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미널 스페이스(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간적인 전환 상태'를 의미하는 학술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리미널 스페이스 문서
리미널 스페이스번 문단을
리미널 스페이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밈으로서의 리미널 스페이스를 모티브로 한 괴담에 대한 내용은 The Backrooms 문서
The Backrooms번 문단을
The Backrooms#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대중 매체에서 리미널 스페이스
2.1. 의도한 사례
2.2. 의도하지 않은 사례
3. 현실에서의 예시
3.1. 비판
4. 기타




1. 개요[편집]



밈으로서의 리미널 스페이스를 설명한 영상(영어)[1]

2010년대 전후 영어권 인터넷 공간에서 건축, 예술 분야에서 쓰이는 학술적 개념인 리미널 스페이스에서 차용된 개념으로, "본래라면 있어야 할 것이 없어 관찰자가 경험한 공간과 다른 괴리감, 친숙한 공간 같지만 알 수 없는 위화감과 두려움을 자아내는 공간"을 이르는 이다.

예를 들면 아무도 없는 날 밤 쇼핑몰이나 수영장 등을 보면 익숙한 장소인데도 불구하고 왠지 불안한 느낌이 드는 '경계에 위치한 장소' 등을 가리킨다. 또한 평상시와 다르게 버려지거나, 혹은 비어져 있어 사람의 왕래가 전혀 없는 학교, 회사, 마트, 호텔, 지하철, 식당, PC방, 휴게실, 놀이터 등의 넓은 공공장소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익숙한 공간에 아무도 없을 때 느낄 수 있는 어긋남, 위화감을 극대화한 개념이다.

한국어권에서는 트위터디시인사이드포스트락 마이너 갤러리 등에서 간헐적으로 언급되다가, 2021년 5월 22일 '공간주의'라는 웹진에서 리미널스페이스론이라는 칼럼으로 리미널 스페이스를 주제로 다루면서 202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퍼져나갔고, 백룸 관련 컨텐츠들이 수입되며 같이 인지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2. 대중 매체에서 리미널 스페이스[편집]


밈으로서의 리미널 스페이스에 대한 공포감은 비디오 게임 등 3차원으로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도 종종 드러난다. 미궁 형식의 1인칭 생존 호러 게임 등에서 나오는 공간처럼 경험해본적 없거나 익숙하지 않은 공간들은 리미널 스페이스에 부합하지 않는다. 제작자가 호러를 위한 연출을 준비한 공간보다는, 후술할 Garry's Mod의 맵과 같이 매우 일상적이고 평범하게 설계되었으며 어떠한 공포적 장치도 없는 공간에 장기간 머물 때 현실과의 미묘한 괴리감을 느끼는 점이 리미널 스페이스의 그것과 유사하다. 겉으로 익숙한 장소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공간에 있다는 점이 섬뜩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2020년부터 이러한 으로써의 리미널 스페이스가 영미권 인터넷 등지에서 유행하기 시작했고, 관련된 콘텐츠도 우후죽순으로 생기기 시작했다.

서브컬처에서는 이계화 클리셰 중 복제된 세계 형식이 가미된 작품들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고전 장르인 하우스 호러에서도 리미널 스페이스와 겹치는 경우가 있는데 대놓고 귀신이나 악령이 나오는 것이 아닌 은은한 공포를 주는 방식의 작품들이다.

음침하고 싸늘한 분위기라는 점에서 폐허 덕후나 흉가 체험의 심리와도 유사한데 차이점이라면 버려진 느낌의 폐건물이나 흉가와 달리 리미널 스페이스는 인공적으로 관리되어 있는 도심이나 근교에 위치했으나 사람만 없는 장소라는 것에서 공포를 느끼는 것이다.

2.1. 의도한 사례[편집]


서양 웹에서 인기를 얻으며 일종의 밈이 됐으며 유튜브에 수많은 영상들이 올라와 있다. 2021년 이후 리미널 스페이스 붐을 이끈 장본인.

대체로 '꿈'을 주제로 한 에스테틱 장르이다. 마치 꿈처럼 비현실적인 공간이 특징으로, 리미널 스페이스와 특유의 기이함과 공허함, 현실이 아닌 듯 한 분위기가 공통된 특징이지만, 드림코어는 완전한 비현실성까지 포함한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리미널 스페이스와 같은 사진을 넘어, 인조적인 문자나 거대한 눈이 박힌 인간 등 섬뜩하고 비현실적인 요소들을 적극 차용한다. 해외권에서는 상당히 유명한 장르이다.

