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군·함안군·합천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의령군/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 일원
宜寧郡·咸安郡·陜川郡
Uiryeong–Haman–Hapcheon
선거인 수123,427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의령군 전역
의령읍, 가례면, 칠곡면, 대의면, 화정면, 용덕면, 정곡면, 지정면, 낙서면, 부림면, 봉수면, 궁류면, 유곡면

함안군 전역
가야읍, 칠원읍, 칠북면, 칠서면, 함안면, 군북면, 법수면, 산인면, 대산면, 여항면

합천군 전역
합천읍,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
신설년도2004년
이후 선거구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국회의원
[1]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중선거구제 시기 (9대 ~ 12대)
4. 의령군·함안군, 합천군 (13~14대)
5. 의령군·함안군, 거창군·합천군 (15대)
6. 의령군·함안군, 산청군·합천군 (16대)
7. 의령군·함안군·합천군 (17~19대)



1. 개요[편집]


TK 지역과 인접한 경남 북부지역인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을 하나로 묶은 선거구였다. 물론 윗동네인 대경권보다는 보수성이 약하지만, 그래도 농촌이라서 그런지 보수성이 강하다. 이 지역구는 3당 합당 이전에도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계가 PK 맹주이자 민주화 운동 세력의 한 축인 신민당, 신한민주당, 통일민주당을 압도했던 지역구이다. 실제로 3당 합당 이후인 14대 총선 부터 16대 총선까지 민주당계 정당은 이 지역에서 20%를 채 넘기지 못했고, 17대 총선에 가서야 열린우리당 후보가 40% 득표율을 넘기게 된다. 흥미로운점은 이 선거구의 정치성향과 완전히 반대되는 정당인 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이 10~20%의 득표율을 얻은적이 있다는 사실이다.[2]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의령군·함안군·합천군의 국회의원
대수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9대 [3]이상신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의령군·함안군·합천군 [4]
이상철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3년 3월 12일 ~ 1973년 6월 18일[5]
10대김상석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이상신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1대유상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조일제
[[한국국민당(1981년)|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글자.svg
]]
12대유상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조홍래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3대정동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의령군·함안군
권해옥합천군
제14대정동호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의령군·함안군
권해옥합천군
제15대이강두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거창군·합천군
윤한도의령군·함안군
제16대김용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산청군·합천군
윤한도의령군·함안군
제17대김영덕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의령군·함안군·합천군
제18대조진래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제19대조현룡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5년 11월 27일[6]


3. 중선거구제 시기 (9대 ~ 12대)[편집]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철(李相澈)무투표 당선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2이상신(李尙信)무투표 당선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상석(金相碩)39,160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30.04%당선
2이상신(李尙信)32,489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4.92%당선
3이중구(李重球)3,6456위
2.79%낙선
4권해옥(權海玉)25,0263위
19.20%낙선
5김재현(金在炫)8,0085위
6.14%낙선
6김창욱(金昌郁)21,9974위
16.87%낙선
선거인 수163,872투표율
81.40%
투표 수132,244
무효표 수1,919

3.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정무(孔正武)7,2555위
5.37%낙선
2이태식(李泰植)18,2384위
13.52%낙선
3유상호(柳尙昊)62,3491위
46.22%당선
4조일제(趙一濟)24,8512위
18.42%당선
5조홍래(趙洪來)22,1783위
16.44%낙선
선거인 수156,730투표율
86.96%
투표 수136,687
무효표 수1,816

3.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정(姜錫正)10,7725위
7.97%낙선
2유상호(柳尙昊)60,8451위
45.01%당선
3조홍래(趙洪來)27,2922위
20.19%당선
4조일제(趙一濟)21,8333위
16.15%낙선
5김재현(金在炫)14,4774위
10.71%낙선
선거인 수153,471투표율
89.84%
투표 수137,871
무효표 수2,652

4. 의령군·함안군, 합천군 (13~14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
의령군, 함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호(鄭東鎬)34,8611위
49.57%당선
2조홍래(趙洪來)21,8952위
[include(틀:통일민주당)]31.13%낙선
3조일제(趙一濟)13,5643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19.28%낙선
선거인 수84,317투표율
84.46%
투표 수71,216
무효표 수896

