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군산시김제시남원시
군산고속 · 군산시외 · 대야 · 군산대 · 군산공항 · 군산시청김제 · 만경 · 원평남원 · 인월지리산 · 뱀사골
익산시전주시정읍시
익산 · 금마 · 여산 · 함열 · 익산역 · 원광대전주시외 · 전주고속 · 덕진 · 완산 · 노송 · 전동 · 전주대 · 호남제일문· 서부시외 · 인후정읍 · 내장산 · 산외 · 신태인 · 칠보 · 태인

고창군무주군부안군순창군
고창 · 흥덕 · 대산 · 무장 · 해리 · 상하 · 구시포 · 선운산무주 · 설천 · 안성부안 · 격포 · 변산 · 줄포 · 곰서(진서)순창 · 금과 · 적성 · 동계
완주군임실군장수군진안군
삼례 · 대둔산 · 고산 · 익산IC · 우석대 · 장신대 · 혁신도시임실 · 강진 · 관촌 · 오수 · 삼계 · 성수 · 청웅장수 · 계남 · 번암 · 산서 · 장계 · 천천진안 · 백운 · 안천 · 우화 · 주천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남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파일:인월터미널.png

1. 개요
2. 노선
2.1. 호남권
2.2. 영남권
2.3. 수도권



1. 개요[편집]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에 있는 공용버스터미널로, 옛 운봉현 지역인 운봉읍, 아영면, 인월면 등 남원 동부 지역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인구가 얼마 안 되는 면 지역에 있지만 전주, 오수, 진주, 임실, 함양, 마산 등 여러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시외버스들이 다수 정차한다. 즉, 여기서 삼남지방은 거의 다 갈 수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영남권인 진주, 함양, 마산, 창원, 호남권인 전주, 오수, 임실 행 버스가 모두 정차하고 동서울 행까지 있으면 강원도 빼고 거의 다 갈 수 있다 봐도 된다.)

매출이 거의 나오지 않아 사업자가 폐업신고를 냈고 2023년 3월까지 운영한 후 폐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4월 폐업 신청을 했던 애초 방침을 철회하고 운영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 1번: 산내, 상황, 백일, 아영, 함양
  • 2번: 산내, 실상사, 마천, 등구, 추성, 도마, 삼정, 백무동
  • 3번: 남원, 운봉, 오수, 임실, 전주
  • 4번: 마산, 창원, 원지, 산청, 생초, 수동, 함양, 진주, 부산
  • 5번: 동서울, 서울남부, 부천, 안양
  • 6번: 산내, 뱀사골, 달궁, 운봉, 남원, 노고단


2. 노선[편집]



2.1. 호남권[편집]


권역도착지경유지운행횟수운행회사기타
호남권전주(남원경유)남원1일 4회대한여객, 전북여객, 호남고속막차 오후 3:00분
전주(남원, 오수, 임실경유)남원, 오수, 임실1일 2회막차 오후 2시 10분
광주(남원경유)남원1일 1회동광고속
노고단뱀사골1일 1회함양지리산고속


2.2. 영남권[편집]


권역도착지경유지운행횟수운행회사기타
영남권마산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진주1일 1회전북여객막차 오후 16시 23분
진주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1일 3회대한여객, 전북여객막차 오후 16시 23분
부산서부함양, 수동, 생초, 산청, 원지, 진주1일 1회대한여객막차 오후 14시 50분
대구서부함양, 거창1일 1회동광고속
백무동마천(경남)수시운행함양지리산고속


2.3. 수도권[편집]


권역도착지경유지운행횟수운행회사기타
수도권동서울함양1일 8회함양지리산고속함양 백무동, 노고단[1] 기점
서울남부함양, 서상1일 3회함양 백무동 기점
부천함양, 서상, 안양1일 2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2:00:23에 나무위키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매년 11월~4월 까지는 노고단 출발 1회 중단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자연스럽게 동서울행 버스가 1회 감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