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덤프버전 :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의회의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47석, 도지사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
[[민생당|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

1석
]]
[[무소속|무소속

2석
]]
재적

59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회
慶尙北道議會 |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파일:경북도의회.jpg
구성단원제, 다당제
개회1952년 5월 20일 (72주년)
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배한철 (경산시 2선거구)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영서 (문경시 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용선 (포항시 5선거구)
사무처장김종수
의원정원 60석 중 재적 60인 (9대 의회)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1]
최근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차기 선거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6년)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의회 구성
2.1. 의회 분포 및 현황
2.2. 의회 기구
2.3. 의석 변동
2.3.1. 제12대 경북도의회
2.4. 의장
2.5. 부의장
3. 역대 선거 결과
4. 기타




1. 개요[편집]


경상북도지방의회.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에 있다.

현판이 여민관(與民館)인데, 청와대의 집무실인 여민관과 한자까지 같다.


2. 의회 구성[편집]



2.1. 의회 분포 및 현황[편집]


  • 제12대 전반기 경상북도의회 상임위원장
    • 의회운영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칠구 (포항시 제3선거구)
    • 기획경제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춘우 (영천시 제1선거구)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태림 (의성군 제1선거구)
    • 문화환경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대일 (안동시 제3선거구)
    • 농수산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남영숙 (상주시 제1선거구)
    • 건설소방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승직 (경주시 제4선거구)
    • 교육위원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승오 (영천시 제2선거구)



2.2. 의회 기구[편집]


  • 도의회 의장
    • 도의회 부의장(2인)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 문화환경위원회
      • 농수산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
      • 지방분권추진특별위원회
      • 지방소멸대책특별위원회
      • 독도수호특별위원회
      • 신공항이전지원특별위원회

  • 도의회 사무처장[2]
    • 총무담당관
      • 총무팀
      • 인사팀
      • 경리팀
    • 의사담당관
      • 의사팀
      • 의안팀
      • 기록팀
    • 의정지원담당관
      • 역량개발팀
      • 공보팀
    • 입법정책담당관
      • 입법정책팀
      • 법제조사팀
      • 기획경제팀
      • 행정보건복지팀
      • 문화환경팀
      • 농수산팀
      • 건설소방팀
      • 교육팀
    • 의회운영전문위원실
    • 기획경제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행정보건복지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문화환경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농수산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건설소방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교육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예산결산특별전문위원실
      • 행정지원팀
      • 예산분석팀


2.3. 의석 변동[편집]



2.3.1. 제12대 경북도의회[편집]


일시정당별 의석재적
2022년 6월 1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61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56석2석3석
2022년 8월 11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60석
국민의힘 김상조 임기중 사망55석2석3석
2023년 4월 5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61석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국민의힘 김일수 당선
56석2석3석
2023년 4월 30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61석
남진복,황재철
국민의힘 복당
58석2석1석
2023년 7월 1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무소속60석
국민의힘 박창석
대구광역시의회로 소속 변경
57석2석1석
2023년 9월 14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공석59석
무소속 박홍열
의원직 사직
57석2석1석
2023년 10월 12일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공석58석
국민의힘 김원석
당선무효
56석2석2석


2.4.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제2대 의회제3대 의회제4대 의회{{{-2 {{{#FFF

전,후
정재원엄창섭이학돈손경호
제5대 의회{{{-2 {{{#FFF

제5대 의회{{{-2 {{{#FFF

제6대 의회{{{-2 {{{#FFF

제6대 의회{{{-2 {{{#FFF

김수광전동호장성호류인희
제7대 의회{{{-2 {{{#FFF

제7대 의회{{{-2 {{{#FFF

제8대 의회{{{-2 {{{#FFF

제8대 의회{{{-2 {{{#FFF

최원병이철우이상천
제9대 의회{{{-2 {{{#FFF

제9대 의회{{{-2 {{{#FFF

제10대 의회{{{-2 {{{#FFF

제10대 의회{{{-2 {{{#FFF

이상효송필각이시하장대진김응규
제11대 의회{{{-2 {{{#FFF

제11대 의회{{{-2 {{{#FFF

제12대 의회{{{-2 {{{#FFF

장경식고우현배한철


의회대수이름임기선출 당시 정당
1정재원1952년 5월 20일 ~ 1956년 8월 12일
[[무소속|
무소속
]]
21956년 8월 24일 ~ 1958년 2월 25일
엄창섭1958년 2월 26일 ~ 1960년 8월 12일
3이학돈1960년 12월 20일 ~ 1961년 5월 20일[3]
[[무소속|
무소속
]]
4손경호1991년 7월 8일 ~ 1993년 6월 24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3년 6월 25일 ~ 1995년 6월 30일
5김수광1995년 7월 4일 ~ 1997년 1월 13일
전동호1997년 1월 14일 ~ 1998년 6월 30일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장성호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6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류인희2000년 7월 7일 ~ 2002년 6월 30일
7최원병2002년 7월 9일 ~ 2004년 7월 8일
이철우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
8이상천2006년 7월 7일 ~ 2008년 7월 3일
2008년 7월 4일 ~ 2010년 6월 30일
9이상효2010년 7월 6일 ~ 2012년 7월 5일
송필각2012년 7월 6일 ~ 2014년 4월 2일[4]
이시하2014년 4월 2일 ~ 2014년 6월 30일
10장대진2014년 7월 8일 ~ 2016년 7월 7일
김응규2016년 7월 8일 ~ 2018년 3월 15일[5]
11장경식2018년 7월 5일 ~ 2020년 7월 4일
고우현2020년 7월 5일 ~ 2022년 6월 30일
12배한철2022년 7월 4일 ~

2.5. 부의장[편집]





2.6. 선거구[편집]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4. 기타[편집]


  • 2006년 10월, 2010년 8월, 2015년 4월, 2019년 6월에 독도에서 본회의를 진행하였다.

  • 2023년 6월 12일 본회의가 본회의장이 아닌 울릉도 안용복 기념관에서 열렸다.#



[1] 갈전리 1155[2] 의회사무처의 구성원은 지방의원이 아니라 모두 경북도의 공무원으로 총책임자인 사무처장은 지방직 2급 혹은 3급공무원이다. 그러나 3급공무원이 보임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다수가 2급공무원이 맡으므로 2급 공직 자리로 보는 것이 맞다.[3]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의회 해산[4] 6회 지선 칠곡군수 출마를 위한 사퇴[5] 7회 지선 김천시장 출마를 위한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