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철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BC 전 드라마 다시 시작해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병철(다시 시작해) 문서
강병철(다시 시작해)번 문단을
강병철(다시 시작해)# 부분을
, 1980년대에 왕성한 활동을 보였던 남성그룹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강병철과 삼태기 문서
강병철과 삼태기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병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동메달(코치)
2000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감독
19841992

}}}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
박영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3)
감독 대행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1986)
성기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어우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5대
6대
7대
김진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
감독 대행
도위창 파일:일본 국기.svg
(1990)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 대행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8대9대
10대
김명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감독 대행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감독 대행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백인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10대11대12대13대14대
감독 대행
김용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로이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양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15대16대
17대
18대
김시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8)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감독 대행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19대
20대
21대파일:롯데 자이언츠 워드마크.svg
허문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3)
감독 대행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 펼치기 · 접기 ]
1대2대3대4대
배성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7)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대행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5대6대
7대
8대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유승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4)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9)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2)
감독대행
한용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9대10대11대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감독대행
이상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한용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0)
감독대행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12대13대파일:한화 이글스 워드마크.svg
수베로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1~2023)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1e3466><rowcolor=#ffffff> 초대 ||<bgcolor=#ff0000>
2대
||<-2><bgcolor=#ff0000> 3대 ||<bgcolor=#ff0000> 4대 ||
||<width=20%>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2002) ||<width=20%> 조범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6)
||<width=20%>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1)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 대행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width=2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4)
||
||<bgcolor=#ff0000><rowcolor=#fff> 5대 ||<bgcolor=#ff0000> 6대 ||<-2><bgcolor=#ff0000> 7대 ||<bgcolor=#ce0e2d> 8대 ||
||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6) || 힐만 파일:미국 국기.svg
(2017~2018)
|| 염경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 대행
박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 김원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3)
||
||<bgcolor=#ce0e2d><rowcolor=#fff> 9대 ||<|2><-4> 파일:SSG 랜더스 워드마크.svg ||
||<bgcolor=#e0ffdb,#073300> 이숭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width=100%><rowbgcolor=#570514><color=#ffff00> 1대 ||<rowcolor=#fff> 2대 || 3대 || 4대 || 5대 || ||<width=20%> [[강병철]]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8)}}} ||<width=20%> [[윤학길]]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9)}}} ||<width=20%> [[정인교(야구)|정인교]]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0)}}} ||<width=20%> [[박흥식(야구)|박흥식]]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1)}}} ||<width=20%> [[양승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2)}}} || ||<rowbgcolor=#570514><rowcolor=#fff> 6대 || 7대 || 8대 || 9대 || || [[김성갑]]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3~2015)}}} || [[쉐인 스펜서|스펜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br]{{{-2 (2016~2019)}}} || [[오규택]]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9)}}} ||<bgcolor=#E0FFDB,#073300> [[설종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20~)}}}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창단강병철
(1983~1986)
김성관
김성관강병철
(1991~1993)
오대석
(1997~1998)
한화 이글스 등번호 70번
김영덕
(1988~1992)
강병철다카시로 노부히로
(2010)
SK 와이번스 등번호 70번
창단강병철
(2000~2002)
최태원
(2005~2007)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권두조
(2000~2001)
강병철
(2006~2007)
주형광
(2009~2019)
우리 /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80번
창단강병철
(2008)
김동수
(2010~2014)

파일:강병철 감독 시구인사.jpg
강병철
姜秉徹
출생1946년 8월 21일 (77세)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1]
(現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부산상고 - 우석대학교[2] 석사
신체180cm, 85kg
포지션3루수
투타우투우타
소속팀크라운맥주 (1965)
해병대 야구단 (1966~1969)
한일은행 야구단 (1970~1977)
지도자동아대학교 감독 (1978~1982)
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1983)
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1983)
롯데 자이언츠 감독 (1984~1986)
빙그레 이글스 수석코치 (1988~1990)
롯데 자이언츠 감독 (1991~1993)
한화 이글스 감독 (1994~1998)
SK 와이번스 감독 (2000~2002)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6~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군 감독 (2008)
상훈체육훈장 백마장
병역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만기전역
종교불교

1. 개요
2. 선수 경력
5. 그 후
6. 기타
7. 역대 감독 성적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3],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의 감독.

롯데가 기록한 1984년과 1992년 2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모두 이끈 감독으로 제리 로이스터 감독과 함께 팀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꼽힌다. 명과 암이 분명한 감독이지만 리그의 감독 영구결번으로 꾸준히 거론되는 감독 중 하나이다.[4]

2. 선수 경력[편집]


파일:external/db.kookje.co.kr/20071217.22029210508i1.jpg
부산상고 시절 강병철

부산상고를 졸업하고 1965년에 실업팀 크라운맥주에 입단하였다. 이후 1966년부터 1969년까지 해병대 야구단에서 복무하고, 1977년까지 한일은행 야구단[5] 선수로 뛰었다. 실업야구 특성상 회사원 신분이어서, 크라운맥주 시절에는 식당들을 돌며 맥주 판촉을 했었던 적도 있고, 한일은행 시절에는 진짜로 은행원일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일은행 출신 야구 지도자들은 지폐를 잘 센다는 이야기도 있다.

박영길, 김응용[6]과 함께 국가대표팀 클린업 트리오로 이름을 날렸다. 실업야구가 인기를 끌던 1970년대를 휩쓴 3루수 중 하나였다.


