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다 스윈튼

덤프버전 :

틸다 스윈튼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잉마르 베리만마르셀 카르네존 포드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빌리 와일더알레산드로 블라세티루이스 부뉴엘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장뤽 고다르세르게이 유트케비치알렉산더 클루게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사티야지트 레이킹 비더세자르 자바티니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존 휴스턴페데리코 펠리니타비아니 형제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로베르 브레송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얀초 미클로시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잔느 모로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파올로 빌라조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로만 폴란스키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알 파치노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우디 앨런모니카 비티마틴 스코세이지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주세페 드 산티스조프레도 롬바르도알랭 레네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더스틴 호프먼미셸 모르강제라르 드파르디유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워렌 비티소피아 로렌안제이 바이다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에릭 로메르디노 리시디노 드 로렌티스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미야자키 하야오스테파니아 산드렐리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르만노 올미존 라세터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앤드루 스탠튼리 언크리치오우삼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윌리엄 프리드킨델마 스쿤메이커프레더릭 와이즈먼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예지 스콜리모프스키제인 폰다로버트 레드포드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줄리 앤드류스페드로 알모도바르허안화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제이미 리 커티스카트린 드뇌브폴 슈레이더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역대 베니스 영화제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볼피 컵 : 여우주연상
제48회
(1990년)
제49회
(1991년)
제50회
(1992년)
글로리아 뭉크메예르
(거울 속의 달)
틸다 스윈튼
(에드워드 2세)
공리
(귀주 이야기)



틸다 스윈튼
Tilda Swinton
파일:틸다 스윈튼 2022년.jpg
본명Katherine Matilda Swinton
캐서린 마틸다 스윈튼
출생1960년 11월 5일 (63세)
잉글랜드 런던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거주스코틀랜드 네른
직업배우
학력웨스트히스 스쿨
페테스 컬리지 (졸업)(?~197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 홀[1] (사회학, 정치학)
활동1984년 – 현재
신체179㎝[2]
소속 정당스코틀랜드 사회당
고증조부고증조부 존 휴턴 밸푸어(1808년 ~ 1884년)
증조부증조부 조지 스윈턴(1858년 ~ 1937년)
부모부 존 스윈턴 경(1925년 ~2018년)
모 주디스 벌포(1929년 ~ 2012년)
파트너존 바이언(1989년 결혼 ~2003년 이혼)
산드로 코프(2004년 결혼 ~ 현재)
자녀[3]장녀 아너 스윈튼 바이언(1997년생)
장남 자비에 스윈튼 바이언(1997년생)

1. 개요
2. 생애
3. 성향
4. 필모그래피
4.1. TV
4.2. 영화
5. 수상 내역
6. 소속 정당
7. 기타



1. 개요[편집]


파일: 틸다 스윈튼.jpg
영국배우.


2. 생애[편집]


스코틀랜드 로우랜드의 유서 깊은 스윈튼(Swinton) 가문 출신이다. 이 가문은 로버트 1세의 직계 후손으로서 영국에서 앵글로색슨족으로 중세까지 그 뿌리를 추적할 수 있고, 노르만 정복 시대 이전부터 영지를 갖고 대를 이어온 단 3개 가문[4] 중 하나인 유서 깊은 가문이다.

친할아버지 알란 스윈튼은 영국군 준장 출신이며, 아버지 존 스윈튼 소장은 스코츠 근위대 출신으로 기사 작위[5]를 받고 영국 왕실근위대장을 지냈다.[6] 어머니 주디스 밸푸어 킬렌은 호주 출신으로 아일랜드계와 스코틀랜드계의 뿌리를 갖고 있다.[7] 어머니의 외증조부는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유명한 식물학자였던 존 허튼 밸푸어이다.

이런 배경 덕분에 영국의 쟁쟁한 사립기숙학교에서 상류 계급 코스를 밟으며 성장했다. 웨스트 히스 여학교(West Heath Girls' School)[8] 재학 시절 같은 반 친구가 훗날 왕세자비가 되는 다이애나 스펜서였을 정도. 그러나 10대 시절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자원봉사를 다니는 등 세계 질서와 인권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자신을 둘러싼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상류층 계급에 대한 회의를 품은 끝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진학과 동시에 공산주의자를 자처하고 영국 공산당에 입당한다.[9]

이후 배우의 길을 선택해 극단에서 활동하다가 데릭 저먼에게 발탁되어 "카라밧지오" 등 그의 대표작들 대부분을 함께하는 등, 그의 뮤즈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그러나 1994년 데릭 저먼이 에이즈로 죽은 뒤 한동안 몸과 마음 고생을 심하게 하면서 배우로서 회의를 느꼈다고 한다. 사실 <올란도>를 제외하면 대중에겐 좀 컬트와 언더그라운드적인 이미지가 강해서, 그리 유명하다고 할 정도는 아니였다.

