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후쿠시마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규모진원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2022년 후쿠시마 지진
2022年(令和 4年)福島県地震
파일:1647443460_area.png
파일:Screenshot후쿠시마2022.png
파일:2022년 후쿠시마 지진 NHK.jpg
긴급지진속보1차미야기현, 후쿠시마현
2차도호쿠[1], 간토[2], 니가타현
발생1차2022년 3월 16일 23시 34분 30초(JST)
2차2022년 3월 16일 23시 36분 33초(JST)
진앙1차후쿠시마현 해역
(나미에 동북동쪽 62km 지점)
2차미야기현 해역
(나미에 동북동쪽 57km 지점)
진원의 깊이1차57km
2차
규모1차Mj 6.1 / Mw 6.0
2차Mj 7.4 / Mw 7.3
최대 진도1차5약[3], VI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
후쿠시마현 소마시
2차6강[4], IX
미야기현 도메시, 자오정
후쿠시마현 쿠니미정, 소마시, 미나미소마시
쓰나미 여부쓰나미 주의보
미야기현[5], 후쿠시마현[6] 1m
여진
2022. 3. 18 15:03
최대 지진: M 6.0, 진도 5약
진도 1 이상 36회
인명피해사망3명[7]
실종---
부상241명
재산피해주택 피해: 완파(대파) 35동 / 반파 218동 / 소파 4,335동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전진)
5-미야기, 후쿠시마
4이와테
3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2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니가타, 야마나시
1홋카이도, 나가노, 시즈오카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본진)
6+미야기, 후쿠시마
5+이와테, 야마가타
5-아오모리, 아키타, 이바라키, 도치기, 니가타
4군마, 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나가노, 시즈오카
3홋카이도, 이시카와, 기후, 아이치, 미에
2도야마,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1후쿠이,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 사가

후쿠시마 지진의 긴급지진속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한 영상

후쿠시마 지진의 NHK 긴급지진속보 한국어 번역 영상[8] 1차 지진과 2차 지진의 시간차가 고작 2분인데다 본진의 경우에는 PLUM법으로 긴급지진속보를 발표하여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9]

1. 개요
2. 진행
2.1. 후쿠시마 원전 관련
3. 피해
4. 여진 및 유발지진
5. 여파
6. 둘러보기
6.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화면 캡처 2022-03-17 001924.png
일본 기상청에서 분석한 지진의 진앙지
파일:2022 3월 후쿠시마 지진해일 주의보 발령 지역.png
쓰나미 주의보 발령 지역

2022년 3월 16일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의 규모는 일본 기상청 규모 7.4, 모멘트 규모 7.3 이며, 후쿠시마 현 앞바다, 깊이 57km 지점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압력축을 가진 역단층성 지진이며, 태평양 판 내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상청은 동일본대지진 여진역 내에서 발생한 지진이긴 하지만, 동일본대지진과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는 2021년 후쿠시마 현 앞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의 일련한 지진 활동으로 보인다고 밝혔다.[10]

또한 이번 지진 발생 2분 전에 M 6.1, 진도 5약의 전진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이 본진을 유발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처럼 짧은 시간 내에 2차례의 단층 파괴가 발생한 것은 근현대 일본 지진 관측 사상 이례적인 일이다.[11]


2. 진행[편집]


2022년 3월 16일 오후 11시 34분경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서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지진의 여파가 끝나기도 전인 약 2분 뒤 오후 11시 36분경 본진으로 추정되는 규모 7.4의 대지진이 연달아 발생하였다.

17일 0시 기준, 수상관저에 대책실이 설치되었다.

쓰나미가 관측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아유카와, 이시노마키 항, 센다이 항이며 후쿠시마현 소마 항, 오나하마 항이다. 쓰나미 예보는 미야기현과 후쿠시마현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발령된 상태이다. 다만 미야기현, 후쿠시마현만 파고가 1 m 수준으로, 그 외 지역은 파고가 0.2 m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1시 30분, 일본 기상청 회견이 진행되었다.

이번 지진은 압력축이 서북서-동남동 방향인 역단층형 지진이다. 또한 이번 지진은 침강한 해양판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번 지진으로 미야기현 북부에서 장주기 지진동 레벨 4가 관측되었다.

17일 1시 41분,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아유카와에서 10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17일 1시 46분, 미야기현 센다이 항에서 20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17일 2시 14분,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항에서 30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17일 3시 15분, 후쿠시마현 소마 항에서 20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요코하마시에서 지진이 3분 13초 동안 지속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17일 5시에 발령되었던 쓰나미 주의보가 해제되고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일대에 해일예보로 전환 발표되었다.


