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boiled

덤프버전 :

Hardboiled

파일:external/www.fluxusmusic.co.kr/WW.jpg

발매일
2008년 9월 23일
장르
일렉트로니카, 모던 록,
재생
시간

53:49
곡 수
16
레이블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luxus Music
프로듀서
W
타이틀 곡
R.P.G. Shine
1. 개요
2. 상세
3. 트랙 리스트
3.1. MacGuffin No.1
3.2. 오빠가 돌아왔다
3.3. Stardust
3.4. Morning Star
3.5. 아가사 크리스티의 이중생활
3.7. MacGuffin No.2
3.8. 월광(月狂)
3.9. Too Young To Die (Too Drunk To Live)
3.10. 고양이 사용 설명서
3.11. Whale Song
3.12. R.P.G. (Rocket Punch Generation)
3.15. MacGuffin No.3
3.16. 우리의 해피엔드


1. 개요[편집]


2008년 발매된 W의 세 번째 앨범이자 W&Whale로서 발매한 첫 앨범.


2. 상세[편집]


2005년 발매된 2집 Where The Story Ends가 큰 성공을 거둔 뒤, W는 2007년 MBC 드라마 케세라세라의 OST 월광(月狂)을 통해 객원보컬 Whale과 협업한 첫 작품을 선보이며 W&Whale로서의 시작을 알렸다. 뒤이어 2008년에는 W&Whale로서 첫 정규 앨범을 발매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Hardboiled>다.

리더 배영준은 본 앨범의 컨셉은 '위대한 패배자들의 경쾌한 멜로디'로, '비열하게 이기는 것보다 아름답게 패배하는 방법을 소중하게 생각해보자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앨범의 주된 모티브는 볼프 슈나이더의 <위대한 패배자>, 박민규의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등에서 얻어왔다고 한다. 앨범 중간중간에 맥거핀 기법이 사용된 것 또한 특기할 만한 부분.

워낙 2집의 퀄리티가 좋다 보니 그만은 못했지만 여전히 평단과 대중의 호응은 높아서,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상을 수상했고 수록곡 'R.P.G. Shine'도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노래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앨범 판매량도 2008년 하반기에만 1만 5천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선전했다. 또한 앨범 내 수록곡 대부분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심지어 광고에까지 사용되면서 W가 아닌 W&Whale로서의 대외적 인지도를 빠르게 다지는 기반이 되기도 했다.[1]

여담으로 앨범 제목인 Hardboiled는 다름아닌 은혼코제니가타 헤이지의 별칭인 하드보일드에서 따왔다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수록곡에서도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 따온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

내용 출처 1
내용 출처 2
내용 출처 3


3.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길이
1
MacGuffin No.1
-
한재원
한재원
1:33
2
오빠가 돌아왔다
배영준
배영준, 한재원
배영준, 한재원, 김상훈
4:02
3
Stardust
3:37
4
Morning Star
3:27
5
아가사 크리스티의 이중생활
배영준, 김상훈
김상훈
한재원
3:47
6
R.P.G. Shine
배영준, Whale
배영준, 한재원
한재원
3:30
7
MacGuffin No.2
-
한재원
한재원
1:44
8
월광(月狂)
배영준, 한재원
배영준, 한재원
배영준, 한재원, 김상훈
3:18
9
Too Young To Die (Too Drunk To Live)
배영준
김상훈
한재원
4:14
10
고양이 사용 설명서
3:57
11
Whale Song
Whale
Whale
한재원, Whale
3:36
12
R.P.G. (Rocket Punch Generation)
배영준, Whale
배영준, 한재원
한재원
3:10
13
최종병기 그녀
배영준
배영준, 한재원
한재원
3:22
14
Dear My Friend
김상훈
김상훈
한재원
4:28
15
MacGuffin No.3
-
한재원
한재원
2:18
16
우리의 해피엔드
배영준
김상훈
한재원
3:46

3.1. MacGuffin No.1[편집]




3.2. 오빠가 돌아왔다[편집]



곡명은 김영하의 소설 <오빠가 돌아왔다>에서 따 왔다. 여담으로 가사 중에 이토 준지사자의 상사병에 등장하는 '사거리의 미소년'이 언급된다.

