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계룡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논산시·계룡시·금산군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계룡시 CI.svg 충청남도 계룡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논산시·계룡시·금산군계룡시 전역 + 논산시, 금산군 전역
도의원계룡시계룡시 전역

1.1. 시의회[편집]


[ 펼치기 · 접기 ]
제5대 의회
2018.7.1. ~ 2022.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석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4석 시장 소속 정당
재적

7석



2. 지역 특징[편집]


인구 문제 등으로 인해 이웃 논산시(+금산군)와 함께 1명의 국회의원을 뽑는다. 2016년 20대 총선에선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지역 정계 거물로 군림하던 새누리당 피닉제이인제 전 의원을 꺾고 당선되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다만 계룡시만 놓고 보면 이인제 후보가 좀 더 앞섰다. 허나 가장 중요한 논산시에서 약 5% 차로 김종민 후보에게 패하며 금산군과 계룡시의 리드를 다 까먹었다.

군부대 관련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에 해당하는 만큼, 비교적 진보적인 성향을 띄는 충남 동부권(천안, 아산, 세종, 공주, 대전) 중에서도 강한 보수적인 성향을 띄고 있고 가장 이질적인 표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실 표심의 향방이 어디로 갈지 예측하기 힘든 곳 중 하나이다. 평균 연령은 30대로 매우 낮은 편이며, 사실상 대전광역시가 생활권이지만 일반적으로 도농복합도시로 분류되며, 군인 표심이 매우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2017년 치러진 19대 대선에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6.06%,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25.34%,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23.60%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보통 군인들이 보수적인 성향을 띄기 쉽다고 알려진 점을 감안하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주요 후보 중 꼴찌를 한 것도 눈여겨볼 부분. 대신 안철수 후보가 전국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득표율을 올렸고 군인 밀집 지역인 신도안면에서는 1위를 하는 등 선전했다.[1] 이는 강원도, 경기도의 최전방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고 자유한국당에 실망한 젊은 군인들의 표심이 중도를 내세운 안철수 후보에게 이동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신도안면에서는 유승민 후보도 15%를 넘기는 전국 평균 대비 엄청난 득표를 올리면서 군인들이 안철수 외에 개혁보수를 내세운 유승민에게도 상당한 지지를 보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30~40대 버프를 받은 것일수도 있고,[2] 아님 보수적인 성향의 유권자들이 보기에도 자유한국당이나 홍준표 후보는 영 아니었을 수도 있다. 하여튼 이로서 계룡시는 결과적으로 시장과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까지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당선자를 내게 되었다.

2018년에 이루어진 지방선거에서는 군인 표심이 어느 쪽으로 향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예가 되었는데, 다른 동면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주당의 득표율이 낮았던(약 10%가량) 신도안면 지역에서 오히려 민주당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대선 당시 민주당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던 두마면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이 나왔다.

2020년에도 문재인 정부의 군인 복지 및 처우 향상 정책에 힘입어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재선에 성공하였고, 비례대표 득표율에서도 상당한 선전을 보였다. 특히 군인들이 즐비한 신도안면에서도 접전을 보인 것을 보면 군인들의 정부여당에 대한 여론이 많이 호의적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은 거의 순도 100% 군인 직종의 민심이 반영되는 곳이다.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가 선거 전부터 격전지로 분류되다보니 투표율 71.8%로 충청권에서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도시가 되었다. 전에도 투표율이 높은 지역이었지만 1위를 기록한 적은 의외로 드물었다는 것을 보면 투표 열기가 꽤 두드러지게 나타난 지역중 하나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계룡시 CI.svg 계룡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논산시·계룡시·금산군
17대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이인제4선
18대
[[무소속|
무소속
]]
5선
19대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6선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민초선
21대재선

파일:계룡시 CI.svg 역대 계룡시장 선거 결과
2003 재보궐[3]2006201020142018
자유민주연합국민중심당한나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최홍묵이기원최홍묵
2022
국민의힘
이응우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2003년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최홍묵 40.88%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성중 21.16%
3위:
[[무소속|
무소속
]]
박익만 21.05%
4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강철수 10.79%
2006년1위: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홍묵 51.22%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기원 48.77%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기원 31.91%