다행히도 2000년 대니 보일 감독의 "비치"를 기점으로 메인스트림 쪽에서도 커리어를 넓히는데 성공했으며, <콘스탄틴>의 천사 가브리엘과 <나니아 연대기>의 하얀 마녀로 대박을 터뜨리면서 확실하게 자리잡았다. 봉준호의 <설국열차>에서는 열차의 2인자인 메이슨 총리로 출연. 여담으로 원래 메이슨 총리 역할은 처음에 남자 배우를 고려했으나, 스윈튼이 맡으면서 캐릭터 자체를 TS했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상당히 독특한 마스크로 유명하며, 이 때문에 비인간, 얼음여왕, 중성적인 역들이 많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올란도>, <콘스탄틴>의 가브리엘, <나니아 연대기>의 하얀 마녀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역들.

호주 출신의 여배우 케이트 블란쳇과 닮았다는 얘기가 있다. 블란쳇과 겹치는 출연작으로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가 있지만, 영화상에서 두 배우가 같이 나온 장면은 없다.

소위 정통 히로인과는 거리가 먼 배우이며, 단독 주연 작품이 드물고 그녀가 단독 주연을 맡은 영화들은 굉장히 실험적인 연출이나 캐릭터, 스토리를 다루는 영화가 많다. 어느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독특한 개성 때문에 평단과 팬들에게 확고한 지지를 받고 있는데다, 극과 극의 성격을 지닌 배역들도 자연스럽게 연기해내며 어느 역이든 극상의 연기를 뽑아내는 실력파 배우로 온갖 영화제의 후보에 오르고 상을 쓸기도 했다.#

쿨하고 냉랭해 보이는 외모와 달리, 평소 매우 유머가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 2013년에 함께 영화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를 촬영한 톰 히들스턴의 말에 따르면

정말 재미있는 분이죠. 빵빵 터져요. 메이크업 받고 있는 제게 아침마다 오셔서 괴상한 유튜브 동영상들을 보여주시곤 했어요. 제게 강남스타일을 가르쳐 주신 분이에요. 진짜로, 그 누구보다도 일찍 K-POP에 빠져 계셨을 걸요. 저를 위해 파티도 열어주셨어요. 댄스 플로어 위의 틸다 스윈튼의 모습은 장관 중의 장관이죠. 제대로 노는 법을 아시는 분이에요. #


사생활 쪽으로는 전 남친인 스코틀랜드인 작가 존 번의 사이에 1남 1녀의 이란성 쌍둥이를 두고 있으며, 2004년부터 독일/뉴질랜드 출신의 화가 산드로 콥[10]하고 사귀고 있다. 전 애인인 존 번은 스윈튼보다 20살 연상인데, 현재 교제 중인 산드로 콥은 스윈튼보다 18살 연하다.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스윈튼의 아이들의 아버지인 존 번과 그의 파트너 제닌 데이비스가 살고 있다고 한다. 현재 살고 있는 스코틀랜드의 마을에 대한 애착이 굉장히 강해서, 마을 영화제를 주최하고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를 위한 모금 프로젝트를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휴가 때에도 어디 가는 일 없이 마을 주변에서 쉬는 게 대부분이다.

2013년 7월에 설국열차크리스 에반스와 함께 내한했다. <케빈에 대하여>의 주연배우로서 참석한 2011년 칸 영화제에서, 당시 황금카메라상 심사위원장으로 참석한 봉준호 감독과 만나 인연을 쌓기 시작한 게 설국열차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한다. 함께 작업하면서 크게 감명 받았고, 특히 봉준호에 대해 이야기할 때 "나와 전생에 쌍둥이가 아니었을까 싶다"는 표현까지 남겼다. 또 그녀가 기존에 찍어왔던 영화들은 수 년간에 걸쳐[11] 만들어졌기 때문에 굉장히 지치는 작업이었는데, <설국열차>는 그렇지 않아서 즐거운 기분으로 촬영했다고 밝혔다.

외국 시선을 의식하고 거기에 전전긍긍하는 대한민국기레기들에게 한국 어떠냐?식의 질문하지 말라고 "예술을 논하는데 있어서 누가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라는 대사를 던진 배우도 바로 이 배우다.