오빠가 돌아왔다
{{{#B22222 늘 한 마리 고독한 늑대처럼
세상과 화해하지 못한 채
매섭게 치켜 뜬 눈빛 속에
화려한 슬픔을 간직한 채
학교 앞 큰 길, 그 사거리의 미소년
이렇게 다시 오빠가 돌아왔다
태양을 등지고 돌아 선 모습
모든 게 멈춘 듯한 한 순간
생각보다 작은 그의 어깨로
가만히 내려앉는 나비 한 마리
또 어딘가 먼 곳을 바라보며
오빠는 가만히 노래했지
현실에 타협할 수 없었던
위대한 패배자들의 Blues
학교 앞 큰 길, 그 사거리의 미소년
이렇게 다시 오빠가 돌아왔다
태양을 등지고 돌아 선 모습
모든 게 멈춘 듯한 한 순간
생각보다 작은 그의 어깨로
가만히 내려앉는 나비 한 마리
질 수 밖에 없는 게임의 법칙
하지만 후회 따윈 하지 않아
그는 어느새 또 웃고 있었지
한 번도 본 적 없는 고운 웃음
태양을 등지고 돌아 선 모습
생각보다 작은 그의 어깨로
가만히 내려앉는 나비 한 마리 }}}

3.3. Stardust[편집]



보컬 Whale이 앨범에서 가장 애정하는 곡이라고 한다.

Stardust
{{{#B22222 When you look in the sky 별이 불어오던 밤
푸른 달 푸른 숲 푸른 너의 숨소리
텅 빈 하늘 가득 여름 별자리
고운 빛 가득한 오색 은하수
눈부신 우리는
More than a shining star 꿈을 꾸는 너의 눈빛
More than a word can said 바로 지금 이 한 순간
Run baby run 깊은 밤을 날아서
슬픈 잠 슬픈 꿈 슬픈 눈물은 안녕
은빛 물결 다시 별의 바다로
마음껏 즐거운 나의 고래 한 마리
빛나는 우리는
More than a shining star 꿈을 꾸는 너의 눈빛
More than a word can said 바로 지금 이 한 순간
더 조금 더 너의 노래를 듣고 싶어
더 한 번 더 너와 함께 별을 세던 그 밤
그 하늘 위로
More than a shining star 꿈을 꾸는 너의 눈빛
More than a word can said 바로 지금 이 한 순간
More than a shining star 꿈을 꾸는 너의 눈빛
More than a word can said 바로 지금 이 한 순간 }}}


3.4. Morning Star[편집]



영화 <바다 쪽으로 한 뼘 더> 뮤직비디오에 삽입되었다. 김상훈이 이 앨범에서 가장 애정을 느끼는 곡으로 뽑았다.

Morning Star
{{{#B22222 Morning Star 반짝이는 너는 Lucky Star
방긋한 Morning Star 햇살 속의 너는 Shining Star
달콤한 잠투정 영원보다 더 아쉬운 5분만 더
환한 치약 향기 하얀 거품 맑게 씻은 너의 얼굴
마음껏 피곤한 하루 나도 알고 있어
이대로 Runaway 깊고 슬픈 잠의 Runaway
그렇지만 그렇지만 Right now
Morning Star 반짝이는 너는 Lucky Star
방긋한 Morning Star 햇살 속의 너는 Shining Star
우울한 월요일 아침 힘겨운 한숨들
다시 또 Runaway 멋진 침대 속의 Runaway
그렇지만 그렇지만 Right now
Morning Star 반짝이는 너는 Lucky Star
(Nothing but the good time)
방긋한 Morning Star 햇살 속의 너는 Shining Star
(Fighting like the 1st time)
Morning Star 반짝이는 너는 Lucky Star
(Nothing but the good time)
방긋한 Morning Star 햇살 속의 너는 Shining Star
(Fighting like the 1st time yeah) }}}


3.5. 아가사 크리스티의 이중생활[편집]




아가사 크리스티의 이중생활
{{{#B22222 한 치의 빈틈없는 알리바이
완벽한 밀실의 살인사건
마침내 얼굴을 드러내는
예상치 못한 제 3의 인물
회색 빛 눈동자의 늙은 고양이
무거운 커튼 뒤로 긴 그림자
차갑게 빛나는 Mystery
숨 가쁜 의외의 결말처럼
눈부신 반전의 Hysterie
끝나지 않는 너와 나의 이야기들
흔적도 없이 지워진 기억
꼬박 열 하루의 실종 속에
심장을 겨눈 칼끝에 서서
평온한 일상을 꿈꾸는 듯
짙은 안개 속으로 사라진 여인
다시 기억상실을 동경하며
차갑게 빛나는 Mystery
숨 가쁜 의외의 결말처럼
눈부신 반전의 Hysterie
끝나지 않는 너와 나의 이야기들
This is not where the story ends
비정한 욕망의 Love story
흩어진 시간의 먼지처럼
화려한 비밀의 History
다시 시작될 너와 나의 이야기들
차갑게 빛나는 Mystery
숨 가쁜 의외의 결말처럼 (결말처럼)
눈부신 반전의 Hysterie
끝나지 않는 너와 나의 이야기들 }}}

3.6. R.P.G. Shine[편집]




음원
공식 뮤직비디오
명실상부한 본 앨범 최고의 히트곡. 해당 문서 참조.