  • 키사라기역: 신하마마츠 방면으로 가는 열차에서 졸다가, 혹은 어쩌다 내리게 되면 진입하는 평범해보이는 시골 역이나, 어째서인지 이곳에 진입하면 핸드폰은 물론 시간 축마저 뒤틀리게 된다는 도시전설이다. 겉으로 볼 때에는 일반 역과 다를 것이 없지만, 서술자 이외에 사람이 없거나 극소수의 인원만이 존재하면 알 수 없는 역에 자신 혼자 밖에 없다는 공포감을 조성하게 된다.

어둑어둑한 해질녘을 배경으로 하여 무언가 쓸쓸한 느낌과 더불어 사람이 붐벼야 할 놀이공원에 짱구 일가와 악역들을 제외한 인물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괴리감을 조성해 기괴한 분위기 및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아무도 없는 이케아 매장. 심지어 무한히 넓은 다른 차원의 공간에 홀로 남겨졌고, 누군가 존재한다는 설정은 The Backrooms와 비슷하다.[2]

이쪽은 일방적이긴 하지만 플레이어에게 말을 거는 상대가 계속 있다보니 공포감보다는 착시 테마파크 같은 느낌이 더 강하다.

한 회사의 직원인 스탠리가 회사에 자신을 제외한 사람들이 사라졌음을 알고 그들을 찾으면서 겪게되는 진실을 다룬 게임이다. 게임에서 회사와 그 외 모든 공간을 뒤져봐도 한 사람도 나오지 않아[3], 넓은 공간에서 혼자라는 인식을 쉽게 불러 일으킨다. 게임내 설정에서 나레이션이나 소리자체를 꺼버리면 이런 느낌이 더 강해진다. 제작자들도 이점을 인지하고있기 때문에 울트라 디럭스에서는 대놓고 이 문서에도 있는 호텔 체크인 로비 사진을 집어넣거나[4], 개발사 공식 트위터계정에 백룸드립을 치는등 적극적으로 써먹었다.

  • Wallmart 괴담

비상 신호 스캐너로 부를 수 있는 유기된 화물선 컨텐츠는 보안 시스템이 남아있는 것, 외계 생명체가 남아있는 것, 그 어떤 것도 아무것도 없는 것들로 나뉘어져 있다. 그 중 진짜 아무것도 없는 유기된 화물선이 보안 시스템과 외계 생명체가 남아있는 것보다 묘하게 더 무섭다. 그리고 버려진 우주정거장도 조명이 다 꺼져있고, 파란 불빛은 빨간색으로 변해있고, 원래라면 상인들도 있고 NPC들도 활발하게 돌아다녀야 하는데 그 누구도 없고 우주정거장에 들어오는 함선도 아무도 없어서 묘하게 엄청 무섭게 느껴진다.

2.2. 의도하지 않은 사례[편집]


공포심을 불러일으키는 현실 사진에다 공포 게임 OST를 넣어[5] 리미널 스페이스 밈이 유행하면서 아예 대놓고 공포스러운 배경음악을 깔아서 그냥 무섭게 만든 주객전도 영상도 많이 양산되었다.

