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건담

덤프버전 :



GF13-011NC Dragon Gundam
ドラゴンガンダム
파일:external/www.gundam-otaku.com/6983597_orig.jpg




1. 개요[편집]


GF13-011NC Dragon Gundam Profile
형식 번호GF13-011NC
기체 명칭드래곤 건담
기체 형식모빌파이터
최초 배치FC 60
설계네오 차이나
제작
소속
건담 파이터사이 사이시
GF13-011NC Dragon Gundam General Characteristics
조종흉부 위치 콕피트, 코어 랜더
전고16.4 m
건조 무게7.4 t
전비 무게17.0 t
동력초소형 핵융합로
장갑건다리움 합금 슈퍼 세라믹 복합제
GF13-011NC Dragon Gundam Equipments
모빌 트레이스 시스템
GF13-011NC Dragon Gundam Armaments
페이롱 플래그 X 14
미사용시 백팩, 좌우측 어깨 수납
드래곤 클로 X 2
양팔 하박 장비
변발도
두부 후면 장비
GF13-011NC Dragon Gundam Mechanical Designer
오오카와라 쿠니오

GF13-011NC Dragon Gundam Picture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F13-011NC_Dragon_Gundam_Front.png
모빌 파이터 설정화

기동무투전 G건담에 등장하는 모빌 파이터로, 소속은 네오 차이나. 탑승 건담 파이터는 최연소 파이터 사이 사이시


2. 설명[편집]


창이나 깃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격투 무장 페이롱 플래그와, 용 모양의 손에서 발사하는 화염, 그리고 칼날 머리카락인 변발도가 특징적인 건담. 디자인의 모티브는 중국 장수로, 흔히 중국갑옷 하면 떠올리는 당나라~송나라까지 중국대륙에서 사용한 찰갑인 명광개를 입은 장수를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Images_%283%29.jpg
페이롱 플래그를 깃발 형태로 사용할 때는 직접 공격보다는 땅에 꽂아 팔괘진을 만들어 적을 현혹시키는데 썼다.

보통은 봉으로 타격하다가 필살의 순간 끝머리의 창부분을 전개해 찌르는 공격을 썼는데, 작중 이 공격이 적중한 상대는 최후반부의 건담 헤븐즈 소드뿐이었다. 명중한 상대를 끔살시켰으니 위력은 확실히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ragonfire.jpg
실제 주력 무장은 늘어나는 양팔의 드래곤 클로와 여기서 발사하는 화염인 드래곤 파이어. 이게 또 미묘한지라 실제로 적에게 타격을 주었던 적은 없다. 이후 건담 W에서 이런 콘셉트를 계승한 셴롱 건담, 알트론 건담이 나온 것을 보아 나름 인기는 있었던 모양.

3화에서 최초 등장하며 첫 등장은 산적단에게 탈취당한 상태.
도몬은 우연히 사이 사이시를 만나 의도치않게(?) 사이 사이시를 도와 드래곤 건담을 탈환하고 건담 파이트를 하게 된다. 시종 대등한 싸움이 펼쳐졌으나 도몬의 샤이닝 건담이 드래곤 건담의 두부를 파괴하기 직전, 드래곤 건담의 변발도가 샤이닝 건담의 두부를 마찬가지로 노리면서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이후 데스아미와의 싸움을 함께 하며 한때 DG 세포에 감염되어서 도몬과 적대하기도 하지만 셔플동맹의 희생으로 DG세포가 소멸하여 돌아온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yusei.jpg
후반부에 오며 딱히 이렇다 할 필살기가 없는 드래곤 건담의 단점을 진 유성호접검(眞 流星胡蝶劍)[1]이라는 필살기를 개발하며 보완한다. 목숨을 걸고 발동하는 소림사 최종오의로써 나비모양의 에너지를 두른 후 그대로 돌격하는 수수한 기술이나 그 위력은 폭렬 갓 핑거를 정면에서 맞붙어 파괴할 정도. 하지만 왼손 갓핑거에 당해서 탈락한다. 이후 전개에서 당연하게도 비중이 줄면서 졸개처리용이 된다.이래서 비중이 중요한 거다

어쨌든 이 시기부터 2대 셔플동맹의 클로버 에이스를 담당하게 된다.

