그 외 다른 선수들은 트라이얼 출신이기에 약팀 취급을 받고 있다.[3] 전 상하이 드래곤즈의 감독인 U4와 서브탱커인 MG가 소속되어있는 팀이다.[4] 런던 스핏파이어 팀 자체는 스테이지 3와 4에서 2점씩, 총 4점을 내주기는 했지만 이 당시에는 우햘이 아닌 퓨리가 출전했기 때문에 아직 1점은 주지 않았다는 드립이 가능하다.[5] 링크에서 보면 알겠지만 아그네스의 대리는 사실이 아니고, 제보한 페이지는 도용이라고 한다.[6] 기자 시절 특정 선수를 소개하는 코너 형식의 기사를 여러번 쓴적이 있는데 중단한 이유도 소개 했던 선수 중에서도 대리 혐의자가 나와서라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