2위:
[[국민중심연합|
파일:국민중심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최홍묵 29.60%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윤차원 19.30%
4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조광국 19.17%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최홍묵 37.09%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재운 32.76%
3위:
[[무소속|
무소속
]]
윤차원 18.40%
4위:
[[무소속|
무소속
]]
이응우 11.73%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홍묵 48.12%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응우 31.06%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기원 20.81%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응우 54.7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대영 45.25%
[1] 안철수 후보가 비호남 지역 읍면동에서 1위를 차지한 곳은 같은 충청남도의 금산군 남일면과 계룡시 신도안면 두 곳 뿐이다.[2] 계룡시는 3군본부가 있는 도시답게 40대 인구 비중 전국 1위에 빛나는 도시다. 3~40대의 군인 가족들이 많이 살고 있는데 사실 진급을 못하면 바로 은퇴해야하는 군 간부들 처지를 생각해보면 50대를 넘는 사람이 생각보다 드물다는 것이 이해는 간다.[3] 2003.10.30. 재보궐선거. 계룡시가 2003년 8월 30일 출범하면서 2003년 10월 30일 재보궐선거 때 계룡시장이 처음 선출되었다.


3.1. 대선[편집]



3.1.1.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무소속
]]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3,8087,6393081,1053,873
득표율22.25%44.63%1.79%6.45%22.63%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25,719
투표 수17,187
무효표 수73
투표율66.83%

3.1.2.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3,5729,934
득표율57.50%42.0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9,932
투표 수23,661
무효표 수60
투표율79.05%

3.1.3.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정당|
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9,5666,2616,7222,2221,502
득표율36.20%23.69%25.44%8.40%5.68%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32,653
투표 수26,530
무효표 수108
투표율81.25%

19대 대선 충남 계룡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566
(36.20%)
6,261
(23.69%)
6,722
(25.44%)
2,222
(8.40%)
1,502
(5.68%)
+2,844
(△10.76)
81.25%
두마면38.26%25.63%24.31%6.44%4.87%12.6379.18
엄사면36.60%25.11%25.63%6.28%5.70%△9.9774.44
신도안면[4]28.20%21.94%28.77%15.64%5.04%0.57[5]85.97
금암동37.84%26.29%23.41%6.52%5.40%△11.5580.79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3.90%12.71%32.20%15.25%4.24%△1.70[6]
관외사전투표39.24%18.32%24.86%9.74%7.31%△14.38
재외투표50.82%9.29%22.95%7.65%8.74%27.87

3.1.4.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1,89114,718
득표율42.83%53.0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4,745
투표 수27,992
무효표 수233
투표율80.56%

20대 대선 충남 계룡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891
(42.83%)
14,718
(53.02%)
-2,827
(▼10.19)
80.56%
두마면43.98%52.50%▼8.5279.75
엄사면44.36%51.23%▼6.8774.75
신도안면36.37%59.00%22.6381.46
금암동43.86%52.51%▼8.6580.71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9.65%56.89%#808080
▼17.24
관외사전투표42.74%52.90%▼10.16
재외투표59.63%33.94%25.69


3.2. 지선[편집]



3.2.1.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오영교이완구이명수
득표수3,5267,8463,209
득표율23.28%51.81%21.1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4,442
투표 수15,359
무효표 수217
투표율62.84%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기원7,3752위
48.77%낙선
5최홍묵7,7441위
51.22%당선
선거인 수24,442투표율
62.88%
투표 수15,369
무효표 수250

3.2.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박해춘안희정박상돈
득표수4,7629,1245,071
득표율25.12%48.12%26.75%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30,047
투표 수19,326
무효표 수369
투표율64.32%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원6,1021위
31.91%당선
2조광국3,6664위
19.17%낙선
3윤차원3,6903위
19.30%낙선
7최홍묵5,6592위
29.60%낙선
선거인 수30,047득표율
64.31%
투표 수19,324
무효표 수207

