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노현 제3구

덤프버전 :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나가노현 제3구>
長野県第3区
파일:shuinsen_Nagano3.svg
선거인 수399,168명 (2021)
상위 도도부현나가노현
하위 행정구역우에다시, 코모로시, 사쿠시,
치쿠마시, 토미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치사가타군, 하니시나군
국회의원
이데 요세이




1. 개요[편집]


나가노현우에다시, 코모로시, 사쿠시, 치쿠마시, 토미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치사가타군, 하니시나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이데 요세이.


2. 상세[편집]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49회 중원선 전까지 자민당이 나가노현 선거구들 중 승리한 적이 한번도 없었던 민주당계 정당 강세 지역이다. 이는 과거 이 지역구 의원이었던 하타 쓰토무 전 총리의 영향이 매우 크다. 하타 총리의 은퇴 이후에는 원래 그의 아들 하타 유이치로가 출마하려 했으나 당에서 세습을 금지하는 바람에 하타 총리의 비서였던 데라시마 요시유키가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는데, 이 당시 선거는 민주당이 대참패를 기록했던 46회 중원선이었으며, 당시 민주당의 중의원 첫 당선자가 데라시마 한명 밖에 없었다.

다음 선거인 2014년 47회 중원선도 3파전이었으며, 지난 중원선에서 민나노당 후보로 출마한 유신당 이데 요세이 후보가 민주당과 자민당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보수 계열 정당이 처음으로 입성했다.

이후 이데 의원은 민진당에 합류했다가 48회 중원선에서 희망의 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면서 다시금 야당 강세 지역임을 재확인하는가 싶었지만 자민당으로 이당해서 나가노 3구 최초의 자민당 의원이 되었다. 49회 중원선 결과에 따라 야당이 다시 지켜낼지, 자민당 우세 지역구로 바뀔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49회 중원선에서 자민당으로 이적한 이데 요세이 의원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자민당 우세 지역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생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나가노현 제3구 역대 중의원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하타 쓰토무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데라시마 요시유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이데 요세이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1]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하타 쓰토무161,670표1위

62.61%당선
파일:新党さきがけ.png이데 쇼이치[2]70,960표2위

27.48%낙선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마쓰자와 미즈에25,600표3위

9.91%낙선
유효표 수258,2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 쓰토무163,382표1위

61.2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와사키 타다오67,002표2위

25.1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자와 겐이치34,110표3위

12.79%낙선
호소야 도키오2,276표4위

[[무소속|
무소속
]]
0.85%낙선
유효표 수266,770표투표율
68.97%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 쓰토무150,203표1위

58.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와사키 타다오78,364표2위

30.53%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와타니 쇼스케28,083표3위

10.94%낙선
유효표 수256,650표투표율
65.76%
선거인 수401,15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 쓰토무143,728표1위

51.1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와사키 타다오102,889표2위

36.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와타니 쇼스케34,669표3위

12.33%낙선
유효표 수281,286표투표율
71.72%
선거인 수402,283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타 쓰토무138,614표1위
47.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와사키 타다오106,574표2위
36.5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와타니 쇼스케40,948표3위
14.0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에하라 마나부5,576표4위
1.91%낙선
유효표 수291,712표투표율
74.80%
선거인 수401,784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에시, 고쇼쿠시, 사쿠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지사가타군, 사라시나군 일부,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데라시마 요시유키69,843표1위
[3]27.77%당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이데 요세이67,750표2위
26.94%비례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우치 히토시62,539표3위
24.87%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이데 타이스케29,905표4위
11.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와타니 쇼스케21,433표5위
8.52%낙선
유효표 수251,470표투표율
64.24%
선거인 수400,439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로시, 사쿠시, 치쿠마시, 토미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치사가타군,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유신당 로고.png이데 요세이77,289표1위
34.3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데라시마 요시유키63,397표2위
28.18%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우치 히토시56,365표3위
[4]25.0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라사와 치아키27,947표4위
12.42%낙선
유효표 수224,998표투표율
57.36%
선거인 수398,586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로시, 사쿠시, 치쿠마시, 토미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치사가타군,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이데 요세이127,542표1위
[5]53.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우치 히토시74,722표2위
[6]31.0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코가네자와 유카34,462표3위
14.3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오이카와 유키히사3,687표4위
1.53%낙선
유효표 수240,413표투표율
60.60%
선거인 수405,003인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과 유신당 후보가 얻은 표가 이번에는 대부분 이데 요세이에게 몰리는 덕분에, 이데 후보가 22% 차 압승을 거두었다. 자민당 기우치 히토시 의원은 이번에는 너무 큰 표차이로 패배하는 바람에 석패율제로도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민주당 후보로 지난번에 출마한 데라시마 요시유키 전 의원은 나가노현 제4구로 옮겼으나, 또다시 패배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나가노현 제3구
우에다시, 코모로시, 사쿠시, 치쿠마시, 토미시,
미나미사쿠군, 키타사쿠군, 치사가타군, 하니시나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데 요세이
(井出庸生)
120,023표1위
[7]51.5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고즈 다케시
(神津健)
109,179표2위
46.87%비례당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이케 다카오
(池高生)
3,722표3위
1.60%낙선
유효표 수232,924표투표율
59.32%
선거인 수399,168인

현역 이데 요세이 의원은 이번에는 야권에서 자민당으로 당적을 옮겨 출마한다. 지난 총선에서 자민당 후보로 출마한 기우치 히토시 전 의원은 공식적으로 정계은퇴를 선언하지 않았지만, 정치 활동을 그만 두었다.

이데 의원의 이적으로 새로운 야권 후보를 구해야 하는 입헌민주당은 하타 쓰토무 전 총리의 조카인 고즈 다케시 후보를 공천했다. 다만 원래 정치계에 있던 인물이 아니었던데다가 선거를 앞두고 워낙 급하게 차출되면서 제대로 존재감을 알릴 시간이 많지 않았다.

NHK당은 이케 다케오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이데 요세이 후보가 당선되었다. 입헌민주당 고즈 다케시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하타 전 총리의 조카였고 이 지역구가 원래 야권세가 높지만, 정치권 밖에 있다가 급히 자출되는 바람에 이데 요세이를 꺾기에는 조금 역부족이었다. 이로 인해 소선거구제 개편 이후 처음으로 이 선거구에서 자민당 후보가 승리를 거뒀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이데 요세이 의원이 별 일이 없으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석패율 당선된 고즈 다케시 의원이 다시 공천받으며 재도전한다.

공산당에서는 와타나베 마사히로 전 우에다시의원을 공천했다.
[1] 선거 출마 당시 희망의 당 소속이었다. 이후 자민당으로 이적.[2] 이데 요세이 의원의 큰아버지. 무라야마 내각에서 후생대신직을 지냈다.[3] 추천[4] 추천[5] 나가노현 총지부 연합회 추천[6] 추천[7]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