<설국열차>에 이어서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에서 마담 D를 맡았다. 분장으로나 연기로나 전작들과의 괴리가 상당해서, 기존의 우아하면서 차가운 모습의 틸다 스윈튼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은 틸다 스윈튼인 것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원래 틸다 스윈튼의 성격이 재밌는 것을 좋아한다는 말로 봐서는 앞으로도 코믹한 역할로 영화에 출연할 가능성이 많은 것 같다.

그리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합류하게 됐다. 커티스와 메이슨이 한 자리에 닥터 스트레인지 영화판의 에인션트 원 역할로 전격 캐스팅됐다. 2015년 7월 24일 틸다 스윈튼이 연기하는 에인션트 원이 여성이 아닐 수도 있다는 내용이 나왔다.#그리고 케이트 블란쳇MCU빌런이 된다.

연기론이 상당히 독특한 걸로 유명하다. 로베르 브레송 감독의 당나귀 발타자르에 등장하는 당나귀가 최고의 연기자라고 지칭할 정도.

HBO에서 제작하는 기생충 드라마 판에서 충숙 역할을 제안 받은 걸로 알려졌다. 마크 러팔로가 기택 역을 제안받은 걸로 알려졌는데,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이며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만약 성사된다면 라인업이 대단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봉준호 감독과 절친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이상하고 괴짜스러운 역할을 제안받지만 다양한 이미지를 소화할 수 있단 점 때문에 봉준호의 영화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해[12] 영화 설국열차에 이어 옥자에서도 봉준호 감독과 함께했으며, 2019년 칸 영화제에서 영화 기생충의 프리미어 행사가 열릴 때도 직접 뤼미에르 극장에 와서 함께 영화를 관람하고 축하해 주었다. 또한 2020년에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봉준호 감독 작품 회고 행사 및 영화 기생충 시사회에서 직접 호스트를 맡아 진행했고, 영국의 한 영화 전문 미디어의 팟캐스트에 봉 감독과 함께 출연하여 영화 기생충에 대한 대담을 나누기도 했다. 또한 타임지의 2020년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100인》에 봉준호 감독에 대한 추천사를 직접 썼으며, 영국의 영화 전문지인 엠파이어의 2021년 2월호에 실린 봉준호 감독 독점 인터뷰의 인터뷰어로서 참여하기도 했다.


3. 성향[편집]


전향적인 인물이 많은 할리우드에서도 호아킨 피닉스, 엠마 왓슨, 수잔 서랜든 등과 함께 상당히 전향적인 연예인이다. 앞서 말했다시피 영국 공산당 출신이며 스스로를 공산주의자 내지 사회주의자로 칭하기도 했다. 영국 공산당 해산 뒤에는 스코틀랜드 사회당에도 입당하였다.[13] 전술했듯 데릭 저먼과 협업했던 사실이라든지 비독점적 다자연애[14] 지지자라는 사실을 보면, 반골 기질이 강한 듯.

2009년 WIP과의 인터뷰에서는 자신이 여성이라 확신할 수 없지만 아마도 여성일 것이라고 표현했다.# 이 부분에서 자신이 성 정체성에 대한 줄타기를 느낀다며 젠더플루이드에 가깝게 소개했다. 2013년에는 성소수자 인권운동에 참여하며, 바실리 대성당에서 러시아의 호모포비아에 반대하며 무지개 깃발을 들며 성명을 발표했다.

2021년 보그와의 인터뷰에서는 아예 퀴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정확히 무엇인지는 규명하지 않았지만[15], 양성애자라는 발언도 나왔다.#


4. 필모그래피[편집]



4.1. TV[편집]


연도제목배역비고
1986Zastrozzi: A Romance줄리아미니 시리즈
1990Your Cheatin' HeartCissie Crouch미니 시리즈
1992스크린플레이Ella / Max Gericke[16]총 1화
셰익스피어: 애니메이션오필리아미니 시리즈
1993Das offene UniversumCarla
2005더 솜내레이션TV 영화
2006갈라파고스미니 시리즈 다큐멘터리
2012게팅 온엘케


4.2. 영화[편집]


