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바이어던(영화)

덤프버전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파일:The Return Logo 2.png파일:The Banishment Logo.png
파일:Elena 10s Logo 2.png파일:Leviathan Logo.png
파일:Loveless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리바이어던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더 가디언 >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 펼치기 · 접기 ]
90위 영화 목록
90위〈에덴〉 (2014)
89위〈이기적인 거인〉 (2013)
88위고모라〉 (2008)
87위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2006) 켄 로치
86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코엔 형제
85위버닝 (2018) 이창동
84위〈열대병〉 (2005)
83위아들의 방〉 (2001) 난니 모레티
82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2012)
81위〈피쉬 탱크〉 (2009)
80위레퀴엠〉(2000)
79위〈페르세폴리스〉 (2007)
78위오션스 일레븐〉 (2001)
77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003)
76위〈텐〉 (2002)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75위〈필로미나의 기적〉 (2013) 스티븐 프리어스
74위예언자〉 (2009)
73위〈레이디 수잔〉(2016)
72위바시르와 왈츠를〉 (2006)
71위〈카르페나움〉 (2018)
70위〈앵커맨 〉 (2004)
69위패딩턴 2〉 (2017)
68위〈미스터 터너〉 (2014) 마이크 리
67위송곳니〉 (2009)
66위브로크백 마운틴〉 (2005) 이안
65위행복한 라짜로〉 (2018)
64위인크레더블〉 (2004)
63위케빈에 대하여〉 (2011)
62위〈행복을 기다리며〉 (2002)
61위〈The Souvenir〉 (2019)
60위19곰 테드〉(2012)
59위〈와시푸르의 갱〉 (2012)
58위〈폭풍의 언덕〉 (2011)
57위〈흔적없는 삶〉 (2018)
56위〈쇼를 사랑한 남자〉 (2013)
55위〈러시아 방주〉 (2002) 알렉산더 소쿠로프
54위소셜 네트워크〉 (2010) 데이비드 핀처
53위〈화염의 바다〉(2016)
52위아모레스 페로스〉 (2000)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51위와호장룡〉 (2000) 이안
50위비포 선셋〉 (2004) 리처드 링클레이터
49위〈24시간 파티를 하는 사람들〉
48위〈하우스 오브 미스〉
47위〈Magaret〉 (2011)
46위귀향〉 (2006) 페드로 알모도바르
45위〈13th〉 (2016)
44위토니 에드만〉 (2016)
43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2016) 마틴 스콜세지
42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2007)
41위아가씨 (2016) 박찬욱
40위〈unreiated〉(2007)
39위〈믹의 지름길〉 (2010)
38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2011) 누비 세일란
37위도그빌〉 (2003) 라스 폰 트리에
36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35위〈45년후〉 (2015)
34위〈더 차일드〉 (2002) 다르덴 형제
33위〈로열 테넌바움〉
32위그래비티〉 (2013) 알폰소 쿠아론
31위아노말리사〉 (2015) 필립 카우프만
30위리바이어던
29위〈네브라스카〉
28위트리 오브 라이프〉(2011) 테렌스 멜릭
27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6위하나 그리고 둘〉 (2008) 에드워드 양
25위겟 아웃〉 (2017)
24위〈Lda〉 (2013)
23위〈보랏〉 (2006)
22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
21위하얀 리본〉 (2009) 미카엘 하네케
20위로마〉2018
19위링컨
18위시리어스 맨
17위그레이트 뷰티
16위액트 오브 킬링
15위어느 가족〉 (2018) 고레에다 히로카즈
14위〈백인의 것〉
13위파 프롬 헤븐
12위사울의 아들
1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001) 데이비드 린치
10위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09위자마
08위문라이트
07위시네도키, 뉴욕
06위히든〉 (2005) 미카엘 하네케
05위화양연화
04위언더 더 스킨
03위보이후드
02위노예 12년
01위데어 윌 비 블러드


--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외국어영화상
제71회
(2014년)
제72회
(2015년)
제73회
(2016년)
그레이트 뷰티
(이탈리아)
리바이어던
(러시아)
사울의 아들
(헝가리)

