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 코드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2.1. 일람
2.2. 유의사항
3. 현황


1. 개요[편집]


미국 우주·미사일사령부(DEFSMAC, The Defense Special Missile and Astronautics Center)[1]에서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부여하는 코드 번호. KN은 North Korea의 두문자를 거꾸로 하여 표기한 것으로, 개발중인 북한의 발사체에 순서대로 이름붙여진다. 미국 전문가들은 KN Number(KN 넘버)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NATO 코드명과 비슷한 개념이다.


2. 상세[편집]



2.1. 일람[편집]


KN 코드명
성격
북한의 제식 명칭[2]
이표기 및 특징
KN-01
지대함
미상
STORMPETREL[3]
KN-02
지대지
《화성-11》형
독사
KN-03
지대지
화성-5 설
화성-7(노동) 설
#노동 개량형 설[A]
KN-04
지대지
화성-6
SCUD-C 혹은 SCUD-ER[A]
KN-05
공대함
미상
KN-01 개량형
KN-06
지대공
번개-5

KN-07
미상[4]
KN-08
지대지
화성-13

KN-09
지대지
미상
300mm 방사포
KN-10
지대지
미상
KN-02 개량형, 이후 시험발사 중단
KN-11
잠대지
《북극성》

KN-12
지대지
미상
122mm 방사포
KN-13
지대공
미상
SA-2 개량형[5]
KN-14
지대지
화성-13
KN-08의 개량형
KN-15
지대지
《북극성-2》형
《북극성》의 지상발사형
KN-16
지대지
미상
개량 300mm 방사포
KN-17
지대지
《화성-12》형

KN-18
지대함
미상
SCUD 개량형
KN-19
지대함
미상
금성-3호 개량형
KN-20
지대지
《화성-14》형

KN-21
지대지
미상
#보도 참고, 이후 시험발사 중단
KN-22
지대지
《화성-15》형

KN-23
지대지
미상
북한판 이스칸다르
KN-24
지대지
《화성-11나》형

KN-25
지대지
미상
대구경 신형 방사포
KN-26
함대지
《북극성-3》형
《북극성》의 개량형
KN-27
지대지/함
미상
2021.1.22 발사 미사일[6]
KN-28(?)
지대지
《화성-17》형
미국 북부사령관이 언급[7][8]
위 표는 KN 명칭에 따른 순서에 따라 북한의 발사체를 정리한 것으로, 링크는 KN 명칭의 링크를 활용했다. 공식 명칭이 발표된 경우 해당 명칭 항목으로 리다이렉트 된다.


2.2. 유의사항[편집]


보면 알겠지만 KN 명칭은 통상적인 미사일이 아닌 발사체에도 부여될 수 있다. KN-09는 300mm, KN-12는 122mm, KN-16은 300mm[9] 포이다. 또 모든 북한의 발사체가 KN 번호가 있는것도 아니다. 무수단[10], 화성-8[11] 등은 KN 번호가 따로 없다. 당연히 미사일을 운용하는 측과, 개발중인 미사일에 대한 정보수집을 하는 측에서 부르는 명칭이 다른 셈. 그리고 KN 번호가 존재하나 북한이 사진을 공개한 적도 없는 'KN-21'같은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시험발사가 꼭 이루어져야 KN 번호가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KN-08KN-14의 예시가 있다. 실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어도, 모형이나 프로토타입이 아닌 실전배치가 완료된 미사일이라면 KN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12]

그 외에 KN-09의 개량형으로 보이는 KN-16에는 새로운 KN 코드가 부여되었지만, 금성 3호의 함대함 발사는 KN-01과 분명 다른 형상의 미사일임에도 KN-01로 발표했고 추 후 지대함 버전에 KN-19가 부여되었다. 이는 특별히 잘못되었다고 보기보다는 자국 미사일 개발 현황을 꽁꽁 숨기면서도 최대한 허세를 부리려는 북한의 태도 때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19년 이후로 신형 미사일이 쏟아져 나온 것으로 보아 KN-10, KN-21같은 경우 그들 중 하나의 프로토타입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몇번 언급되었지만 당연히 북한 나름의 공식 제식 명칭도 있다. 화성 미사일북극성 미사일이 그 대표격. 그러다보니 KN-14와 화성-14형은 별개의 미사일을 가리킴에도 숫자 때문에 혼란이 생겨난다. 거기에다 같은 미사일을 시험발사 할때마다 우리 입장에서 -1호, -2호와 같이 표기한 것[13]을 별개의 미사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요컨대,
  • 북한의 모든 미사일(발사체)에 KN 코드가 부여된 것은 아니다.
  • 시험발사 없이 미사일(발사체) 형상만 외부 공개되었음에도 부여될 수 있다. 심지어 정보 자산으로만 탐지된 경우에도 부여될 수 있다.
  • 분명 다른 미사일임에도 과거의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개발 단계의 프로토타입 형태에도 붙을 수 있다.