R.P.G. Shine
{{{#B22222 건조한 눈빛 쓰디쓴 그대의 혀
항상 말만 앞서고 행동하진 못해
나는 좀처럼 스스로 판단할 수 없어
필요한 건 Rocket punch
때론 나 대신 싸워주는 로봇
그건 말도 안 되는 만화 속 이야기
너의 어깨가 부셔져라 부딪혀야 해
1 & 2 & 3 & 4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대체 왜 그래 뭐가 부끄럽다고
딱딱해지는 몸짓 빨개지는 얼굴
삶은 언제나 그렇듯 오르막 내리막
Tricky Freaky Break it my heart
누가 뭐래도 무거운 신념 하나
너의 가슴 속 깊이 못을 박아 두고
결국 뱃머리 돌리는 건 바로 나 캡틴 Whale
5 & 6 & 7 & 8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Oh love me & love you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으니
Hold me & I'll hold you
또 이보다 더 나빠진다 해도 우리
이미 지난 일은 후회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불안할 것 없어 다가올 일도 중요한 건 바로 지금
I have to cha-cha-cha-change my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
We have to cha-cha-cha-change ourselves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


3.7. MacGuffin No.2[편집]





3.8. 월광(月狂)[편집]




음원
공식 뮤직비디오
MBC 드라마 케세라세라 OST로 사용되었다.

한재원이 가장 애정을 느끼는 본 앨범의 수록곡이기도 하며, 전 멤버가 가장 선호도가 겹치는 곡으로 꼽기도 했다.

월광(月狂)
{{{#B22222 마음의 준비를 해 긴 밤이 될 테니
귓가에 비릿한 달의 속삭임
은빛 탄환의 비를 춤추듯 피해서
중력을 뿌리친 채 저 하늘로
(나를 봐) 푸른 달빛 속에서
(나를 봐) 흩어져 깨진 거울 속에서
(어느새) 지금껏 네가 알고 있었던
나는 내가 아니게 돼
Bad moonrise tonight 또 다른 나를
지금 네게 보여줄 테니
1, 2, 3 & 4 자 시작할게
너만 준비가 됐다면
거친 숨의 열기로 붉게 물든 눈빛
손톱을 세워 밤을 찢어내고
쏟아져 내릴 듯이 낮게 깔린 하늘
어둠을 가르는 내 검은 날개
(나를 봐) 푸른 달빛 속에서
(나를 봐) 흩어져 깨진 거울 속에서
(어느새) 지금껏 네가 알고 있었던
나는 내가 아니게 돼
Bad moonrise tonight 또 다른 나를
지금 네게 보여줄 테니
1, 2, 3 & 4 자 시작할게
너만 준비가 됐다면
Come & see tonight 지금의 나를
너는 결코 잊어선 안 돼
Let's get high enough 두려움으로
절대 눈을 감지 말고
Bad moonrise tonight 또 다른 나를
지금 네게 보여줄 테니
1, 2, 3 & 4 자 시작할게
너만 준비가 됐다면
Here's where the story ends }}}

3.9. Too Young To Die (Too Drunk To Live)[편집]



영화 <핸드폰>의 뮤직비디오에 삽입되었다.