3. 지도자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병철/지도자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평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병철/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그 후[편집]


2017년 10월 8일 사직야구장에서 열리는 2017년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의 시구자로 선정되었다. 이유는 말할 것도 없이 롯데의 2번 우승을 모두 함께한 유일한 감독이기 때문. 더구나 롯데의 당해 포스트시즌 캐치프레이즈가 "마! 함 해보입시다!"[7]인 데서 1차전 시구자로서의 의미부여는 충분하다 하겠다. 그러나 1차전의 결과는 롯데의 패배로 나왔다.

2018년 올스타전에서도 시구를 하였다. 시타는 이승엽

프로 원년인 1982년부터 6개구단 체제가 마지막해인 1985년까지, 감독을 거쳤던 생존한 인물중 4명중 1명인데, 그 4명은 김응용, 박영길, 백인천 그리고 강병철이다.


6. 기타[편집]


  • 해병대 선수 시절 군복무를 40개월이나 한 희귀한 기록을 가지기도 했다.

요즘 육군의 의무 복무기간은 24개월, 딱 2년이다. 하지만 강병철 전 SK 감독은 해병대에 입대, 햇수로 무려 4년을 복무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크라운맥주에서 강타자로 활약하던 강 감독은 66년 해병대에 입대했다. 당시 복무기간은 24개월 정도. 하지만 제대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김신조 부대가 청와대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 바람에 군복무 기간도 36개월로 늘어났다. 68년 억지로 36개월 다 채웠지만 제대는 허락되지 않았다. 아직 중요한 대회가 남아 있다는 황당한 이유에서였다. 강 감독은 “또래들에 비해 상당히 군생활을 오래 했다. 나 말고도 제대를 연기당한 선수들이 몇몇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강 감독은 68년 시즌을 다 뛰고 69년이 돼서야 군복을 벗을 수 있었다. 출처


  • 롯데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이끈 감독은 강병철이었고 우승을 이끈 선수가 둘 다 신인에 안경잡이 에이스였기 때문에 롯데가 우승하기 위해선 강병철 감독(그것도 취임 2년째에[8]), 혹사, 안경 우완 에이스 삼신기가 모여야 한다는 우스개도 있다.#[9]


7. 역대 감독 성적[편집]


역대 감독 전적
연도경기정규리그포스트시즌
1983롯데 자이언츠50212906위[10]-
1984100504824위[11]우승
1985110595102위[12]
1986108505265위[13]-
1991126616234위준PO 탈락
1992126715503위우승
1993126626316위-
통산74637436012
연도소속팀경기정규시즌포스트시즌
1994한화 이글스126655923위PO 탈락
1995126557106위-
1996126705513위[14]준PO 탈락
1997126517327위-
199864293327위[15]-
통산56825429816­
연도경기정규리그포스트시즌
2000SK 와이번스133448634위[16]-
2001133607127위-
2002133616936위-
통산3991652268
연도경기정규리그포스트시즌
2006롯데 자이언츠126507337위-
2007126556837위-
통산2521051416­
총계1965914101833­
[1] 김해국제공항 인근의 평강마을 출신(지번 주소상으로는 대저1동이다.)이다.[2] 전북 완주군의 우석대가 아니라 고려대에 합병된 우석대이다. 해당 문서 참조.[3] 역대 유일무이하게 한팀에서 세번이나 감독이 되었다. 첫번째 감독 재임당시 1984년 롯데의 첫 우승을 차지했고, 두번째 감독 재임당시 1992년 두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세번째 감독 재임당시에는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8년간 2번의 우승을 이끔.[4] 대표적으로 타이거즈의 9번의 우승을 함께한 김응용(39, 70), SK 와이번스김성근(38), 베어스김인식(81)과 김태형(88), 삼성 라이온즈류중일(75)과 이글스김영덕(99), NC 다이노스김경문(74) 등이 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존재했다면 하는 가정하에 김재박(70)도 거론이 되었다.[5] 한일은행이 크라운맥주 야구단을 인수했기 때문이다.[6] 고등학교 선배이자 크라운맥주, 한일은행의 선배다. 후에 한일은행의 감독까지 했으며, 그러다가 프로야구가 생겨서 프로야구 감독이 된 것이다.[7]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 강병철이 최동원에게 '동원아. 우짜노. 이까지 왔는데'라고 한국시리즈 등판 지시권유를 하자 최동원이 답한 말이었다.[8] 첫 롯데 감독 시절인 1983년은 박영길 전 감독의 대행 자격이었다. 두번째 우승하기 전 해인 1991년은 비록 승률은 5할 밑이었지만 롯데는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었다.[9] 앞서 롯데의 우승을 이끌었던 최동원염종석은 나란히 부산 출신이었다.[10] 전기 4위, 후기 6위[11] 전후기 통합 순위, 후기 1위로 한국시리즈 진출.[12] 1985년에 삼성 라이온즈가 전후기 통합우승을 달성하며 한국시리즈 자체가 열리지 않았다.[13] 전기 3위, 후기 5위[14] 정규 시즌 4위 현대 유니콘스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성적은 4위로 밀렸다.[15] 시즌 도중 경질되었으며 남은 경기는 이희수가 감독대행으로 치뤘다.[16] 매직리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3:33:28에 나무위키 강병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