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열차)

덤프버전 :



ライラック
Lilac / 라일락
파일:Lilac_LEDlogo.jpg
파일:789Lilac.jpg
789계 전동차
열차 정보
운행 지역홋카이도
열차 종류특급열차
기점삿포로역
종점아사히카와역
정차역 수7역
운행개시일1975년 7월 18일[초대]
2017년 3월 14일[2대]
운행종료일2007년 10월 1일[초대]
운영기관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사용 차량789계 전동차 0번대
(삿포로 운전소)
노선 제원
운행거리136.8km
궤간1067mm
전력 공급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120km/h

파일:Kamui-Lilac_linemap.png
실측 지도상 노선도
전구간 측면 주행 영상
1. 개요
2. 역사
3. 차량
4. 정차역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JR 홋카이도의 특급열차로, 하코다테 본선 삿포로역을 출발해 아사히카와역까지 간다. 789계 전동차 0번대로 운행된다. 2017년 개편 이전에는 L특급 슈퍼카무이로 운행하기도 했다. 열차명인 라일락은 기점인 삿포로시의 상징 나무가 라일락인 데서 유래했다.

특급 카무이와 운행 구간과 정차역, 운행 열차종이 같으나 라일락은 0번대 열차를 사용하며 6량 편성이다. 1호차는 그린샤, 2호차는 지정석, 3~6호차는 자유석이나 아사히카와역에서 사로베츠, 타이세츠와 접속하는 편성은 3호차도 지정석이다.

전 구간 운행에 1시간 25분 정도가 소요되며 표정속도는 96.6 km/h이다.

여기에서 좌석 배치도를 볼 수 있다.

일본 국철 시절 쇼가쿠칸에서 발간된 "특급열차"라는 도감에서 맨 앞을 장식하던 열차였다. 이 책의 특성상 재래선 특급들을 지역별로 홋카이도부터 규슈까지 열거했는데 라일락[1]이 가장 북쪽에서 운행하는 열차였기 때문.


2. 역사[편집]


1975년 7월 18일, 삿포로-아사히카와 간 L특급 이시카리[2]로 개업했다. 485계 전동차를 도입하였으나, 혹독한 홋카이도의 겨울을 못 버티는 상황이 발생하여 1979년부터 781계 전동차로 대차하였다.

1980년 10월 1일, 삿포로-치토세공항-히가시무로란-무로란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때 이름이 L특급 라일락으로 바뀌었다.

1985년 3월 14일부터 무로란역에 정차하지 않기 되었다.

1992년 7월 1일, 히가시무로란-삿포로 구간이 L특급 스즈란으로 분리되었다.

2007년 10월 1일 L특급 슈퍼 카무이로 대체되며 폐지되었다.

2017년 3월 14일, 폐지 직전 구간과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라일락으로 부활하였다.


3. 차량[편집]


취소선은 은퇴 차량


4. 정차역[편집]


  • 상하행 각각 14편성 운행한다. 짝수호는 상행(삿포로 방면), 홀수호는 하행(아사히카와 방면)이다.
JR 홋카이도 특급 라일락
노선역번호역명영업 거리
하·본01삿포로
札幌
0.0





A13이와미자와
岩見沢
40.6
A16비바이
美唄
57.4
A20스나가와
砂川
75.9
A21타키카와
滝川
83.5
A24후카가와
深川
106.6
A28아사히카와
旭川
136.8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2:45:31에 나무위키 라일락(열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초대] A B [2대] [1] 구 이시카리[2] 급행 츠가루와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