2.1. 후쿠시마 원전 관련[편집]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실시간 상황
진앙이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바로 앞으로, 일본 기상청은 원전이 위치한 지역인 후타바마치, 오쿠마마치 등에 6약 정도의 진도와 파고 1m의 쓰나미를 예측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화재경보기가 발동했다.

후쿠시마 제2원전에서 사용이 끝난 핵연료 풀의 냉각이 멈추었고, 3호기도 냉각이 일시 정지되었으나 복구가 완료되었다.

전문가들은 풀의 수온이 65도에 상승할 때까지 약 7일간의 여유가 있다고 밝혔다.

파일:2022 3월 후쿠시마 지진 진앙지 후타바마치 표시.png
빨간 화살표가 후타바마치 지역이다.


3. 피해[편집]


해당 지진으로 인해 도호쿠, 니가타현 지방 등 일본 전 국토에 약 245만 가구에 이르는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
파일:2022/03/17 후쿠시마 지진 도쿄전력관내 정전상황.png
도쿄전력 관내에서 약 220만 가구의 대규모 정전피해가 발생했다.

그 외에 일본 각 지역에서도 정전이 발생하였다. 지진으로 인해 환했던 거리가 순식간에 정전되어 어두워진 광경을 담은 트윗이 올라오기도 했다.

수도관 파열로 수도권 등 다수의 지역 8,700여 가구에서 녹물만 나오거나 단수됐다. #1 #2 #3

센다이시에서 2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4. 여진 및 유발지진[편집]


