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39

덤프버전 :

>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10141017102011111112
11131114[a]111511161119
112011221124[a]11261127
11281129[a]1130[a]11311132
113311351136[a]11371138
11391140114111421143
1144115411551162[a]1164[a]
11651167121312181221
12221224122612271711
810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1139번 3976호.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39 노선도.svg
기점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4동종점)종점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방학3동주민센터)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08
막차23:40막차00:16
평일배차10~16분주말배차10~16분
운수사명흥안운수인가대수11대[1][2]
노선상계4동종점 - 동아불암아파트 - 상계역 - 상계119안전센터 - 상명고등학교 - 중계건영2차아파트.중계역 - 상계주공1단지.백병원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1.12단지(마들역) - 수락산역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 도봉견인차량보관소 → 천주교도봉동교회 → 방학2동주민센터 → 방학3동주민센터 → 쌍문동한양.현대아파트 → 방학동삼익세라믹 → 거성학마을아파트 → 방학역 → 도봉견인차량보관소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흥안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62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235-1번 도시형버스(상계4동 - 삼양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도봉역 이남 삼양동 구간이 단축되고, 도봉산역 회차(공영차고지)로 바뀌었다. 번호도 113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8월 9일에 당현천길(동일로 214길) 대신 대진여고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5년 2~3월경 '도봉역 - 도봉산입구' 구간을 단축하고, '도봉역 - 안방학동' 구간을 연장했다. 관련 게시물


  • 2008년 6월 1일에 상계역 일방통행로를 가지 않는 걸로 바뀌었다. 관련 기사


  • 2012년 3월 16일에 '방학중 - 방학3동주민센터 - 쌍문동현대한양아파트 - 쌍문동청구아파트' 구간을 연장했다. 관련 공지사항

  • 회전 시 중앙선을 침범하면서 사고 위험이 높고,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많아 운행하기 부적절한 점, 그리고 상계4구역 재개발로 인해 도로가 폐쇄되면서 2017년 3월 10일부터 쌍문동 방향도 영신약국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상계역으로 간다. 관련 공문

  • 2017년 11월 20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조치에 따른 배차간격 변화 정도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토요일의 경우 11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평일/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과 공휴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1분 늘어났었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 2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04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 115분, 공휴일 105분으로 늘었고 이와 동시에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토요일의 경우 11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전일에 걸쳐 9~15분이던 배차간격도 10~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을 기해 동년 10월 5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토요일의 경우 11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휴일 배차간격도 10~16분에서 13~17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2년 12월 1일부로 평일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는 감차당했고[3],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 불가능한 노선이다.

  • 상계4동차고지 노선 중에서 1224번 다음으로 수요가 좋다. 평시에도 자리는 깔고 가며, 출퇴근시간대에는 중계역에서 수십 명씩 타고 내린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9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8,234명-
2014년7,995명▽ 239
2015년8,005명△ 10
2016년7,919명▽ 86
2017년7,645명▽ 274
2018년7,399명▽ 246
2019년7,095명▽ 304
2020년5,268명▽ 1,827
2021년5,317명△ 49
2022년5,617명△ 30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9:00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13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10대 운행[2] 예비차량은 1138,1224번과 공동으로 사용합니다.[3] 감차분은 N13번으로 이동되었다.[4] 흥안운수종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