Too Young To Die (Too Drunk To Live)
{{{#B22222 너의 마음 The heart of stone
그야말로 비정한 녀석
포르말린 용액 속에
절여진 네 눈빛
너의 손은 Supersonic
그야말로 재빠른 녀석
바람을 가로질러 상대를 향해
부서지는 손끝
끝이 뻔한 싸움 이 비열한 거리
주먹을 움켜쥔 너는 Too young to die
치명적인 사랑 이 위험한 거래
너는 Too drunk to live
너의 노래 The youth gone wild
그야말로 철없는 녀석
아무도 노래하지 않는 Rock & Roll
빛바랜 그날들
끝이 뻔한 싸움 이 비열한 거리
주먹을 움켜쥔 너는 Too young to die
치명적인 사랑 이 위험한 거래
너는 Too drunk to live
Too Young To Die
Too Drunk To Live
결국 모든 게
부질없는 선택
무기력의 힘으로 튼튼한 미래
소리치며 우는 너는 Too young to die
아무도 모르게 먼지로 날아갈
너는 Too fast to live
끝이 뻔한 싸움 이 비열한 거리
주먹을 움켜쥔 너는 Too young to die
치명적인 사랑 이 위험한 거래
너는 Too drunk to live }}}


3.10. 고양이 사용 설명서[편집]




고양이 사용 설명서
{{{#B22222 너의 고양이라는 착각하지 말 것
고양이의 너일 뿐
고운 꽃줄기로도 묶어두지 말 것
아쉬운 건 너일 뿐
The queen of the queens
The king of the kings
아름다워라 나른한 듯
꿈을 꾸는 눈빛
부드러워라 춤을 추듯
어둠을 걷는 몸짓
무심한 그 태도에 상처받지 말 것
오해한 건 너일 뿐
The queen of the queens (The queen of the queens)
The king of the kings (The king of the kings)
The dream in the dreams (The dream in the dreams)
You're my lord
아름다워라 나른한 듯
꿈을 꾸는 눈빛
부드러워라 춤을 추듯
어둠을 걷는 몸짓
끝이 없어라 사랑이란
곁에 있어 주는 것
너의 눈물과 외로움도
다정한 침묵으로
아름다워라 나른한 듯
꿈을 꾸는 눈빛
부드러워라 춤을 추듯
어둠을 걷는 몸짓
(The queen of the queens) The queen of the queens
(The king of the kings) The king of the kings yeah }}}


3.11. Whale Song[편집]



곡명답게 이 앨범에서 Whale이 작사, 작곡한 유일한 곡이다. 가사에도 Whale이 평소 음악적 영감을 받는다고 언급했던 라디오헤드가 등장한다.

Whale Song
{{{#B22222 어린 날 포근한 엄마의 멜로디
언제나 품 속에 담아두고 싶어
까맣게 깊은 밤 하얗게 피어있는
별에게 얘기했지 수없이 많은 바램
언제나 꿈꾸는 길에 서 있는 내가 좋아
바보 같아 보여도 웃는 모습 참 좋아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지만 용서하고 사랑만 하고 싶어
Radiohead의 음악을 느끼며
이슬이 스며든 런던을 꿈꾸지
기타를 튕기는 내 손이 너무 좋아
굳은살 투성이지 나는 Rock & Roll Star
언제나 꿈꾸는 길에 서 있는 내가 좋아
바보 같아 보여도 웃는 모습 참 좋아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지만 용서하고 사랑만 하고 싶어
어쩌면 다시 흘러간 시간 속에서 힘이 드는지도
이제는 내게 감미로운 멜로디 그 속에 힘을 싣고
언제나 꿈꾸는 길에 서 있는 내가 좋아
바보 같아 보여도 웃는 모습 참 좋아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지만 용서하고 사랑만 하고 싶어 }}}


3.12. R.P.G. (Rocket Punch Generation)[편집]



R.P.G. Shine의 다른 버전으로, 드럼 비트가 약해진 대신 전자음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W가 음악 제작을 맡았던 권칠인 감독의 영화 <뜨거운 것이 좋아>에 원곡 그대로 삽입되었다.

R.P.G. (Rocket Punch Generation)
{{{#B22222 건조한 눈빛 쓰디쓴 그대의 혀
항상 말만 앞서고 행동하진 못해
나는 좀처럼 스스로 판단할 수 없어
필요한 건 Rocket punch
때론 나 대신 싸워주는 로봇
그건 말도 안 되는 만화 속 이야기
너의 어깨가 부셔져라 부딪혀야 해
1 & 2 & 3 & 4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대체 왜 그래 뭐가 부끄럽다고
딱딱해지는 몸짓 빨개지는 얼굴
삶은 언제나 그렇듯 오르막 내리막
Tricky Freaky Break it my heart
누가 뭐래도 무거운 신념 하나
너의 가슴 속 깊이 못을 박아 두고
결국 뱃머리 돌리는 건 바로 나 캡틴 Whale
5 & 6 & 7 & 8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Oh love me & love you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으니
Hold me & I'll hold you
또 이보다 더 나빠진다 해도 우리
이미 지난 일은 후회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불안할 것 없어 다가올 일도 중요한 건 바로 지금
I have to cha-cha-cha-change my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
We have to cha-cha-cha-change ourselves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마
Rocket Punch Generation
지루하게 선명하기보다는 흐릿해도 흥미롭게
You have to cha-cha-cha-change yourself }}}


3.13. 최종병기 그녀[편집]



동명의 만화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곡이다.

