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택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심계원장 (1948~1963)
초대
명제세
제2대
함태영
제3대
노진설
제4대
최하영
제5대
김세완
제6대
이원엽
감찰위원장 (1961~1963)
초대
민영수
제2대
최재명
제3대
채명신

감사원장 (1963~현재)
초대
이원엽
제2대
한신
제3·4대
이주일
제5대
이석제
제6대
이석제
제7대
신두영
제8대
이한기
제9대
이한기
제10대
정희택
제11·12대
황영시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제13·14대
김영준
제15대
이회창
제16대
이시윤
제17대
한승헌
제18대
이종남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19·20대
전윤철
제21대
김황식
제22대
양건
23대
황찬현
24대
최재형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제25대
최재해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0대 감사원장
정희택
鄭喜澤 | Chung Hee-tak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yonhapnews_28330340.jpg
출생1919년 4월 8일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
(現 고령군 대가야읍)
사망2000년 2월 10일 (향년 80세)
서울특별시
본관연일 정씨
재임기간제10대 감사원장
1982년 9월 21일 ~ 1984년 4월 7일
제3대 방송위원회 위원장
1984년 4월 25일 ~ 1986년 4월 1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영례
자녀슬하 3남
학력주오대학 법학부 (법학 /학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1
약력고등문관시험 사법과 합격
사법부 감찰관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서울지방검찰청 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중앙수사국 연합정보위원회 의장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
헌법개정심의위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장
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
민주정의당 윤리위원장
민주정의당 공명선거추진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뉴질랜드의원친선협회 회장
제10대 감사원장
제3대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관료, 정치인, 변호사. 본관은 연일(延日)[1]#.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구에서 제4대 국회의원(자유당)을 지낸 정남택(鄭南澤)은 그의 형이다.


2. 생애[편집]


1919년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면(현 고령군 대가야읍)에서 지주였던 아버지 정운한(鄭雲漢)과 어머니 파평 윤씨 윤응환(尹應煥)의 딸 사이의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2] 대구관립고등보통학교[3]를 졸업하고 도일하여 1942년 일본 주오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8.15 광복 후 1946년 미군정청 법무부 감찰국 감찰관, 사법부 감찰관을 시작으로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와 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중앙수사국장을 거친 뒤 1961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한국전쟁 때는 정부의 방송을 믿고 서울에 남았다가 고립되었고, 이후 서울을 수복한 뒤에는 '잔류파'라 하여 북한 부역 혐의자로 몰려서 곤욕을 치루기도 했다.

1972년부터 1980년까지는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며, 제5공화국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도 일하였다. 1980년 민주정의당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 정치계에 입문하였고,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82년 제10대 감사원장에 임명되면서 전국구 국회의원직을 사임하였고 1984년까지 감사원장으로 재직하였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방송위원회 위원장을, 1986년부터 1993년까지는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2월 10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32:32에 나무위키 정희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정공파-강화공파 25세 택(澤) 항렬.[2] 어머니 파평 윤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으로, 첫째 부인 밀양 박씨 박종규(朴宗奎)의 딸은 슬하에 딸 한 명을 두고 1918년 별세하였다.[3] 경북고 동문회에서는 19회 졸업생으로 대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