전문가들은 앞으로 일주일간은 여진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순번일시(UTC+9)[12]위치규모최대진도기타
02022년 3월 16일 23시 34분후쿠시마현 해역Mj 6.1 / Mw 6.05-전진
2022년 3월 16일 23시 36분Mj 7.4 / Mw 7.36+본진(강진)
12022년 3월 16일 23시 43분M 4.73
22022년 3월 16일 23시 45분M 4.8
32022년 3월 16일 23시 47분미야기현 해역M 3.91
42022년 3월 16일 23시 48분후쿠시마현 해역M 4.22
52022년 3월 16일 23시 49분미야기현 해역M 3.61
62022년 3월 16일 23시 51분M 4.0
72022년 3월 17일 00시 01분후쿠시마현 해역M 4.1
82022년 3월 17일 00시 09분M 4.32
92022년 3월 17일 00시 13분M 4.01
102022년 3월 17일 00시 27분M 3.8
112022년 3월 17일 00시 30분M 4.12
122022년 3월 17일 00시 33분M 4.01
132022년 3월 17일 00시 48분M 3.6
142022년 3월 17일 00시 52분Mj 5.54최대여진[13]
152022년 3월 17일 00시 54분 03초M 4.32
162022년 3월 17일 00시 54분 57초M 4.11
172022년 3월 17일 00시 57분M 4.22
182022년 3월 17일 01시 06분미야기현 해역M 4.01
192022년 3월 17일 01시 14분후쿠시마현 해역M 4.42# 여진 관측 영상
202022년 3월 17일 01시 45분M 3.61
212022년 3월 17일 01시 53분M 4.0
222022년 3월 17일 01시 55분M 3.8
232022년 3월 17일 01시 57분M 3.7
242022년 3월 17일 02시 05분M 4.12# 여진 관측 영상
252022년 3월 17일 02시 17분Mj 4.2# 여진 관측 영상
262022년 3월 17일 02시 28분Mj 4.5# 여진 관측 영상
272022년 3월 17일 02시 39분M 3.91
282022년 3월 17일 03시 02분M 3.8
292022년 3월 17일 03시 05분M 4.12# 여진 관측 영상
302022년 3월 17일 05시 22분미야기현 해역M 3.71
312022년 3월 17일 06시 03분후쿠시마현 해역M 4.02
322022년 3월 17일 08시 00분미야기현 해역M 4.11
332022년 3월 17일 08시 26분후쿠시마현 해역M 3.9
342022년 3월 17일 08시 40분M 3.9
352022년 3월 17일 09시 25분미야기현 해역M 3.8
362022년 3월 17일 09시 30분후쿠시마현 해역M 3.8
372022년 3월 17일 10시 24분미야기현 해역M 4.0
382022년 3월 17일 13시 17분후쿠시마현 해역M 3.9
392022년 3월 17일 13시 44분미야기현 해역M 3.7
402022년 3월 17일 13시 53분후쿠시마현 해역M 3.92# 여진 관측 영상
412022년 3월 17일 16시 47분M 4.11
422022년 3월 17일 19시 22분M 3.9
432022년 3월 17일 19시 43분M 4.73# 여진 관측 영상
442022년 3월 17일 19시 58분M 3.91
452022년 3월 17일 21시 30분미야기현 해역M 4.63# 여진 관측 영상
462022년 3월 18일 00시 23분후쿠시마현 해역M 3.91
472022년 3월 18일 03시 31분M 3.7
482022년 3월 18일 04시 26분미야기현 해역M 3.9
492022년 3월 18일 04시 57분M 3.9
502022년 3월 18일 06시 55분후쿠시마현 해역M 3.8
512022년 3월 18일 07시 55분미야기현 해역M 3.8
522022년 3월 18일 08시 09분후쿠시마현 해역M 3.6
532022년 3월 18일 09시 49분후쿠시마현 해역M 3.9
542022년 3월 18일 15시 02분M 4.02
552022년 3월 18일 21시 12분M 4.1
562022년 3월 18일 22시 04분미야기현 해역M 4.43
572022년 3월 19일 00시 57분후쿠시마현 해역M 5.0강진
582022년 3월 19일 08시 15분미야기현 해역M 3.71
592022년 3월 19일 10시 17분후쿠시마현 해역M 4.22여진 관측 영상
602022년 3월 19일 14시 11분M 3.51
612022년 3월 19일 16시 25분M 3.6
622022년 3월 19일 21시 07분미야기현 해역M 4.1
632022년 3월 19일 21시 08분후쿠시마현 해역M 3.7
642022년 3월 20일 05시 20분M 3.8
652022년 3월 20일 06시 15분M 3.9
662022년 3월 20일 08시 26분M 3.8
672022년 3월 20일 11시 38분M 3.9
682022년 3월 20일 14시 46분미야기현 해역M 4.02
692022년 3월 20일 15시 35분M 3.81
702022년 3월 20일 19시 23분후쿠시마현 해역M 4.0
712022년 3월 20일 22시 13분미야기현 해역M 4.12
722022년 3월 20일 22시 16분후쿠시마현 해역M 3.9
732022년 3월 21일 05시 59분M 3.61
742022년 3월 21일 08시 44분M 4.32
752022년 3월 21일 09시 06분M 4.01
762022년 3월 21일 10시 43분M 3.92
772022년 3월 21일 10시 54분미야기현 해역M 4.11
782022년 3월 21일 14시 22분후쿠시마현 해역M 3.8
792022년 3월 21일 17시 00분M 3.8
802022년 3월 21일 22시 21분미야기현 해역M 4.0
812022년 3월 22일 08시 12분후쿠시마현 해역M 3.8
822022년 3월 22일 13시 02분M 3.7
832022년 3월 22일 15시 07분미야기현 해역M 3.7
842022년 3월 22일 18시 28분M 3.7
852022년 3월 22일 19시 22분후쿠시마현 해역M 3.5
862022년 3월 22일 22시 52분미야기현 해역M 3.8
872022년 3월 23일 11시 11분후쿠시마현 해역M 4.1
882022년 3월 23일 13시 09분M 4.53여진 관측 영상
892022년 3월 23일 17시 02분M 4.01
902022년 3월 23일 19시 46분M 4.0
912022년 3월 23일 20시 10분M 4.33
922022년 3월 24일 08시 06분미야기현 해역M 4.32
932022년 3월 24일 13시 11분후쿠시마현 해역M 4.3
942022년 3월 24일 19시 31분M 3.81
952022년 3월 24일 21시 08분미야기현 해역M 3.9
962022년 3월 24일 23시 01분M 3.7
972022년 3월 24일 23시 59분후쿠시마현 해역M 3.7
982022년 3월 25일 12시 08분M 5.14강진[14][15]
992022년 3월 25일 15시 33분M 4.02
1002022년 3월 26일 00시 20분M 4.53
1012022년 3월 26일 11시 18분미야기현 해역M 3.91
1022022년 3월 26일 13시 15분M 3.92
1032022년 3월 27일 09시 34분후쿠시마현 해역M 4.01
1042022년 3월 27일 12시 06분M 4.22
1052022년 3월 27일 19시 34분M 4.01
1062022년 3월 27일 20시 12분M 4.22
1072022년 3월 27일 22시 06분M 3.81
1082022년 3월 27일 22시 54분M 4.73
1092022년 3월 28일 02시 13분M 3.62
1102022년 3월 28일 17시 01분미야기현 해역M 3.71
1112022년 3월 29일 01시 36분후쿠시마현 해역M 4.53
1122022년 3월 29일 14시 05분미야기현 해역M 4.22
1132022년 3월 30일 01시 00분M 3.91
1142022년 3월 30일 04시 51분후쿠시마현 해역M 3.7
1152022년 3월 30일 21시 31분M 3.9
1162022년 4월 1일 02시 54분M 3.7
1172022년 4월 2일 07시 36분미야기현 해역M 3.92
1182022년 4월 2일 18시 33분후쿠시마현 해역M 4.01
1192022년 4월 3일 05시 16분미야기현 해역M 4.32
1202022년 4월 3일 06시 27분후쿠시마현 해역M 3.51
1212022년 4월 3일 09시 31분M 4.0
1222022년 4월 3일 14시 15분M 3.9
1232022년 4월 3일 14시 38분M 3.9
1242022년 4월 4일 19시 29분M 5.44강진
1252022년 4월 5일 06시 33분M 3.91
1262022년 4월 6일 00시 03분M 5.24강진
1272022년 4월 6일 15시 18분미야기현 해역M 4.22
1282022년 4월 10일 17시 30분후쿠시마현 해역M 4.83
1292022년 4월 12일 10시 10분미야기현 해역M 3.71
1302022년 4월 15일 01시 24분후쿠시마현 해역M 4.0
1312022년 4월 15일 03시 25분M 4.33
1322022년 4월 15일 11시 27분M 3.61
1332022년 4월 17일 17시 20분M 3.8
1342022년 4월 17일 18시 08분M 3.2
1352022년 4월 18일 04시 50분M 4.12
1362022년 4월 18일 09시 55분M 3.81
출처: 일본 기상청

