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패러다이스

덤프버전 :

파일:skiparadise.jpg
이름Ski Paradise
출생1990년 5월 12일 파일:미국 국기.svg
죽음불명
성별암컷
털색회색 (Gray)
아비리파르 (Lyphard)
어미스키 고글 (Ski Goggle)
외조부로열 스키 (Royal Ski)
생산자퐁텐블로 팜 (Fontainbleau Farm)
마주요시다 젠야
→요시다 테루야
조교사앙드레 파브르 (André Fabre, 프랑스)
성적20전 6승 (6-8-1-5)
상금319만 2000프랑
20만 달러
7054만 6000엔
1만 4011파운드
주요
우승
G1물랭 드 롱샹상 (1994)
G2아스타르테상 (1993)
G3샌드링엄상 (1993)
일본 G2파일:일본 국기.svg 케이오배 스프링 컵 (1994)
주요 자마에어 툴레 (1997)
상세 정보파일:france_galop_logo.svg | 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3.1. 1992년, 1993년 시즌
3.2. 1994년 시즌
4. 번식마 생활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미국에서 생산된 프랑스의 경주마. 타케 유타카 기승으로 물랭 드 롱샹 상에서 우승하면서 일본인 기수 첫 해외 G1 승리를 기록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리파르
Lyphard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1961
파일:캐나다 국기.svg
니어크틱
Nearctic
나탈마
Natalma
구프트
Goofed
1960
파일:미국 국기.svg
코트 마셜
Court Martial
바라
Barra
스키 고글
Ski Goggle
1980
파일:미국 국기.svg
로열 스키
Royal Ski
1974
파일:미국 국기.svg
라자 바바
Raja Baba
코즈 오니진스키
Coz o'Nijinsky
미시시피 사이렌
Mississippi Siren
1973
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저지
Delta Judge
케이블 센서
Cable Censor
*

모마 스키 고글은 샤다이 그룹이 한 때 소유했던 미국 켄터기주의 퐁텐블로 팜의 생산, 소유마로 미국에서 6전 5승(G1 1승)을 기록했다. 샤다이 그룹이 퐁텐블로 팜을 매각한 뒤에도 남아 아르헨티나 G1 우승마인 스키 챔프(1986, 父 Icecapade), 프랑스 G3 우승마 스키 치프(1988, 父 Chief's Crown)를 생산했고 스키 패러다이스의 반형제 동생들인 스키 캡틴(1992, 父 Storm Bird), 스키 월드(1993, 父 Alysheba), 버번 컨트리(1994, 父 Theatrical)는 모두 일본으로 수입되어 현역을 뛰었다. 이 중 스키 캡틴은 현역 6전 3승, 1995년 키사라기상 우승마다.


3. 커리어[편집]



3.1. 1992년, 1993년 시즌[편집]


당시 프랑스 챔피언 트레이너였던 명 조교사 앙드레 파브르[1] 소속, 기수 티에리 자르네[2](Thierry Jarnet) 기승으로 1992년 데뷔, 첫 시즌 3경기에서 2, 3, 2착으로 아쉽게 승리를 놓치다 4번째 경기만에 첫 승리를 거두고 시즌을 마쳤다.

1993년 3세 시즌 첫 경기를 승리하고 나간 풀 데세 드 풀리쉬(프랑스 1000기니)에서 자르네 기수가 바야(Baya)를 기승하게 되어서 도미니크 뵈프(Dominique Boeuf)가 대타 기승, 스키 패러다이스는 후방에서 대기하다 200m를 앞두고 선두에 섰지만 골 직전에서 마들렌즈 드림(Madeleine's Dream)에 추월당하며 아깝게 2착을 기록한다.

이어지는 중상 2경기에서 연승을 하며 기대를 높였지만 이 시기 G1 마일 전선은 혼전이었다. 자크 르 마루아상에는 킹맘보, 골드 스플래시(Gold Splash), 사예다티(Sayyedati)등 당시 이미 마일 G1 우승 경력이 있던 말들과 겨뤄 선전했지만 동기 암말 사예다티에 밀려 2착, 이어진 물랭 드 롱샹 상에서는 킹맘보, 골드 스플래시에 빅스톤[3](Bigstone), 바라시아(Barathea), 컬처 벌처(Culture Vulture) 같은 마일 G1마들이 추가되었는데도 역시 잘 달렸지만 킹맘보에 패배하며 2착을 기록한다.

