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노현 제1구

덤프버전 :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가노현 제1구>
長野県第1区
파일:shuinsen_Nagano1.svg
선거인 수425,440명 (2021)
상위 도도부현나가노현
하위 행정구역나가노시(동부),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국회의원
와카바야시 겐타




1. 개요[편집]


나가노현 나가노시의 동부 지역,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나카바야시 켄타. 해당 지역구 의원이었던 시노하라 다카시는 지역비례로 당선되었다.


2. 상세[편집]


나가노현 제3구가 민주당 계열의 하타 일족 텃밭이었다면, 이 지역구는 자민당 소속 고사카 일족의 텃밭이었다.[1] 고사카 가문은 나가노현의 지방 재벌이자 정치가 일족으로 제국의회 시절부터 무려 100년, 4대가 정치를 하고 있었다. 고사카 재벌의 창업주이자 제1대 중의원 의원인 고사카 젠노스케(시나노은행, 시나노마이니치신문 창업주), 그 아들인 사업가이자 정치인 고사카 준조(신에츠화학공업, 도신전기 창업주.), 그 아들인 고사카 젠타로 전 외무대신, 그리고 그 아들인 고사카 겐지 전 문부과학대신이 모두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고사카 가문의 마지막 정치가인 고사카 겐지는 항상 그 사실을 의식하여 너무 좋은 집안때문에 나 자신의 정치를 펼치기란 어려웠다고 회고한다. 본인도 말도 안되는 집안인 걸 잘 아는지 45회 총선을 앞두고 총선 기획단의 스가 요시히데가 세습 타파를 위해 자식을 후계로 세우려면 다른 지역구로 보내자는 안을 제시하자 고사카 의원은 이에 반발하며 "만일 그런 것이라면 나는 세습의 화신입니다! 정말 규제한다면 (세습 의원은) 당에서 나가야 한다는 겁니다. 나도 각오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2009년 자민당이 대패한 45회 총선 때 당선된 시노하라 다카시 의원은 고사카 겐지를 비례 부활도 못하게 낙선시키며 4대 정치가 일족이 100년간 쌓아온 아성을 무너뜨렸다. 당시 고사카 겐지 의원은 참의원 전국 비례로 옮겨 이듬해 당선되지만 악성 림프종에 걸려 6년 임기가 끝난 직후인 2016년 10월 별세했다. 그 뒤로 고사카 일족은 후보를 내지 않고 정계를 완전히 떠났다.

이후 시노하라는 야권이 참패한 최근 3번의 선거에서 모두 지역구 승리를 거두며, 이 선거구를 야권 우세 선거구로 탈바꿈시켰다. 하지만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는 세대교체론을 타고 자민당 와카바야시 겐타 후보가 지역구를 탈환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나가노현 제1구 역대 중의원 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고사카 겐지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시노하라 다카시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무소속|
무소속
]]
[2]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와카바야시 겐타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고사카 겐지118,386표1위

41.76%당선
파일:新党さきがけ.png다나카 슈세이78,401표2위

27.65%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카바야시 마사토시65,403표3위

23.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가와 카즈히로21,329표4위

7.52%낙선
유효표 수283,519표투표율
53.29%
유권자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사카 겐지127,010표1위

48.7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카나쿠보 요시카즈81,289표2위

31.18%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노 사나에52,445표3위

20.11%낙선
유효표 수260,74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사카 겐지118,065표1위

44.9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노하라 다카시111,821표2위

42.5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노 사나에32,757표3위

12.47%낙선
유효표 수262,643표투표율
62.41%
선거인 수429,88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사카 겐지140,831표1위