연도제목배역비고
1986카라밧지오레나
에고마니아샐리
1987아리아어린 소녀
대영제국의 몰락하녀
프렌드십의 죽음프렌드십
1988L'ispirazione단편 영화
Degrees of Blindness
Das andere Ende der Welt
1989전쟁 레퀴엠간호사
플레이 미 썸띵미용사
1990가든마돈나
1991The Party: Nature MorteQueenie
에드워드 2세이사벨라
1992올란도올란도
1993비트겐슈타인Lady Ottoline Morre ll
블루목소리 출연
1994리멤브랜스 오브 씽스 패스트
1996피메일 퍼버젼스이브 스티븐스
1997에이다 러블레이스에이다 바이런 킹
1998사랑의 악마뮤리엘
1999전쟁 지역엄마
프로타고니스트여배우
2000비치[17]
큐비스트조이스
2001딥 엔드마가렛 홀
바닐라 스카이레베카 디어본
2002테크놀러스트로세타 / 루비 / 마린느 / 올리브[18]
2003어댑테이션발레리 토마스
스테이트먼트안네마리
2004영 아담엘라
2005콘스탄틴가브리엘
브로큰 플라워페니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제이디스 / 하얀 마녀
썸서커오드리 코브
2006스테파니 데일리리디 크레인
딥 워터스내레이션다큐멘터리
2007런던에서 온 사나이말로인 펠레세지
마이클 클레이튼카렌 크로더
스트레인지 컬처호프 커츠다큐멘터리
히어스 룩킹 앳 유, 보이틸다 스윈튼
슬립워커스카피 클러크단편영화
2008나니아 연대기: 캐스피언 왕자제이디스 / 하얀 마녀
줄리아줄리아
2009번 애프터 리딩케이티 콕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엘리자베스 애봇
2010리미츠 오브 컨트롤블론드
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제이디스 / 하얀 마녀
클라이미트 오브 체인지내레이션다큐멘터리
2011아이 엠 러브엠마
2012케빈에 대하여에바
라디오맨틸다 스윈튼다큐멘터리
2013문라이즈 킹덤사회복지사
설국열차메이슨
데스 포 어 유니콘내레이션단편
2014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이브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마담 D.
제로법칙의 비밀쉬링크-롬
2015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다이아나
2016헤일, 시저!소라 / 테살리 대커[19]
비거 스플래쉬마리안
닥터 스트레인지에인션트 원
존 버거의 사계-감독, 다큐멘터리
2017옥자루시 미란도 / 낸시 미란도1인 2역
워 머신독일 기자
2018개들의 섬오라클목소리 출연
2019어벤져스: 엔드게임에인션트 원
서스페리아마담 블랑
요제프 클렘페러 박사[20]
데드 돈 다이젤다 윈스턴
수베니어로잘린드
더 퍼스널 히스토리 오브 데이빗 코퍼필드벳시 트로트우드
2020라스트 앤 퍼스트 맨내레이션
2021휴먼 보이스여자단편영화
프렌치 디스패치베렌슨
수베니어: 파트 II로잘린드
2022메모리아제시카 홀랜드
3000년의 기다림알리세아 비니
이터널 도터줄리 하트 / 로잘린드 하트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푸른 요정 / 죽음의 요정목소리 출연
2023애스터로이드 시티히켄루퍼 박사
Problemista[21]
더 킬러전문가[22]
2024미키17
디 엔드


5. 수상 내역[편집]


연도시상식부문작품
1991제4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에드워드 2세
1992제33회 데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여우주연상올란도
1993제19회 시애틀국제영화제여우주연상
2008제80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여우조연상마이클 클레이튼
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여우조연상
2009제35회 새턴상여우조연상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제29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영국 여우조연상
2011제24회 유럽영화상유러피안 여우주연상케빈에 대하여
2017제43회 새턴상최우수 여우조연상닥터 스트레인지
2020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평생공로상-

6.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83 - 1991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91 - 1998해산
스코틀랜드 사회당1998 -창당


7. 기타[편집]


  • 179cm의 큰 키와 녹안의 소유자이다.


  • 국립국어원의 외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틸다 스윈턴'이라고 써야 하지만, 주로 '틸다 스윈튼'으로 알려졌다.

  • 아동성범죄를 저지른 감독 로만 폴란스키의 탄원서에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정확히는 폴란드, 프랑스인인 폴란스키가 중립국인 스위스 영화제에 참여했을 때 미국 경찰이 체포한 것에 반발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항목을 참조하자.

  • 해리 포터 시리즈의 점술 담당 교수 시빌 트릴로니 배역 스카웃 제의를 받은 바 있었다고 한다. 허나 그녀는 영국의 기숙사 문화를 미화하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싫어해서 거절했다고 한다. 결국 그 배역은 엠마 톰슨이 맡게 되었다.

  • 조상 중 한명이 탱크라는 개념을 처음 고안해낸 어네스트 던롭 스윈튼이다.