소스 엔진 문서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게리 모드가 소스엔진을 사용하는 게임 중에서도 리미널 스페이스 현상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게임으로 유명하다. 참고 영상(유튜브)[6] 가장 유명한 것으로 Construct 맵의 지하가 유명하며 rp_downtown이란 맵이 귀신이 나온다는 괴담으로 알려지면서 크게 유명해졌다. 관련 모드도 많이 나왔으며 유튜브에 영상도 많은 편이다. 2022년엔 nextbot을 소환해 무서운 맵에서 추격전을 벌이는 용도로 다시 크게 유명해졌다.
자신 마음대로 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 게임 특성상 리미널 스페이스라고 구분짓기는 뭐하지만, 과거 버전을 들여다 보면 마인크래프트 그 특유의 음악과 자욱한 안개, 쨍한 색감, 지금보다 더욱 거친 그래픽,[7] 그리고 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플레이어 혼자 넓은 맵을 외롭게 탐험한다는 특성 때문에 괴리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지금에야 주민 마을이나 철골렘, 늑대, 떠돌이 상인 등 플레이어와 공생하는 친화적 몹들과 다양한 인공 구조물 덕에 싱글 플레이를 해도 어느 정도 외로움을 덜 수 있지만, 과거에는 이런 것들이 하나도 없었다. 동굴을 탐험하다 아주 가끔씩 나오는 던전이 다일 정도로 인공 구조물도 극히 드물었다. 말 그대로 크나큰 월드에 플레이어 홀로 외롭게 남아있다는 느낌은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강했다. 이러다보니 등장한 괴담이 그 유명한 히로빈. 현실과 흡사한 대도시 프로젝트라면 더욱 그러할 수도 있다.
닌텐도 64로 나왔으며 마리오 시리즈 특유의 아기자기함과 알 수 없는 공허함과 음산한 분위기가 맞물려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공간감을 자아내어 드림 코어로도 유명하다. 후술할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또한 특유의 그래픽과 분위기로 이 방면에서 유명하다.
이 중 숲의 신전이 리미널 스페이스가 유명해지며 덩달아 떠오르게 되었는데, 닌텐도 64 시절 특유의 저화질 폴리곤, 공포감을 불러 일으킬만한 요소가 전무함에도 공허하고 답답한 구조의 신전과 저택을 연상시키게 하는 익숙한 구조물, 평화로움에도 어딘가 오싹한 기분을 들게 하는 BGM이 어우러져 리미널 스페이스가 유명해지고 플레이 당시 같은 기분을 느꼈다는 평가가 많다.
특정 미션의 총격전을 위해 쓰였던 장소들이 대표적인데, 이 중 일부 공간은 이후 다시 방문 가능하며, NPC가 하나도 없는[8] 빈 공간에서 뭔가 불안한 적막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곳이 GTA 4의 리버토니언 박물관. 애당초 이러한 공간들이 전투를 상정하고 만들어져서 그런지 인적이 없으면 괴리감과 위화감이 상당하다. 이후 후속작인 GTA 5에서는 게임의 배경을 여름으로 정해 일조량을 증가시키고 NPC를 다수 배치하거나 실내 미션을 최대한 배제하여 이러한 현상을 상대적으로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아무도 없는 연구시설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수상한 목소리의 지시대로 실험실들을 헤쳐나가게 되며 배경음악조차 없다시피해서[9] 잠잠하고 곳곳에 생존자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남아있어서 공포게임이 아님에도 공포를 느꼈다는 사람들이 많았다. 다만 후속작에서는 새로운 캐릭터 휘틀리의 추가, 영화같은 스토리 전개 등으로 이런 점이 많이 사라졌다.


3. 현실에서의 예시[편집]


  • 파일:백룸 레벨 188.jpg
영국Holiday Inn London Heathrow T4라는 일반 호텔의 체크인 로비인데 런던 히드로 국제공항과 가까운 위치에 있다. 서양에서 리미널 스페이스의 예시로 자주 나온다. 원 출처는 한 트위터 유저가 최초로 올린 사진[10]이며, 내용은 리미널 스페이스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원래는 저 곳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두어 장식을 하거나, 이쁘고 형형색색한 조형물을 두어 치장을 하거나, 행사 장소로 활용되는데 저 사진을 촬영할 당시는 공사중이었다는듯... 평상시 모습(이미지)[11]. The Backrooms(위키)에서는 레벨 188로 분류된다. 여담으로 이곳에 숙박한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중앙의 풀이 깔린 공간은 벽과 난간으로 막혀 있어 들어갈 수 없다고 한다.

  • 파일:src_11243397.jpg
일본의 나리타 국제공항 내 히가시나리타역이다. 나리타 공항의 관문이었으나 공항철도 이설로 인해 역할이 사라져 인적이 드물어졌다. The Backrooms 괴담이 유행하기 전부터 일본의 5ch, 트위터 등지에서 해당 역을 주제로 한 괴담, 크리피파스타가 여럿 만들어진 바가 있다. 다만 이 역에는 여전히 열차가 운행은 하고 있는데, 공항 메인 관문이 아니라서 그렇지 여러 이유로 최소한의 수요는 있다보니 방향별로 40분에 1번은 열차가 있고 이런 빈도는 최소한 하루 1~2회 열차 있는 시골 비경역에 비하면 훨씬 나은 사정이다. 분위기가 으스스한 역치고는 열차 운행이 오히려 활발한 역에 가깝다. 영상


3.1. 비판[편집]


The Backrooms와 더불어 리미널 스페이스의 유행이 일자 저연령대의 대거 유입과 더불어 리미널 스페이스에 부합하지 않은 사진도 리미널이라고 억지 주장을 하거나 조악한 콘텐츠를 양산하는 뇌절이 성행하고 있다. 때문에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비꼬려는 목적으로 리미널(liminal)과 발음이 비슷한 한국어 비속어인 니미럴을 활용하여 글에 니미럴 스페이스라는 제목을 붙이기도 한다.

때문에 초창기엔 여러 커뮤니티에서 호평을 받았지만 상술한 잼민이들의 뇌절로 인해 이제는 비추폭탄을 받기 마련이다.

