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역(부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광주1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공항역(광주) 문서
공항역(광주)번 문단을
공항역(광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空港驛 /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Station
공항역
파일:BGL_logo.svg
사상 방면
서부산유통지구
← 0.9 ㎞
부산김해경전철
(4)

가야대 방면
덕 두
1.3 ㎞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Gimhae Int'l Airport
한자
空港
간체자
机场
가나
空港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65 (대저2동)
운영 기관
부산김해경전철
파일:bglrt_logo.png
개업일
부산김해경전철
2011년 9월 16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8. 둘러보기

파일:attachment/Gimhaeintairst.jpg
공항역 건물


1. 개요[편집]


부산김해경전철 4번.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65 (대저2동)[1] 소재.

폴사인의 상징은 비행기의 창문. 그리고 부산김해경전철의 역 중 유일하게 대합실이 지상에 붙어있다.[2]


2. 역 정보[편집]


부산광역시의 관문 김해국제공항으로 연결되는 역이다. 이 역이 있음으로써 부산김해경전철은 단순히 김해와 부산을 잇는 광역철도의 성격뿐만 아니라 공항철도의 성격도 띄게 되었다. 실제로 이 역에서 캐리어를 끄는 내외국인 관광객비행 승무원들이 많이 타고 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공항을 거치기 위해 선형을 비틀어 이 역이 생기면서 부산김해경전철은 김해와 부산을 잇는 최단루트로 가지 못하고 S자 형태로 드리프트를 하게 되었다. 대저 방향 R=150에 사상 방향 R=170. 그래도 서부산과 김해시에서 공항으로 빠르게 이어주게 되어 조금 둘러간다 한들 결코 나쁜 선택지는 아니며, 좀 더 빨리 부산으로 가고 싶다면 대저역에서 환승저항 정도만 감당하고 부산 3호선을 타면 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도 별로 없다. 반대방향인 사상 방향으로 가면 더 가깝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은 김해국제공항 국내선 청사와 국제선 청사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김포공항역 Mk.2 그러나 1번 출구가 국내선청사 방향으로 뚫려있어서 국제선청사를 가려면 캐노피를 따라 약간의 이동이 필요하지만 김해공항 자체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출국장까지 도달하기까지 그렇게 멀게 느껴지지는 않는 편이다. 안 그래도 중요한 부산김해경전철공항철도 기능까지 부여하면서 극한까지 끌어올린 역.

역 안에 이마트24 편의점 앞 개찰구 옆에는 자신만의 포토 교통카드(캐시비)를 만들 수 있는 자판기가 있다.

파일:PYH2012111602310005100_P2_59_20121116112411.jpg

역사의 개찰구 밖에 GS25가 입점했다가 2012년 하반기 쯤 철수한 뒤 뜬금없이 신한은행이 들어오기도 했다. 청사 내 점포 운영권 경쟁에서 하나은행에 밀리는 바람에 대신 여기로 들어온 것. 해당 지점은 출장소로서 공항 내 타 환전소 등과 다르게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영업하면서도 환전 수수료는 공항 특유의 막장환율을 자랑했다. 2017년 9월 공항 내 은행 운영 사업자로 재선정되어 다시 청사 내로 이전하여 영업 중이었다가 2022년 11월에 폐업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공항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
파일:BGL_logo.svg
비고
2014년
5,772명

2015년
7,196명

2016년
8,917명

2017년
10,374명

2018년
10,928명

2019년
11,421명

2020년
6,997명

2021년
9,147명

출처
부산광역시
교통조사 분석용역
[3]
[1] 대저2동 2353-1[2] 나머지 역들은 전부 고가이며, 대합실도 2층이고 1층으로는 출구와 기둥만 있다. [3] 부산김해경전철은 자체적으로 승하차 집계를 공개하지 않는다.


  • 김해국제공항 수요가 매년 급증함과 더불어 김해경전철의 인지도가 높아짐[4]에 따라 승객 수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그래서 환승역인 사상역대저역을 제외한 김해경전철 승객 수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역 다 합쳐 4만 명, 김포공항역서울 5호선, 서울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이렇게 총 세 노선 다 합쳐[5] 다 합쳐 5만 명 이상인 점을 보면 경상도의 간판 공항인 김해국제공항의 공항역이 1만 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건 공항 이용객 수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수요이긴 하다.[6] 그래도 2량 경전철 치고는 꽤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으며[7][8], 앞서 설명했듯 김해국제공항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에는 이용객이 굉장히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9]
  • 국내선, 국제선 터미널과의 접근성이 좋고, 대저역, 사상역에서의 환승저항만 감안한다면 부산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정시성이 보장되어 많이 선호된다.
  •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해외여행객이 급감함에 따라, 공항 이용객이 줄어 승하차량도 대폭 감소했으나, 2021년에 국내여행 붐이 불어 김해-제주를 위시한 국내선 이용객이 늘어났고, 2022년부터는 과거의 수요를 무리없이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파일:공항역 부산1.jpg
부산김해경전철 승강장
파일:공항역.png
역 안내도

서부산유통지구




덕두



6. 요금[편집]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BG
사 상

공 항

김해대학


7. 연계 교통[편집]


  • 공항청사 층 안내
    • 국제선/국내선 도착: 각 청사 1층
    • 국제선/국내선 출발: 각 청사 2층

  • 국제선 청사(정류장 번호: 12-???)[2층]
  • 국내선(정류장 번호: 12-???)[2층]

  • 국제선청사(정류장 번호: 12-???)[1층]
  • 국내선(정류장 번호: 12-???)[1층]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1층]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3:38:50에 나무위키 공항역(부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4] 부산시에서 김해공항 갈때에는 김해경전철을 이용할 것을 추천하며 대대적으로 광고한 바 있다. 특히 하단과 구포에서 호객행위를 하는 택시들이 줄어듦으로서 수요가 전부 경전철로 옮겨갔다.[5] 김포 골드라인는 제외[6] 물론 인천공항과는 규모나 이용객수에서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단순 비교로는 무리긴 하다. 거기에 김포공항은 서울에 위치해 주변 역세권으로 인한 수요도 있지만, 김해는 그런거 없다(...) 다만 국제선 기준으로는 김해국제공항이 노선 수도 훨씬 많을 뿐더러 김포보다 이용객이 더 많다.[7] 같은 시기에 개통한 부산 4호선은 부산 시내를 지나는데도 일평균 1만명을 넘기는 역이 없다.[8] 다만, 어디까지나 지방 2량 경전철 기준. 수도권 경전철인 인천2호선, 김포도시철도 등에 비하면 많은 수요는 아니다. [9] 다만 이후 가덕도신공항이 개항하면 자연스레 수요가 줄것이다.[2층] A B 출발층[1층] A B C 도착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