3. 현황[편집]


2020년 3월, 미국 측이 우리 군에 KN 코드를 군사기밀로 취급할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 그래서 우리 군 독자의 코드도 사용되고 있다. 잠시나마 KN-25 코드 부여가 기사화 되는 등, 지속적으로 KN 코드는 공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2021년에 발사된 화성-8, 번개-7, KN-23 대형화 개량형, KN-23 개량형 SLBM, 조선인민군 장거리 순항미사일 A형의 KN 코드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단지 외형만 공개된 게 아니라 시험발사까지 이루어졌으니[14] 공개될법도 한데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미국측에서 공개를 꺼리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전부 부여된다면 KN-30은 거뜬히 넘긴다.

화성-17의 KN 코드가 'KN-28'이라는 글렌 밴허크 대장의 발언은 상당히 신빙성이 높다. 그가 그냥(?) 공군 장성도 아니고 북미 지역 방공의 최고 책임자 직위인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사령관을 겸임하면서 한 발언이기에 민간 연구가들이나 언론사를 통해 흘린 익명의 소식통 정보보다는 권위가 있다.[15] 그런데 화성-17 항목에서 알 수 있겠지만 이 미사일이 한미당국에 최초 포착된 것은 2020년 9월 30일 이전이다. 즉 KN-27은 그 이전에 식별된 미사일이어야 하는데, 2021년 1월 및 3월 발사 미사일이 KN-27이라는 것은 다소 이상하다.

그런데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16]는 2020년 발사한 KN-19 장갑화 개량형 순항미사일이 KN-27, 열병식에서 공개한 화성-17이 KN-28, 2022년 초 발사한 순항 미사일이 KN-29, KN-23 대형화 개량형이 KN-30이라고 연구자료에서 기술하고 있다. # 그의 설명을 따르자면 글렌 벤허크 대장의 발언과 충돌도 없고, 식별 순서대로 숫자가 붙는 KN 코드의 관례에도 부합한다. 2020년에 한미측이 위성으로 발사 시험중인 KN-19 장갑화 개량형 TEL을 식별후 'KN-27' 코드명 부여→KN-28 식별후 코드명 부여→2021년 1월 및 3월 미사일도 KN-27로 평가했으나, 추후 재평가하면서 KN-29로 재명명→KN-23 대형화 개량형에 'KN-30' 코드명 부여. 하지만 군 당국자가 속 시원히 공개하지 않는 이상 누구의 말이 옳은지는 알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8:32:24에 나무위키 KN 코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언론에서는 '한미 당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9년 들어 우리 국방부에서 KN 코드와 별도로 자체 코드를 부여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군의 독자성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아 KN코드는 미국 측이 주도적으로 부여한 것임을 할 수 있다. 또한 DEFSMAC이 부여해온 코드라는 것이 확인된 언론 보도도 등장했다. #[2] 북한이 선전 매체 등에서 겹화살괄호를 넣은 공식 표기를 사용한 경우 이를 따름[3] 2015년 처음 발사된 금성 3호 함대함 미사일에도 'KN-01'이라는 호칭만 붙고 추가적인 KN 코드는 부여되지 않았다.[A] A B 단 이것은 제식화된 SCUD나 노동을 통칭하는 식으로 KN 코드를 부여한 것이 아니라, 특정 발사(실험)에 한해 그런 코드가 붙은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4] 2010년과 2012년 사이에 식별된 미사일일 것이다. 무수단은 이미 1990년대에 식별되어 KN-07이 무수단이라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5] 2015.3.12의 SA계열 지대공 미사일[6] 출처 조선인민군 장거리 순항미사일 A형이 이 KN-27의 개량형이라는 분석을 담은 기사다.[7] 글렌 밴허크(Glen D. VanHerck) 공군 대장이 'SMD2021'라는 심포지엄 기조 발언 중 언급 # #[8] 이 외에 KN-27이 화성-17이라는 언론의 주장도 있었다. #의 '...likely to be designated either Hwasong-16 or KN-27' 하지만 언론 및 민간 북한 연구가들의 추론일 뿐이다.[9] 초기에는 240mm~300mm로 추정되었다 추후 확정[10] 무수단은 이미 화대군의 지명으로 명칭이 붙었다.[11] 통상 북한은 제식명칭을 숨기는 편이다. 그러나 화성-8은 KN 코드를 붙이기도 전에 화끈하게 로동신문을 통해 제식명칭을 공개해 버렸다.[12] KN-08/14의 실발사는 2021년 10월까지 단 한차례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3] 노동-1호, 노동-2호가 예시가 된다. 북한에서는 모두 화성-7일 것이다.[14] 북극성-5화성-17은 시험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KN 코드가 부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크다.[15] 화성-17이 KN-27임을 전제로 한 영어 위키백과나 민간 사이트에서 부르는 KN 코드명은 이 발언으로 상당수 그 권위가 부정되어 버렸다.[16] 해군 중령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