1400m 경기인 포레상에서는 쭉 단거리에서 뛰고 온 돌핀 스트리트(Dolphin Street)에 밀리며 2착, 이어서 미국 원정을 떠나 브리더스컵 마일에 출주, 빅스톤, 바라시아 등 유럽 G1마 셋과 미국 G1마 다섯이 참가한 경주에서도 너무 강력했던 상대 루어[4](Lure)에 완패하며 다시 2착을 기록한다. 결국 3세 시즌은 8전 3승에 G1 2착 5회라는 아까운 실적을 쌓았다.

3.2. 1994년 시즌[편집]


1994년 4세 시즌에는 1993년 부터 국제 경주가 된 야스다 기념을 목표로 일본 원정을 결정, 먼저 케이오배 스프링 컵에 나가게 되는데 여기에는 마일에서 겨루던 사예다티, 돌핀 스트리트와 2세 시즌에 패배했던 상대인 자이텐(Zieten)이 참가했다. 이 경기에 타케 유타카가 처음 기승해 자이텐, 사예다티, 돌핀 스트리트를 2, 3, 4위로 내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목표인 야스다 기념에는 무려 16kg이 증가한 체중으로 등장, 케이오배 당시의 마체중이 432kg이었던 작은 말이었기에 이 증량은 부담이 되었고 결국 5착에 그치고 만다.[5]

프랑스로 돌아 온 뒤에도 타케 유타카가 기승[6]해 아스타르테상 2착, 자크 르 마루아상 5착을 기록하고 물랭 드 롱샹 상에 출주한다. 여기에는 자크 르 마루아상에서 우승한 킹맘보의 반형제 여동생 이스트 오브 더 문(East of the Moon)이 1번 인기, 사예다티가 2번 인기, 빅스톤이 3번 인기인 가운데 7마리 중 5번 인기로 큰 기대를 받지 않았으나 직선 주로에서 마군의 틈을 뚫고 이스트 오브 더 문 에 3/4마신차로 승리해 마침내 첫 G1제패를 이루었고 타케 유타카는 일본 최초 해외 G1 우승 기수가 되었다.

이 후로는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에서 4착, 포레상에서 5착을 기록하고 은퇴 경기였던 미국의 브리더스컵 마일에서 10착을 기록한 후 일본의 샤다이 팜에서 번식 암말로 활동한다.


4. 번식마 생활[편집]


순서생년말 이름성별모색아버지전적
11996아그네스 쇼콜라[7] (アグネスショコラ)암컷흑갈색
(黒鹿毛,쿠로카게)
선데이 사일런스9전 2승
21997에어 툴레암컷회색
(芦毛, 아시게)
토니 빈24전 6승
한신 암말 스테이크스(2001)
-1998산구 없음--선데이 사일런스-
-1999산구 없음
-2000산구 없음--Helissio[8]-
32001스키 패러다이스 2001수컷갈색
(鹿毛,카게)
Helissio불출주
42002아스피린 스노우 (アスピリンスノー)암컷갈색
(鹿毛,카게)
엘 콘도르 파사21전 3승
플로라 스테이크스 3착(2005)
-2003산구 없음--엘 콘도르 파사-
52004플레제르 (フレジェール)암컷갈색
(鹿毛,카게)
아그네스 타키온15전 2승
-2005(???)--아그네스 타키온-
62006사토노 패러다이스 (サトノパラダイス)수컷회색
(芦毛, 아시게)
타이키 셔틀4전 2승
-2007산구 없음--스테이 골드-
72008프랭스 데투알 (プランスデトワール)수컷회색
(芦毛, 아시게)
딥 임팩트48전 4승
-2009산구 없음--아그네스 타키온-
-2010산구 없음--다이와 메이저-
-2011산구 없음--하이어 게임[9]-
-2012[10]산구 없음

