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郭}}}둘레/외성 곽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1획
고등학교
-
}}}
일본어 음독
カク
일본어 훈독
くるわ
-
}}}
표준 중국어
guō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자원
4. 용례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郭자는 둘레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2. 상세[편집]




3. 자원[편집]


(邑)로 쪼개지는데, 享 부분은 𩫖이 간략해진 글자다. 설문해자에서는 '제나라 곽씨의 터'라고 설명한다. 백성들이 모여 사는 곳, 즉 외성이란 뜻은 𩫖이란 글자를 해설할 때 나온다. 이대로라면 이 글자는 본디 제나라 근처에 있던 특정한 국명이나 지명, 혹은 그 땅에 살던 종족의 이름을 가리키는 글자인 것으로, 이런 지명이나 종족명에서 성씨가 유래하는 일이 많은 점을 감안하면 '성씨 곽'이 오히려 본디의 뜻에 가까운 셈이 된다. 이후 𩫖의 용례까지 이 글자가 흡수한 것. 그러나 곽씨의 기원을 '외성에 살던 사람'에서 찾는 설명도 있으므로 확언할 수는 없다.

한편 이 글자는 음이 비슷한 '범이 할퀸 모양 괵'(虢)과도 통용하여 쓴다. 그 때문에 저 한자를 이름으로 삼는 나라 괵나라가 망한 후 그 후손들은 虢보다는 주로 郭을 성씨로 썼다고 한다.

출전원문
설문해자齊之郭氏虚。善善不能進,惡惡不能退,是以亡國也。从邑聲。古博切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郭) 齊之郭氏虛。謂此篆乃齊郭氏虚之字也。郭本國名。虚墟古今字。郭國旣亡謂之郭氏虛。如左傳言少昊之虛、昆吾之虚、大曍之虚、祝融之虚也。郭氏虛在齊境內。善善不能進。惡惡不能退。是亡國也。郭何以爲虚。職是故也。事見韓詩外傳。新序、風俗通皆同。亦有取此說春秋者。按莊二十四年經云。赤歸于曹。郭公。公羊傳曰。赤者何。曹無赤者。葢郭公也。郭公者何。失地之君也。榖梁傳曰。赤葢郭公也。何爲名也。禮、諸矦無外歸之義。外歸、非正也。左無傳。郭今以爲城?字。又以爲恢郭字。又左傳虢國字、公羊作郭。从邑。聲。古博切。五部。
강희자전〔古文〕《唐韻》《正韻》古博切《集韻》《韻會》光鑊切,音椁。《廣韻》內城外郭。《釋名》郭,廓也。廓落在城外也。《白虎通》所以必立城郭者,示有固守也。
又《正韻》國名。《春秋·莊二十四年》赤歸于曹郭公。《公羊傳》赤者何,蓋郭公也。
又姓。《玉篇》王季之後,亦曰虢叔之後。《正字通》郭之有虢音者,周文王季第封于虢,或稱郭公,因爲氏。《春秋傳》:攻虢則虞救之。《公羊》作郭,《左》《穀》《孟子》作虢,異字轉音相近也。
又《五音集韻》苦郭切。與廓同。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03,188명, 전체 3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현풍(玄風), 청주(淸州)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곽(성씨) 문서 참조.



4.4. 지명[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8:45:4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