역대 칸 영화제
파일:prixduscenario.jpg
각본상
제66회
(2013년)
제67회
(2014년)
제68회
(2015년)
천주정리바이어던크로닉


리바이어던 (2014)
Левиафан
Leviathan
파일:리바이어던 국내 포스터.jpg
장르
감독
각본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올레그 네긴
제작
세르게이 멜쿠모프, 알렉산더 로드니얀스키
출연
알렉세이 세레브리아코프, 옐레나 랴도바,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촬영
미카일 크리취만
편집
안나 매스
미술
안드레이 폰커라토프
음악
필립 글래스, 안드레이 데르가체프
의상
안나 바르툴리
촬영 기간
2013년 8월 ~ 11월
제작사
파일:러시아 국기.svg Non-Stop Productions 파일:러시아 국기.svg A Company Russia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14년 05월 23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5년 02월 0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3월 19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40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4,439,481
북미 박스오피스
$1,092,8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0,385명
국내 스트리밍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6.1. 반응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file2.nocutnews.co.kr/20150224144041146652.jpg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2014년작 러시아 영화.

러시아의 평범한 중년이 자신의 땅을 노리는 권력자에게 맞서 싸우는 영화이다.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왜 하필 접니까?”

작은 바닷가 마을에서 사랑스러운 아내, 아들과 함께 살고 있는 평범한 아버지 콜랴.

부패한 시장이 호화 별장을 짓기 위해 그의 집을 빼앗으려 하면서

콜랴의 삶은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콜랴는 유능한 변호사 친구의 도움을 받아 이 상황을 이겨내려 하지만,

법을 뛰어넘는 막강한 권력을 가진 시장은 그를 더욱 궁지로 몰아가는데……

권력이라는 괴물에 맞서는 평범한 아버지의 치열한 생존 싸움이 시작된다!



4. 등장인물[편집]


  • 알렉세이 세레브리아코프 - 니콜라이 콜랴 역
  • 옐레나 랴도바 - 릴랴 역
  •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 드미트리 역
  • 로먼 마디아노브 - 바딤 역
  • 알렉세이 로친 - 파샤 역
  • 안나 우코로바 - 안젤라 역
  • 이고르 사보치킨 - 슬레도바텔 역
  • 드미트리 비코브스키-로마쇼프 - 트카추크 역
  • 세르게이 바추어스키
  • 이리나 가브라 - 트카추크의 아내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8.44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21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7.9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44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21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7.93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124845"
평점 8.21 / 10














Leviathan lives up to its title, offering trenchant, well-crafted social satire on a suitably grand scale.

<리바이어던>은 자신의 제목에 걸맞게, 적절히 웅장한 규모로 정곡을 찌르면서도 잘 만들어진 사회 풍자를 제공한다.

- 로튼 토마토 총평


무리 지어 끝내 황폐해질 지어다.

삶의 터전에서 내몰린 약자의 하얀 피를 도화지 삼아 권력의 탄생, 성장, 소멸을 그린다. 부패한 고기를 사이좋게 뜯어 먹으며 공평하게 썩어 문드러져 가는 괴물. 그 앞에 왜소한 인간. 웅장한 필치로 그려낸 차갑고 메마른 풍경화.

- 송경원 (★★★★☆)


낯설지 않은 러시아의 현실

마약이나 살인 같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범죄에 연루되지 않아도 평범한 삶을 이토록 나락으로 떨어트릴 수 있는 건 야욕적인 권력의 힘이다. 야금야금 삶을 좀먹는 러시아 비리 관료의 검은 손이 어째 낯설지 않다.

- 나원정 (★★★★)


폭력이 지나간 자리의 풍경

권력이라는 이름의 폭력 앞에서, 사람들은 죽고 떠나고 갇힌다. 이 막막한 현실은 황량한 풍경으로 이어지며, 거대하지만 앙상하게 남은 고래 뼈의 추한 몰골로 드러난다. 느리지만 묵직하게 전개되는 이야기가 스산한 카메라에 담긴다.