2009년 이후로 유산과 불수태가 이어져 2011년 11월 1일 용도 변경되었고 그 이후로의 동향은 불명이다. 타케 유타카에게 첫 해외 G1 우승을 안겨준 말이지만 그 최후는 안타깝게 끝났다.[11]

자마들도 대부분 스키 패러다이스의 행보를 따라가듯이 안 좋게 끝났다. 아그네스 쇼콜라는 2018년에 홋코 타루마에의 자마를 낳다가 사망했고, 아스피린 스노우도 2017년에 하츠 크라이와 교배를 했지만 이후 행적이 알려지지 않는데 정황상 교배 이후에 모종의 이유로 사망한 걸로 추정된다. 암컷 자마들은 그나마 번식마로서 어느 정도 알려졌지만 수컷 자마들인 스키 패러다이스 2001은 아예 경주마가 되지 못했고, 사토노 패러다이스와 프랭스 데투알[12]은 말소 이후 스키 패러다이스처럼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다.

예외로 둘째 자마인 에어 툴레는 2019년 이후에 무사히 번식마에서 은퇴해 여생을 보내다 2021년에 사망해 앞선 자마들보다 좋게 끝났다. 현재 유일하게 살아있는 자마는 다섯 번째 자마인 플레제르로 2023년 현재까지도 번식마로 지내고 있다.

안타깝게도 스키 패러다이스 자신은 번식마로서 에어 툴레를 제외하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다행히 암컷 자마들이 낳은 자마들, 즉, 스키 패러다이스의 외손주들이 간간히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아그네스 쇼콜라가 낳은 자마 중 2009년 효고 챔피언십을 우승한 골든 티켓[13], 2015년 미야코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로와 자르당[14]이 있고, 아스피린 스노우의 외손자이자 스키 패러다이스에게 증손주가 되는 페리에르[15]는 2023년 유니콘 스테이크스에서 우승했다. 그리고 정점으로 에어 툴레가 낳은 자마 중 캡틴 툴레는 G1 사츠키상을 포함해 중상 세 번을 더 우승했고, 울티마 툴레, 크랑 몬타나도 중앙 중상에서 우승했으며, 실버 소닉은 2022년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 2023년엔 스키 패러다이스와 마찬가지로 해외의 중상을 우승하는 등 무려 네 마리가 우승해 자마들 중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다.

5. 경주 성적[편집]