  • 지금도 나이를 믿을 수 없을 만큼 아름답지만, 젊었을 땐 굉장한 미인이었다.
파일:리즈틸다.jpg

  • 2019년 1월, 여행 어플리케이션 '트립닷컴'의 닥터 스트레인지를 짧게 패러디한 한국 광고 모델로 등장했는데, 한국의 배우 이시언과 호흡을 맞췄다. 요행이 용어로 모쥐? 정말 누구도 상상조차 하지 않았던 조합이라 눈길을 끌고 있다. 이시언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인증샷을 남기며 함께 촬영하게 되어 영광이라는 소감을 남겼다. #


광고 2탄 틸다 스윈튼. 한국 포장마차 먹방 찍고 감사합니다는 서비스

[1] 현재는 머레이 에드워즈 컬리지(Murray Edwards College)로 이름이 바뀌었다.[2] 젊은 시절에는 179.1㎝였으며 나이가 들어서 키가 약간 줄었다고 한다.[3] 두 자녀 모두 전 배우자 존 바이언과의 사이에서 낳은 쌍둥이다.[4] 다른 두 가문은 잉글랜드의 아든(Arden), 버클리(Berkeley) 가문이다.[5] 빅토리아 훈장 기사지휘관장(Knight Commander of the Royal Victorian Order, KCVO)을 받았다.[6] 그 외에 전차의 개념을 처음 구상한 어니스트 던롭 스윈튼 소장도 먼 친척일 정도로 가문에 장교들이 많았다.[7] 어머니의 부계 성씨인 킬렌(Killen)은 아일랜드 성씨, 모계 성씨인 밸푸어(Balfour)는 스코틀랜드 성씨이다.[8] 틸다 스윈튼이 재학 중이던 때만 해도 상류층 여학생 100여 명만을 모아 교육하던 명문 사립 여학교였다. 이후 재정난을 겪으면서 1997년에 매각되었으며, 지금은 이름도 바뀌고 학교 성격도 학습 능력이 부진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남녀공학 학교로 완전히 달라졌다.[9]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스윈튼이 인터뷰에서 동지(comrade)나 동지애(comradeship)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10] 참고로 옥자 콘셉트 디자인과 제작에 참여했다고 한다.[11] <아이 엠 러브>의 경우 11년이 걸렸고, <케빈에 대하여>는 5년이 걸렸다.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역시 기획이 오래 걸렸다.[12] 배우에게 있어 이미지가 고정되는 것은 치명적이기 때문에, 상징적인 작품을 통해 유명해지면서도 이미지의 고착화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소화할 수 있길 원한다. 그래서 명작을 뽑아낼 수 있는 감독이 이런 수요를 맞춰줘서 비평과 흥행을 모두 충족시켜준다면 서로에게 이상적일 수 밖에 없다. 특히 틸다는 커리어도 인디 출신이라 배역을 안 가리는 편이고 감독들과 밀접하게 지내면서 프로듀싱에서도 많은 관여를 하는 편이다.[13] Scottish Socialist Party. 반자본주의 정당이다. 1998년 창당되었으며 리즈시절인 2000년대 초반에는 스코틀랜드 자치의회에 6명의 당선자를 보내기도 했지만 그 이후로는 그냥 듣보잡인 원외정당.[14] 일부일처제를 고집하지 않고 동시에 둘 이상의 사랑하는 사람을 가질 수 있다는 열린 마음의 상태를 지칭하는 말. 영어로 하면 폴리아모리.[15] 해외에서는 성소수자들이 자신이 어떤 종류의 성소수자인지 설명하지 않고 단지 퀴어에 속해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16] man to man 에피소드에서 남장과 노인 분장을 하고 1인 2역으로 출연했다.[17] 영화 속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맡은 리처드의 첫경험 상대다. '처음 치고는 잘 하는 걸? 푹 자둬. 내일 아침에 또 할지도 모르니까'라는 대사가 백미다.[18] 로세타의 DNA로 만든 복제 인간들, 1인 4역을 연기했다.[19] 1인 2역, 쌍둥이 자매[20] 틸다 스윈튼이 남장을 하고 1인 2역으로 분했다. 영화 크레딧상으로는 가상의 인물인 루츠 에버스도르프라는 배우가 분했다고 적혀 있는데, 사실 에버스도르프는 독일어로 틸다 스윈튼의 이름을 바꿔 쓴 언어유희이다.[21] 줄리오 토레스 감독의 작품.[22] 작중 본명이 공개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6:31:56에 나무위키 틸다 스윈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