5. 여파[편집]


파일:20220316후쿠시마지진 JR동일본 수도권 운전중지 현황.jpg
3월 17일 0시 50분 기준 JR 동일본 관동 에리어 운휴상황
17일 0시 기준, JR 동일본야마노테선, 도호쿠 신칸센, 오우 본선을 포함한 신칸센 및 간토&도호쿠 대부분의 노선이 운행을 보류 중이다.

JR 도카이는 현재 도카이도 신칸센의 일부열차 운행을 중지하고 있다.

센다이시 교통국간토의 여러 지하철, 철도사업자(사철)도 운행을 중지하고 있다. 도쿄도 및 미야기현에 정전이 일어나면서 전기가 끊긴 것으로 추정된다.

도호쿠 신칸센야마가타 신칸센은 지진의 영향으로 전면 운행 중단하였으며 도카이도 신칸센도 긴급 정지하였다.

도호쿠 신칸센의 H5계 전동차, E6계 전동차. 16량분 (야마비코 223호)가 후쿠시마역시로이시자오역 사이에서 도호쿠 신칸센 탈선 사고가 발생하였다. #1마이니치신문 열차는 17량 중에 16량이 탈선하였으며 이는 첫번째 지진후 긴급정차가 이미 끝난 상태에서 두번째 지진에 의해 정차상태에서 탈선한 것으로 일본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보고 있다.

또한 JR히가시니혼은 도호쿠 신칸센의 토목 구조물(교량, 노반 등) 중 20여개소에서 큰 손상을 발견하였다고 밝혔다.[16]
도호쿠 신칸센은 이번 지진의 여파로 중단되다가 4월 20일에 전선 운행을 재개 할 예정이다.[17]

또한 조반자동차도와 각종 고속도로 구간이 안전점검을 위해서 전면 통제되었다.

일본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트위터는 지진 동안 심각한 랙이 걸렸다.

센다이 시에서는 쓰나미 주의보가 발령되자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하였다.
こちらは仙台市です。
宮城県に03月16日23時39分気象庁より「津波注意報」が発表されました。
避難を指示します。
海岸線や河口から直ちに避難してください。
津波は繰り返し来ますので、テレビやラジオ等の情報に注意してください。
この情報は仙台市全域に配信しています。
(仙台市)
여기는 센다이 시입니다.
미야기현에 03월 16일 23시 39분 기상청에서 「쓰나미 주의보」가 발표되었습니다.
대피를 지시합니다.
해안선과 하구에서 즉시 대피하십시오.
쓰나미는 반복해서 오므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등의 정보에 주의해 주세요.
이 정보는 센다이 시 전역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센다이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5호기 터빈에서 화재 경보가 울렸으며, 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 1, 3호기에서는 핵연료 냉각펌프가 정지하였다고 한다.