전적 관련 자료(일본어 주의)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92년 (2세)
9.1에브리오메르상잔디 1200m2착티에리 자르네펌 프렌드
9.6롱샹아랑베르 상G3잔디 1000m43착자이텐
10.9메종 라피트그리 페를리상잔디 1200m2착찬스 투 비 와일드
11.3생클루가르드푸상잔디 1200m1착(사브릭산데르)
1993년 (3세)
4.21에브리앙제르빌상L잔디 1600m1착티에리 자르네(시르 다르)
5.16롱샹풀 데세 드풀리슈G1잔디 1600m52착도미니크 뵈프마들렌즈 드림
6.6샹티이샌드링엄상G3잔디 1600m11착티에리 자르네(루케트)
7.31도빌아스타르테상G2잔디 1600m21착실뱅 기요(프레셔)
8.15도빌자크 르 마루아상G1잔디 1600m2착패트릭 J. 에데리사예다티
9.5롱샹물랭 드 롱샹상G1잔디 1600m22착티에리 자르네킹맘보
10.10롱샹포레상G1잔디 1600m12착돌핀 스트리트
11.6파일:미국 국기.svg 산타아니타브리더스컵 마일GI잔디 8f72착루어
1993년 (4세)
4.23파일:일본 국기.svg도쿄케이오배 스프링 컵일본 GII잔디 1400m11착타케 유타카(자이텐)
5.15파일:일본 국기.svg도쿄야스다 기념일본 GI잔디 1600m15착노스 플라이트
7.31도빌아스타르테상G2잔디 1600m22착하투프
8.14도빌자크 르 마루아상G1잔디 1600m25착이스트 오브 더 문
9.4롱샹물랭 드 롱샹 상G1잔디 1600m51착(이스트 오브 더 문)
9.24파일:영국 국기.svg 애스콧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G1잔디 8f34착마루프
10.16롱샹포레상G1잔디 1600m15착티에리 자르네빅스톤
11.6파일:미국 국기.svg 처칠 다운스브리더스컵 마일G1잔디 8f510착타케 유타카바라시아
[1] 1987년~2007년까지 21년 연속, 2010~15년 6년 연속, 2017~19년 3년 연속, 총 30회 프랑스 챔피언 트레이너 자리에 오르고 개선문상 8승을 기록한 조교사다. 주요 조교마로 14전 8승(G1 5승)의 소비에트 스타(Soviet Star), 11전 7승(G1 3승)의 인 더 윙스(In the Wings), 팽트르 셀레브르, 14전 8승(G1 5승)의 허리케인 런(Hurricane Run), 18전 10승(G1 3승)의 만두로(Manduro), 발트가이스트 등이 있다.[2] 프랑스 통산 19412전 2304승(G1 48승), 개선문상 4승을 기록한 기수로 특히 트레브와 함께 개선문상을 2연패 한 기수다.[3] 메이쇼 도토의 부마다.[4] 25전 14승(G1 3승),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마.[5] 당시 돌핀 스트리트는 4kg, 자이텐은 6kg, 사예다티는 8kg이 증가했다. 일본 원정에 익숙하지 않았던 해외 진영이 사료를 너무 많이 준 것으로 추정된다. 야스다 기념에서 돌핀 스트리트는 3착, 사예다티는 7착, 자이텐은 12착을 기록했다.[6] 요시다 테루야의 소유마로 1993년 데르비 이탈리아노(G1) 우승마이자 KGVI&QES, 개선문상에서 2착을 기록한 화이트 머즐(White Muzzle)의 94년 KGVI&QES, 개선문상 기승을 앞두고 타케의 유럽 경마 적응을 위한 방침이었다는 설이 있다.[7] 2009년 효고 챔피언십 우승마 골든 티켓(ゴールデンチケット), 2015년 미야코 스테이크스 우승마 루아 자르댕(ロワジャルダン)의 모마.[8] 1996년 개선문상을 우승했다.[9] Higher Game. 2001년생의 선데이 사일런스의 자마로, 2004년 아오바상, 2007년 나루오 기념에서 우승했다. 그 외에 킹 카메하메하가 우승한 2004년 도쿄 우준에서 3착했다. 안타깝게도 스키 패러다이스처럼 2017년 전매불명(転売不明)으로 행방을 알 수가 없게 되었다.[10] 이 때는 이미 용도변경이 되어서 번식마가 아니지만 JBIS에서 표기되어 있다.[11] 현재는 은퇴마 협회 등의 루트로 한 시대를 풍미한 유명 경주마들을 데려가 여생을 보낼 수 있게 할 수 있지만 2011년 당시에는 이러한 루트가 없었다. 거기다 경마계 내에서 알아주는 기업인 샤다이 그룹도 아무리 현역 시절에 실적을 낸 경주마라도 실리 앞에서는 냉혹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12] 2011년 라디오NIKKEI상에 출주한 적이 있지만 발주한 지 얼마 안 돼서 옆의 말과 부딪쳐서 코스 이탈한 전적이 있다. 이후로도 중앙에 계속 도전하다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장애물, 고치로 옮겼지만 마찬가지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그대로 말소됐다.[13] 2006년생의 수컷으로, 킹 카메하메하의 산구다. 2012년에 은퇴해 야마가타 현의 승마 클럽에서 승마로 지내고 있다.[14] 2011년생의 말로, 골든 티켓과 전형제. 미야코 스테이크스 우승 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해 지방인 오이 경마장으로 옮겼지만 2018년 방목 중에 제엽염에 걸려 사망했다.[15] 아스피린 스노우의 자마 중 후지 키세키와의 사이에서 낳은 세 번째 자마인 소프트 라임의 자마다.