합천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해옥(權海玉)23,2191위
48.08%당선
2안경률(安炅律)7,3912위
[include(틀:통일민주당)]15.30%낙선
3이재복(李在福)3,4125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7.06%낙선
4강석정(姜錫廷)7,3653위
15.25%낙선
5진종한(陳鍾漢)6,8974위
14.28%낙선
선거인 수60,879투표율
80.57%
투표 수49,049
무효표 수765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
의령군 일원, 함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호(鄭東鎬)34,8131위
53.03%당선
2강정주(姜正柱)2,4853위
3.78%낙선
3조홍래(趙洪來)28,3482위
43.18%낙선
선거인 수80,598투표율
85.50%
투표 수66,762
무효표 수1,116

합천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해옥(權海玉)18,0281위
39.83%당선
2공정무(孔正武)1,3864위
3.06%낙선
3유상호(柳商昊)10,2453위
22.63%낙선
4박판제(朴判濟)15,5942위
34.45%낙선
선거인 수54,547투표율
84.40%
투표 수46,037
무효표 수784

5. 의령군·함안군, 거창군·합천군 (15대)[편집]



5.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
의령군, 함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한도(尹漢道)36,1761위
70.04%당선
2이정환(李正煥)4,3903위
8.49%낙선
3김진석(金鎭晳)3,5425위
6.85%낙선
4김진옥(金鎭沃)7,5422위
14.60%낙선
선거인 수79,996투표율
69.51%
투표 수55,608
무효표 수3,958

거창군·합천군
거창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강두(李康斗)33,7841위
43.55%당선
2신문규(愼汶揆)1,2006위
1.54%낙선
3백신종(白信鍾)4,9674위
6.40%낙선
4김용균(金容鈞)19,4012위
25.01%낙선
5박판제(朴判濟)14,7213위
18.98%낙선
6허태유(許泰瑜)3,4865위
4.49%낙선
선거인 수105,623투표율
77.29%
투표 수81,639
무효표 수4,080

6. 의령군·함안군, 산청군·합천군 (16대)[편집]



6.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산청군·합천군
산청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균(金容鈞)33,0491위
55.61%당선
2정영모(鄭永模)6,2273위
10.47%낙선
3권해옥(權海玉)14,4372위
24.29%낙선
4이현출(李鉉出)3,4084위
5.73%낙선
5박찬정(朴贊正)2,3065위
3.88%낙선
선거인 수82,792투표율
73.78%
투표 수61,080
무효표 수1,653

의령군·함안군
의령군, 함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한도(尹漢道)31,5931위
63.87%당선
2정동호(鄭東鎬)6,4703위
13.08%낙선
4김영덕(金榮德)7,6612위
15.48%낙선
5안병헌(安秉憲)3,7354위
7.55%낙선
선거인 수77,305투표율
65.76%
투표 수50,833
무효표 수1,374

7. 의령군·함안군·합천군 (17~19대)[편집]



7.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덕(金榮德)40,4321위
53.07%당선
3권욱(權郁)31,0802위
40.80%낙선
4박희원(朴熙元)1,6004위
2.10%낙선
5조국제(趙國濟)9583위
[include(틀:민주공화당(2000년))]1.25%낙선
6김판식(金判植)2,1053위
2.76%낙선
선거인 수122,836투표율
63.92%
투표 수78,511
무효표 수2,336

보통은 합천군>의령군>함안군 정도로 보수세가 강하지만, 이 총선에서만큼은 결과가 달랐다. 열린우리당 후보가 합천군에서 이기고, 한나라당 후보가 의령군,함안군에서 이겼기 때문. 이는 권욱 후보가 합천군 출신이여서 소지역주의가 매우 크게 적용했기 때문이다.

7.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영태(柳永泰)4,2815위
6.73%낙선
2조진래(趙辰來)31,4641위
49.47%당선
4강선희(姜善姬)6,8294위
10.73%낙선
6박희원(朴熙元)7,1433위
11.23%낙선
7이철호(李哲昊)2,0406위
3.20%낙선
8김용균(金容鈞)11,8342위
18.60%낙선
선거인 수122,982투표율
52.61%
투표 수64,699
무효표 수1,108


7.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현룡(趙顯龍)39,6141위
54.46%당선
4박민웅(朴敏雄)16,3343위
22.46%낙선
6강삼재(姜三載)16,7602위
23.05%낙선
선거인 수123,427투표율
60.45%
투표 수74,608
무효표 수1,900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을 지낸 새누리당 조현룡 후보가 5선 중진 의원인 무소속 강삼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지만, 철도비리로 임기 말인 2015년 의원직을 상실하고 만다.


[1] 새누리당 조현룡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2] 심지어 18대 총선때는 민노당 후보가 민주당 후보를 제친 사실이 있다.[3] 무투표 당선[4] 중선거구제[5] 임기 중 사망[6] 의원직 상실 및 피선거권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