望

덤프버전 :


望}}}바랄 망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1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ボウ, モウ
일본어 훈독
のぞ-む, うら-む, もち
-
}}}
표준 중국어
wà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기원
4. 모양
5. 용례
6. 유의자
7. 상대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望은 '바랄 망'이라는 한자로, '바라다', '바라보다', '보름달'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바라다, 보름
중국어표준어wàng
광동어mong6
객가어mong
민북어uō̤ng
민동어uông
민남어bōng[文] / bāng[白]
오어maan (T3); vaan (T3)
일본어음독ボウ, モウ
훈독のぞ-む, うら-む, もち
베트남어vọng
유니코드에는 U+671B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月竹土(YBHG) 또는 卜月一土(YBMG)로, 주음부호로는 ㄨㄤˋ로 입력한다.


3. 기원[편집]


(망할 망)을 성부로 삼고, (달 월)과 𡈼(빼어날 정)을 형부로 삼고 있는 형성자이다.


4. 모양[편집]


나라마다 자형에 차이가 있다. 물론 기본틀은 같으며 국가별 표준 자형의 규칙을 알고 있다면 나름 익숙하다.

  • 한국&일본 (u671b-k, u671b-j)
    밑부분이 𡈼이 아니라 王과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月이 약간 기울어진 듯한 모습이다.[1][2]
  • 중국(대륙) (u671b-t)
    밑부분은 한&일과 같은 王자 모양이지만 亡 부분에서 亠가 뚫을 곤이 아닌 점으로 되어 있고 ㇄ 부분이 가로부분이 위로 치켜올라가 있다. 그리고 月이 기울어지지 않고 月자 그대로 되어 있다.
  • 대만 (u671b-g)
    한중일과 달리 밑부분이 𡈼 이며 亡에서 亠가 대륙과 같은 점으로 되어 있으나 ㇄가 직각이고 오른쪽엔 달월이 아니라 𠂊에 점이 두 개 찍힌 모양새를 하고 있다.

국가별이 아닌 지역&시대별로 자형 차이를 세분화시키면 바리에이션이 끝도 없이 나온다.


5. 용례[편집]



5.1. 단어[편집]




5.2. 인명[편집]




5.3. 지명[편집]




5.4. 창작물[편집]




6. 유의자[편집]


  • (바랄 기)
  • (바랄 욕, 하고자 할 욕)
  • (욕심 욕)
  • (원할 원)
  • (꼬리 파/바랄 파)
  • (바랄 희)


7. 상대자[편집]


  • (꺼릴 기)
  • (초하루 삭)[5]
  • (꺼릴 휘)


8.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보름 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21:18:01에 나무위키 望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대법원 지정 자형에도 月 아래가 王으로 되어있다.[2] 함초롱 바탕이나 일부 폰트는 때에 따라서 아래가 𡈼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3] 보름달을 의미한다. 반대말은 삭().[4] 絶望은 희망 따위가 완전히 사라진 상태를 뜻하고, 切望은 반대로 간절하게 희망하는 상태를 뜻한다.[5] 望이 '보름달'이라는 뜻이 있는 반면 은 달이 아예 보이지 않음을 뜻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