파일:france_galop_logo_white.svg '''[[물랭 드 롱샹상|{{{#fff 물랭 드 롱샹상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957
로제 루아얄
1958
릴리아
1959
지네타
1960
민시오
1961
벨 시카
1962
파일:영국 국기.svg 로물루스
1963
훌라 댄서
1964
미르나
1965
레드 슬리퍼
1966
실버 샤크
1967
그레이트 네퓨
1968
폴라 벨라
1969
파일:영국 국기.svg 해비탯
1970
파일:영국 국기.svg 골드 로드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파러웨이 선
1972
파일:영국 국기.svg 살러스트
1973
파일:영국 국기.svg 스파클러
1974
마운트 하겐
1975
델모라
1976
그레이브라인즈
1977
팔리
1978
사네드키
1979
아이리시 리버
1980
킬리자로
1981
노스 제트
1982
그린 포레스트
1983
뤼탕장테
1984
멘데즈
1985
파일:영국 국기.svg 루숑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소닉 레이디
1987
미에스크
1988
소비에트 스타
1989
폴리시 프레시던트
1990
파일:영국 국기.svg 디스턴트 렐러티브
1991
프리올로
1992
파일:영국 국기.svg 올 앳 시
1993
킹맘보
1994
스키 패러다이스
199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리지우드 펄
1996
아슈칼라니
1997
스피닝 월드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데저트 프린스
1999
센다와르
2000
인디언 로지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슬리클리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록 오브 지브롤터
2003
네브래스카 토네이도
2004
그레이 릴라
2005
파일:영국 국기.svg 스타크래프트
200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브레티스트
2007
다르지나
2008
골디코바
2009
파일:영국 국기.svg 아클람
2010
퓌세
2011
파일:영국 국기.svg 엑셀러브레이션
2012
문라이트 클라우드
2013
막시오스
2014
참 스피릿
2015
에르베디아
2016
바다모스
2017
파일:영국 국기.svg 립체스터
2018
레코레토스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서커스 맥시머스
2020
페르시안 킹
2021
파일:영국 국기.svg 바이드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드림 로퍼
2023
사투르네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케이오배 스프링 컵|{{{#fff 케이오배 스프링 컵

(일본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6
쿠리 치카라
1957
히데 호마레 >

1958
블레츠 싱

1959
쿠리페로
1960
스위트 원
1961
쇼잔 >

1962
토리신

1963
스즈 호프

1964
쿠리라이트

1965
아사 호크

1966
그레이트 요루카

1967
히시 마사히데

1968
메지로 신겐

1969
몬타 선
1970
미노루
1971
타마미 >

1972
다이센푸

1973
인터 브레인

1974
타케쿠마 히카루

1975
키쿠노 오

1976
야마부키 오

1977
닛포 킹

1978
시비 퀸

1979
골든 보이
1980
시버드 파크
1981
심볼리 프렌드 >

1982
에비스 크라운

1983
이스트 보이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해피 프로그레스
1985
니혼 필로 위너 >

1986
투어 팔콘

1987
닛포 테이오

1988
다이나 액트리스

1989
린도 호시
1990
신 윈드
1991
다이이치 루비 >

1992
다이너마이트 대디

1993
야마닌 제퍼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키 패러다이스

199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마니

199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하트 레이크

1997
타이키 블리자드

1998
타이키 셔틀

1999
그래스 원더
2000
스팅어
국제 GII 지정 후
2001
스팅어2연패
2002
갓 오브 찬스 >

2003
텔레그노시스

2004
윈 라디우스

2005
아사쿠사 덴엔

2006
오레와 맛테루제

2007
에이신 도버

2008
슈퍼 호넷

2009
스즈카 코즈웨이
2010
생큐스 노트
2011
스트롱 리턴 >

2012
사다무 파텍

2013
다이와 마조레

2014
레드 스파다

2015
사쿠라 가스펠

2016
사토노 알라딘

2017
레드 팔크스

2018
문퀘이크

2019
타워 오브 런던
2020
다논 스매시
2021
라우다 시온 >

2022
메이케이 옐

2023
레드 몽 레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9:15:45에 나무위키 스키 패러다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