4. 기타[편집]



  • 리미널 스페이스를 활용한 심리적 공포 게임도 나왔다.Anemoiapolis: Chapter 1[12]

  • 리미널 스페이스를 활용한 심리적 공포 게임이 추가로 나왔는데 아직 데모 버전만 있다.Dreamcore

  • 본 문서 내 리미널 스페이스 사진들 외에도 리미널 스페이스로 꼽히는 대표적인 사진이 여럿 존재하는데, 그 중 영업 마감 전 잠실역롯데월드몰 입구[13](이미지)의 모습[14]이 해외 리미널 스페이스 팬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끌기도 하였다. 원본, 번역. 이것 말고도 선술한 레딧의 리미널 스페이스 서브레딧에 한국 내 리미널 스페이스 사진들이 꽤 올라온다. 링크,[15] 링크 2, 영상. 인구에 비해 인프라가 지나치게 발달했으나 저녁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조용해지는 경우가 많아 더욱 그렇게 느끼는 듯하다. 한국의 야경이 현실판 사이버펑크로 여겨지는 것과 같은 원리인 셈이다.

  • 선술했듯이 리미널(liminal)이 니미럴과 비슷하다보니 오타를 내거나, 혹은 의도적으로 비판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1] 본 영상에서는 리미널 스페이스로부터 오는 공포를 빈 공간으로부터 오는 공허, 기괴한 상태, 출구의 부재, 원래 목적의 상실, 목적이 없는 공간으로부터 오는 괴리감, 뒤틀린 현실의 공포감, 몽환감, 향수로부터 느껴지는 이질감의 8개 항목으로 설명하고 있다.[2] 다만 이쪽은 리미널 스페이스가 밈이 되기 한참 전부터 있었다.[3] 사실 잘 찾아보면 다른 사람이 한명 돌아다니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울트라 디럭스에서는 조건 충족시 한명이 더 나온다[4] 그 호텔 사진을 게시한 트위터 유저가 스탠리 패러블 울트라 디럭스의 아트 디렉터라서 이스터에그 삼아서 넣은 것으로 보인다.[5] 혹은 어디선가 들어본 적 있는 것 같은 몽롱한 분위기의 BGM에 노이즈 등의 특수효과를 얹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BGM들은 베이퍼웨이브, dreamcore 등으로 여러가지 명칭이 혼재하므로 유튜브에 검색하면 감상 가능하다. 'strangely familiar places with unnerving music' 라고 검색해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6] 그 이유로는 샌드박스 특성상 RP 장르가 유행인데, 이를 기반으로 만든 도시 맵들이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혼자 접속하면 NPC는 아예 없거나 거의 없이 텅 빈 맵에 소스엔진 애드온으로 제공하는 배경음과의 괴리감이 생긴다.[7] 텍스처도 더 투박했으며 부드러운 조명도 없었고, 파티클 효과도 몇 없었으며 밝기도 현재 밝기 설정의 최저 수준일 정도로 훨씬 어두웠다.[8]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식당이나 병원 같은 곳을 제외하면 대부분 실내라 찾아가기 힘들고, 또 대규모 미션의 무대 외에는 용도가 없으며, NPC 배치 자체가 게임의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굳이 일반인 NPC를 다시 배치하지 않은 것이다.[9] 있기는 하지만 그마저도 몽환적인 일그러지는(?)듯한 소리나 왜곡되는 소리다.[10] 이후 이 트위터 유저가 스탠리 패러블 울트라 디럭스의 아트디렉터를 담당했을때, 게임내에 저 사진을 이스터에그로 숨겨놓은 뒤 게임내에는 보이지 않는 텍스쳐의 빈공간에 이거 내가 찍은 사진이라는 내용과함께 트윗주소를 써놓았다.[11] 평상시 모습을 보자면 무한한 호텔은 커녕 일반 호텔이나 백화점이 연상된다.[12] 2023년 3월 4일에 출시되었다.[13] 1990년대만 해도 이 구간은 꽤 화려했었고 상점, 식당들이 제법 위치해서(롯데리아도 당연히 있었다) 많이 붐비던 곳이다. 2020년대 기준으로도 유동인구는 많은 곳이지만, 롯데타워 건설쯤 해서 트레비 분수 짝퉁 정도를 제외한 역사 상당부분이 리모델링되면서 미니멀한 스타일이 되었다. 이 미니멀하게 리모델링된 모습이 리미널 스페이스의 조건과 절묘하게 맞물린 것.[14] 캐릭터는 영국 출신 아티스트 존 버거맨의 작품이다. 기사. 작가 본인리미널 스페이스 서브레딧에 직접 등장했다.[15] 다만 북한이 리미널 스페이스의 분위기에 더 맞아서 그런지 북한 사진도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84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34:20에 나무위키 리미널 스페이스(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