47.4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노하라 다카시121,185표2위
40.8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노 사나에34,869표3위
11.74%낙선
유효표 수296,885표투표율
70.18%
선거인 수430,657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노하라 다카시161,543표1위
51.2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사카 겐지124,136표2위
39.4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구치 노리히사26,872표3위
8.5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요코타 모토후미2,535표4위
0.80%낙선
유효표 수315,086표투표율
74.27%
선거인 수429,859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노하라 다카시89,400표1위
[3]36.6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마쓰 유타카79,860표2위
[4]32.70%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미야자와 다카히토47,870표3위
[5]19.6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케다 료스케27,119표4위
11.10%낙선
유효표 수244,249표투표율
58.76%
선거인 수427,337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일부,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시노하라 다카시96,333표1위
[6]45.8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마쓰 유타카74,137표2위
[7]35.2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케다 료스케26,903표3위
12.80%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미야자와 다카히토12,888표4위
6.13%낙선
유효표 수210,261표투표율
50.59%
선거인 수425,446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일부,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시노하라 다카시131,883표1위
[8]54.0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마쓰 유타카85,460표2위
[9]35.03%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하시모토 마사유키22,817표3위
9.35%낙선
諸派고마무라 유키나리3,784표4위

1.55%낙선
유효표 수243,944표투표율
57.38%
선거인 수432,700인

무소속 야권 단일후보로 출마한 시노하라 의원이 지난 총선보다 표차를 더욱 벌리며 19%의 격차로 압승, 6선 의원이 되었다. 3선에 도전한 자민당 고마츠 후보는 이번에는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부활도 실패했다. 이후 고마츠 전 의원은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21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자민당 후보로 나가노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두 번 연속으로 패했으며, 2021년 10월 5일 이시자키 도루 의원의 의원직 사직 후 4년만에 의원으로 돌아왔으나 9일뒤 국회가 해산되었으며, 도쿄 비례대표로 출마 지역을 옮겼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1구
나가노시 일부, 스자카시, 나카노시, 이야마시,
카미타카이군, 시모타카이군, 시모미노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카바야시 겐타128,423표1위
[10]51.29%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시노하라 다카시121,962표2위
48.71%비례당선
유효표 수250,385표투표율
59.74%
선거인 수425,440인

현역 입헌민주당 시노하라 다카시 의원이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 당선 이후 무소속 당적을 유지하며 국민민주당에 참가했다가, 2020년 9월 야권통합 당시 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만 73세의 고령이지만 나이에 비해 선수가 그다지 높지 않고, 아직 시노하라를 대체할 지역구 내 야권 정치인도 떠오르지 않고 있다.

자민당에서는 와카바야시 겐타 전 참의원의원을 공천했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고,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시노하라 후보와 와카바야시 후보의 1대1 대결이 성사되었다.

개표 결과 시노하라 후보가 낙선하는 대이변이 벌어졌다. 와카바야시 겐타 후보는 첫 중의원 선거 출마인데, 야권 거물 시노하라를 격침시킨다. 특히 지난 총선에서 19%나 벌어진 득표율 차이를 뒤집은거라 충격이 커졌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가 가장 많은 나가노시 1구 지역에서 8천표 가량 앞서며 쐐기를 박았다. 세대교체의 흐름속에 고령, 다선의원이 이번 선거에서 다들 부진했는데 시노하라도 그 희생양이 된 것이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와카바야시 겐타 의원이 별 일이 없으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에서는 16년 만에 첫 낙선을 경험했지만 시노하라 다카시 의원이 재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유신회에서는 회사 임원과 정치 싱크탱크 대표 이사를 맡았던 와카사 기요시 후보가 출마한다.

[1] 사실 하타 일족도 자민당에서 민주당 계열로 넘어간 것은 90년대고, 그 이전까지 꾸준히 고사카 겐지 의원은 하타 쓰토무의 측근이었다. 심지어는 1993년하타 쓰토무 전 총리가 신생당을 창당할때 같이 넘어가서 민정당까지 같이 따라갔지만, 간 나오토를 중용하고 본인을 홀대하자 다시 자민당으로 돌아간 것이다.[2] 당선 이후
에 합류, 그 다음
합류.
[3] 추천[4] 추천[5] 추천[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그린스 재팬)] 지지[7] 추천[8] , 나가노현 총지부 연합 추천[9] 추천[10]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