3.2.3.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정진석안희정
득표수8,35310,274
득표율43.29%52.2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9,874
투표 수19,557
무효표 수266
투표율65.46%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운6,3282위
32.76%낙선
2최홍묵7,1651위
37.09%당선
4이용우2,2664위
11.73%낙선
5윤차원3,5543위
18.40%낙선
선거인 수29,874투표율
65.46%
투표 수19,557
무효표 수224

3.2.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양승조이인제
득표수13,8217,333
득표율63.70%33.7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3,093
투표 수22,134
무효표 수437
투표율66.88%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홍묵10,4831위
48.12%당선
2이응우6,7672위
31.06%낙선
3이기원4,5343위
20.81%낙선
선거인 수33,093투표율
66.89%
투표 수22,137
무효표 수353

3.2.5.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계룡시
계룡시 일원
정당
후보양승조김태흠
득표수8,66610,218
득표율45.89%54.1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4,875
투표 수19,307
무효표 수423
투표율55.36%

8회 지선 충청남도지사 선거 계룡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양승조김태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66
(45.89%)
10,218
(54.11%)
-1,552
(▼8.22)
19,307
(55.36%)
금암동45.74%54.26%▼8.5257.03
두마면45.22%54.78%▼9.5653.98
엄사면46.60%53.40%▼6.8052.08
신도안면[A]42.87%57.13%▼14.2645.32
후보양승조김태흠격차
거소투표42.31%57.69%▼15.38
관외사전투표48.50%51.50%▼3.00
국회의원
선거구
양승조김태흠격차투표율
46.09%53.90%▼7.8056.51

{+1 [[파일:계룡시 CI_White.svg}}} 계룡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대영(金大榮)8,6032위
45.25%낙선
2이응우(李應雨)10,4081위
54.74%당선
선거인 수34,875투표율
55.37%
투표 수19,309
무효표 수298

8회 지선 계룡시장 선거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대영이응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03
(45.25%)
10,408
(54.74%)
-1,805
(▼9.49)
19,309
(55.37%)
금암동45.00%54.99%▼9.9857.10
두마면44.36%55.63%▼11.2653.93
엄사면47.51%52.48%▼4.9752.08
신도안면[A]38.72%61.27%▼22.5445.35
후보김대영이응우격차
거소투표35.44%64.55%▼29.11
관외사전투표47.36%52.63%▼5.27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계룡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종민박우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384
(52.04%)
10,590
(44.50%)
+ 1,794
(△7.54)
24,097
(71.77%)
[ 펼치기 · 접기 ]
금암동53.00%44.81%△8.1872.90
두마면50.38%46.90%△3.4873.55
엄사면51.91%44.69%△7.2264.15
신도안면[*A ]51.24%44.32%△6.9174.92
후보김종민박우석격차
거소·선상투표51.32%40.70%△10.62
관외사전투표54.45%40.45%△14.00
재외투표55.00%40.00%△15.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447
(36.40%)
6,952
(29.95%)
1,987
(8.56%)
2,027
(8.73%)
1,187
(5.11%)
+ 1,495
(△6.44)
24,097
(71.75%)
[ 펼치기 · 접기 ]
금암동37.45%30.21%9.56%7.47%5.34%△7.2372.88
두마면39.05%29.41%7.98%8.48%5.58%△9.6473.53
엄사면36.23%32.27%7.50%6.53%5.00%△3.9664.15
신도안면[*A ]35.25%26.15%9.10%14.52%4.45%△9.1074.94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30.35%27.67%8.03%9.82%2.67%△2.68
관외사전투표33.58%28.54%10.36%9.44%5.60%△5.04
재외투표15.00%45.00%5.00%5.00%5.00%▼30.00

[4] 계룡대 소재지.[5] 불과 24표 차이였다.[6]2표 차이였다.[A] A B 대한민국 육군본부 · 대한민국 해군본부 · 대한민국 공군본부 (계룡대)가 모두 밀집한 군사지역으로 배후 거주지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