최종병기 그녀
{{{#B22222 차갑게 식어가는 햇살 속에서 희미한 웃음
어차피 이미 지난 일들이라고 위로하면서
하늘 위로 눈을 들어 바라보면
바람 속에서 너의 얼굴
꽃이 되어 세상 가득히 퍼져 가네
오랜 그 날들 눈부시게
아름다운 너의 웃음이 아직도 나는
어느새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집에 돌아와
어둠을 더듬으며 불을 밝히고 길고 긴 한숨
생각 없이 먼지 쌓인 창을 열면
꿈을 꾸는 듯 너의 얼굴
달빛으로 방안 가득히 채워 가네
오랜 그 날들 눈부시게
아름다운 너의 웃음이 아직도 나는
너무 아파서 정말 미안해 }}}


3.14. Dear My Friend[편집]



극장판 포켓몬스터DP: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의 국내판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R.P.G. (Rocket Punch Generation)과 마찬가지로 영화 <뜨거운 것이 좋아>에 삽입되었는데, 원곡 그대로 실린 것은 아니고 가사를 들어내고 편곡을 가미한 연주곡 버전이 '나는 소중하니까'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Dear My Friend
{{{#B22222 바람 속에 들려오는 너의 조용한 메세지는
기분 좋은 미소를 주네
저기 새하얀 구름 뒤에 아주 높은 저 하늘 위에
여전히 너는 웃고 있겠지
너무 빠른 우리의 익숙함이 아쉬웠나
너는 아무 말 없이 떠나가지만
잊지 않을게 나의 친구 너의 이름을 기억할게
왠지 어색한 너의 웃음들도
나는 여기서 기다릴게 너의 약속을 기억할게
우리 처음 만났던 그때처럼
가끔 내게 들려줄래 너를 볼 수는 없겠지만
너도 내가 보고 싶다면
아직도 저기 저 벽 위엔 여전히 우린 사진 속에
무엇이 그렇게도 좋은지
너무 빠른 우리의 익숙함이 아쉬웠나
너는 아무 말 없이 떠나가지만
잊지 않을게 나의 친구 너의 이름을 기억할게
왠지 어색한 너의 웃음들도
나는 여기서 기다릴 게 너의 약속을 기억할게
우리 처음 만났던 그때처럼
바보 같은 내 얘기지만 이젠 아무 소용없지만
가끔 네가 너무 밉기도 했어
잊지 않을게 나의 친구 뜨거운 너를 기억할게
우리 마지막 그날 그때처럼
Dear my friend never forget you
Remember when we there
Dear my friend never forget us
Remember we will be there
Dear my friend never forget you
Remember when we there
Dear my friend never forget us
Remember we will be there }}}


3.15. MacGuffin No.3[편집]





3.16. 우리의 해피엔드[편집]



리더 배영준이 이 앨범에서 가장 애정을 느끼는 곡으로 이 곡을 뽑았다.

우리의 해피엔드
{{{#B22222 그 달콤한 입술 끝에서
한 순간 싸늘한 미소로
이대로 Free your mind
또 그대로 Trigger now
Goodbye to romance
이 지독한 사랑 지겨운 눈물
더 지루한 이별 우리의 해피엔드
눈부신 벨벳의 웨딩드레스
차갑게 빛나는 Western Shot
이대로 Free your mind
또 그대로 Trigger now
Goodbye to romance
이 가련한 운명 가녀린 한숨
다 가버린 날들 우리의 해피엔드
최후의 입맞춤 다시 한번 더
이 지독한 사랑 지겨운 눈물
더 지루한 이별 우리의 해피엔드
이 가련한 운명 가녀린 한숨
다 가버린 날들 우리의 해피엔드
최후의 입맞춤 다시 한번 더
거침없는 Hardboiled 우리의 해피엔드 }}}

[1] 배영준은 집 앞 편의점에 갔다가 아르바이트생이 자기를 알아보는 것을 보고 '아, 2008년에 좀 열심히 했구나' 싶었다고 회고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2:04:37에 나무위키 Hardboile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