17일 오전 5시 간토 기준, 긴급 방송이 계속 되고 있고 어느 정도 교통편들도 복구가 되었다. 정전도 상당수 복구되었다.

센다이시에 있는 다테 마사무네 기마상이 동일본 대지진 때는 버틸 정도로 튼튼했으나, 이번 지진으로 오른쪽으로 휘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6.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22년 지진
[[틀:지진/2021년|

2021
]]
>
2022
[[틀:지진/2023년|
>
2023
]]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01. 08.M 6.9중국 간쑤성 지진
01. 17.M 5.3아프가니스탄 지진 (1월)
01. 22.M 6.7일본 휴가나다 지진
5+
02. 16.M 6.3과테말라 지진
02. 25.M 6.5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
02. 04.
~
05. 04.
~M 4.8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3월)[1]
4
03. 16.M 6.1후쿠시마 지진
5-
M 7.4
6+
03. 23.M 6.7대만 화롄 해역 지진 (3월)
03. 31.M 7.0뉴칼레도니아 지진
M 7.2
04. 01.M 6.5
04. 22.M 5.8보스니아 지진
05. 09.M 6.6대만 화롄 해역 지진 (5월)
05. 12.M 5.6페루 리마 지진
05. 22.M 6.0이바라키 지진 (5월)
5-
05. 26.M 7.2페루 푸노 지진
06. 01.M 6.1쓰촨성 야안시 지진
06. 08.M 6.7브라질 지진
M 5.2러시아 이르쿠츠크 지진
06. 10.
~
06. 14.
~M 6.0쓰촨성 군발지진[2]
05. 14.
~
08. 29.
~M 5.5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6월)[3]
6-
06. 21.M 6.2아프가니스탄 지진 (6월)
06. 26.M 4.9구마모토 지진
5-
07. 02.M 6.1이란 남부 지진
M 5.7
M 6.2
07. 24.M 5.7
M 5.8
07. 27.M 7.3필리핀 루손 섬 지진
08. 11.M 5.2홋카이도 카미카와 지방 지진
5-
M 5.4
5+
09. 05.M 6.8쓰촨성 서남부 지진
09. 11.M 7.7파푸아뉴기니 지진
09. 17.M 6.5대만 타이둥 지진
09. 18.M 7.3
09. 19.M 7.7멕시코 카찬 데 에체베리아 지진
10. 25.M 6.4필리핀 아브라 지진
10. 29.M 3.5괴산 지진
M 4.1
11. 08.M 5.7네팔 지진
11. 09.M 5.0이바라키 지진 (11월)
5+
11. 21.M 5.7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지진
11. 22.M 7.0솔로몬 제도 지진
11. 23.M 6.1튀르키예 뒤즈제 지진
09. 12.
~
12. 29.
~M 4.4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11월)[4]
4
12. 20.M 6.4캘리포니아 지진




6.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7:47:02에 나무위키 2022년 3월 후쿠시마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2]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치바현[3] 계측진도 4.7[4] 계측진도 6.4[5] 이시노마키 시 30cm, 센다이 시 20cm[6] 소마 시 20cm[7] 미야기현 2명, 후쿠시마현 1명[8] 긴급지진속보 송출음만 총 4번이나 울렸으며, 본진의 경우 긴급지진속보 발표 범위가 5번 갱신되어 후쿠시마와 미야기에서의 지진이 어느새 일본 동부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2007년 10월 1일 긴급지진속보 시행 이래 최초로, 도호쿠 대지진에서도 이런 일은 없었다.(하지만 도호쿠 대지진 때는 긴급지진속보를 한 지진에 한 번만 발표되었던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9] 2차 지진 때는 NHK 스튜디오도 심하게 흔들려서 침착하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훈련된 아나운서도 조금 목소리가 격양된 모습을 보인다.[10] 애초에 진짜 동일본 대지진의 여진의 특성은 산리쿠 먼바다 일본 해구 판 경계에서 깊이가 비교적 얕게 나는 지진이다. 이번 지진과 같은 지진들은 예전부터 나던 지진이었고 판 내부의 지진이다. 동일본 대지진이 원인을 제공하였을 수는 있지만 직접적인 여진은 아니다.[11] 2020년 12월 이즈 제도에서 약 14초 간격으로 전진과 본진이 일어난 적이 있다.[12] 현지 시각[13] # 여진 관측 영상[14] 공교롭게도 이 지진이 일어나고 몇 초 후 미야코지마에서 규모 4.7의 지진이 연발해서 터졌다.[15] 여진 관측 영상[16] 일본 TBS 뉴스, 2022년 3월 18일[17] 요미우리 신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