G제네레이션 F에선 맥스터 다음으로 쓸만하다. 공중공격이 가능한 일반공격을 갖춘 맥스터에 비해 아쉽지만 3,4범위의 적에겐 화염방사로 공격이 가능하기도 하고 우주맵에선 화염방사는 못쓰지만 2,3범위의 적을 공격할 무장을 갖추고 있어 유용하다.
슈퍼모드가 되더라도 무장의 변경이 그리 크지 않아 유용하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는 셔플동맹권을 위한 기체인 곁다리들 중 그나마 쓸만한 편이다. 기초 운동성도 제법 괜찮고, 분신도 있고 무장도 괜찮은 편. 그리고 연출도 그나마 제일 나으며, 이동거리도 제법 괜찮다.

여담으로 작품 설정상 건담 파이터들은 대부분 건담 타고서 쓰는 기술들을 맨몸으로 쓰는 것도 가능한 것 같은데[2], 드래곤 건담의 늘어나는 팔과 로즈 건담의 로즈 비트는 대체 맨몸으로 어떻게 재현할 지 알 길이 없다.[3]


3. 모형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드래곤 건담/모형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게임에서의 드래곤 건담[편집]



4.1. 슈퍼로봇대전[편집]



4.1.1. 슈퍼로봇대전 A[편집]


  • 파일:SRW A Dragon Gundam.png 드래곤 건담은 셔플동맹 멤버 중 기동성이 가장 뛰어나다.[4] 땅개유닛이지만 이동력이 7 (슈퍼 모드시 8) 이나 되고, 분신까지 갖고 있어서 생존성도 높다. 여기에 모든 무기가 격투 + P 무기라서 범용성도 뛰어나다.
    • 필살기, 진 유성호접검(3200) 은 사거리가 1 이지만, 갓 건담을 제외하면 셔플동맹 중 최강의 파워를 자랑한다.
    • 하늘을 못 날지만 격투, 드래곤 크로, 진 유성호접검으로 공중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특히 드래곤 크로(1700)는 P 무기 + 무소모인데다, 사거리가 2 ~ 5 라서 주력 무기다.
    • G건담 계열에서 마스터 건담과 갓 건담 다음으로 추천하는 유닛.

[ 드래곤 건담 상세 스펙 펼치기 · 접기 ]
파일:SRW A Empty.png
파일:SRW A Dragon Gundam.png기체명HPEN운동성장갑한계
드래곤 건담S
(8화B[1]
or 13화)
55001801151500320
75003301652750470
지형이동력파츠사이즈특수능력
공- 육A 해A 우A육82M분신파일:SRW A Sw.jpg
무기공격력사거리명중크리잔탄EN기력조건
격투격투 P14001 ~ 2+10+10
2650
격투페이롱 플래그 P15001+15+50
2750
격투드래곤 크로 P17002 ~ 5+10+10
2950
격투드래곤 파이어 P21001+15+1020120
3350
격투데들리 웨이브 P28001 ~ 2+10+2030
3600
격투진 유성호접검 P32001+20+2060120슈퍼 모드
5700
[1] 주인공이 지상에 남을 경우


4.2. 건담 vs 시리즈[편집]




4.2.1. EXTREME VS FULL BOOST[편집]





4.2.2. EXTREME VS MAXI BOOST ON[편집]





4.3.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드래곤 건담/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2:51:09에 나무위키 드래곤 건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만의 무협작가인 고룡의 무협소설인 "유성 호접 검"에서 따왔다. 붙여 읽으면 안되고 따로따로 떼어서 읽어야 한다.[2] 샤이닝 핑거도 본래는 맨손으로 쓰도록 만들어진 기술이며 건담으로 쓰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따로 필요하다. 석파천경권은 작중 최초 등장이 동방선생이 맨몸으로 시전한 거였다.[3] 이건 건담을 건담 파이터가 쓰는 기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쓸 수 있게 제작했다는 쪽이 더 옳을 것이다. 루피를 보면 알겠지만 팔이 늘어나는건 격투가 입장에선 제법 유용하기 때문. 물론 실제로 팔이 늘어나는 것일지 모르지만[4] 풍운재기와 합체한 갓 건담 or 마스터 건담 제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