- 김형석 (★★★★)


세상은 뭍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 이동진 (★★★★)


권력, 어디서나 살과 뼈를 바르는

- 박평식 (★★★★)


철거되는 삶의 장엄한 풍경화. 맨 정신으로 봐도 취한다

- 김혜리 (★★★★☆)


개인을 덮치는 운명과 뼈대만 남은 국가. 정치신학 영화

- 황진미 (★★★★☆)


상식이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 법이란 얼마나 부질없는가

- 송형국 (★★★★☆)


권력의 광기와 야만, 그 민낯과 아픔이 저릿저릿~

- 유지나 (★★★★)



6.1. 반응[편집]


부패한 정부, 종교, 사이의 결탁에 꿈도 희망도 없어가 절로 나오는 내용인지라 러시아의 보수층에게 상당한 비난을 받았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런 영화를 러시아 문화부에서 지원했고, 아카데미 시상식에 외국어 영화상 후보로 추천한 것도 러시아 문화부라는 점. 가뜩이나 푸틴을 비판하면 매장당하는 러시아 사회라 러시아 문화부장관은 "개인적으로 리바이어던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변명아닌 변명을 했다.

감독 본인은 미국의 킬도저 사건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러시아 상황을 풍자했다고 밝히면 정부와 보수주의자의 가열찬 비난을 받을까 봐 내세운 명분에 가깝다.

한편 러시아 정교회의 진보진영을 포함한 진보 측에서는 리바이어던을 높게 평가하는 시각도 있는 듯하다. 정교회의 안드레이 쿠라예프 신부는

"즈비아긴체프 감독은 '리바이어던'으로 비난받고 있는 것을 영광으로 여겨야 한다."

"푸쉬킨, 그로보예도프,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도 같은 이유로 비난받았기 때문"

라고 뼈 있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때문에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차기작인 러브리스는 해외 자본에 러시아 자본이 일부 투자되는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여기다도 즈비아긴체프보다 더 세게 푸틴과 보수파를 까대며 영화를 만들던 키릴 세레브렌니코프가 누명으로 감금되는 사태가 일어나서 푸틴에 대한 비판이 많다.

정작 푸틴은 대변인을 통해 "반(反)러시아 영화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내놓았고 그 때문에 보수파의 비난하는 여론도 다소 수그러들었다. 카더라지만 측근들에게 이 영화를 다운 받아서 보라고 했다는 말도 있다. 독재자의 아량인지 "직접적으로 공격한 것은 아니니 이 정도 내용은 별 문제없다"라는 자신감인지는 알 수 없다. 아니면 푸틴도 스스로 러시아의 부패와 하위 권력의 횡포에 대해 나름 경계하고 있는 걸지도 모른다.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4,439,481(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1,092,800미정


8.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 제67회 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
  • 황금독수리 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수상
  • 제7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수상
  • 제68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 제35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 수상, 작품상, 기술공헌상 후보
  • 제26회 팜스프린스 국제 영화제 국제비평가협회(FIPRESCI) 외국어영화상 수상
  • 제41회 뮌헨 국제 영화제 아리수상
  • 제8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작품상 수상, 감독상, 촬영상 후보
  • 제58회 런던 국제 영화제 작품상 수상
  • 제27회 유럽 영화상 유러피안 작품상, 유러피안 각본상, 유러피안 감독상, 유러피안 남우주연상 후보

2015년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 및 미국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였다.

그 이외에도 러시아의 황금독수리영화상 시상식에서 감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극본상 등 여러 부분을 수상하였다.


9. 기타[편집]


  • 촬영은 무르만스크 주 바랜츠 해 연안에 위치한 테리바르카라는 마을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고립된 해변에 집이 있는 공간을 찾지 못해 고심하다가, 감독이 우연히 인터넷으로 발견한 사진 한 장을 보고 수소문해 찾게 된 마을이라고 한다.


10. 관련 문서[편집]




11. 외부 링크[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리바이어던 문서의 r1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리바이어던 문서의 r1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54:36에 나무위키 리바이어던(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