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주 제2구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선거구
파일:미국 하원 문장.svg
메인주 제2구>
Maine's 2nd congressional district
파일:메인 제2구 (2013년 획정).png
인구657,481명 (2019)
구역
[ 펼치기 · 접기 ]
안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로스톡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백 카운티[1]
[1] 엘비온, 베오그라드, 벤튼, 클린턴, 파옛트, 가드너, 리치필드, 몬머스, 마운트버논, 오클랜드, 랜돌프, 로마, 시드니, 유니티 타운쉽, 비엔나, 웨인, 웨스트 가디너
하원의원
제러드 골든
Jared Golden
중위가구소득$51,502
도농 비율도시27.89%
농촌72.61%
코드ME-02
Cook PVIR+6




1. 개요[편집]


미국 메인주의 연방 하원의원 선거구. 메인주의 중부 지역 및 북부의 캐나다 국경 인접 지역 등을 관할한다.

관할구역은 안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로스톡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백 카운티 일부 지역[1], 옥스퍼드 카운티, 페놉스코트 카운티, 피스카티키스 카운티, 서머셋 카운티, 월도 카운티, 워싱턴 카운티다.

메인주의 전체 면적의 80%를 관할하는(70,770 제곱킬로미터) 방대한 면적의 선거구로 미시시피강 동쪽에서 가장 큰 선거구이기도 하다. 메인 주의 선거제도 개편에 따라 2018년부터 선호투표제 방식으로 선거를 진행한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민주당의 제러드 골든.

2. 특징[편집]


인구657,481명 (2019년 기준)
중위가구소득$51,202
인종 구성백인 94%
기타 인종 2%
아메리카 원주민 1%
히스패닉 1%
흑인 1%
아시아계 1%
출처
지역 주민의 대다수가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등의 특징으로인해,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북동부 지역들 중 공화당 지지세가 어느 정도 있는 곳이다. 특히 메인 2구는 시골 지역이 많은 곳이라 1구보다 공화당 지지세가 조금 더 강하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이 지역구에서는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했다.

연방 하원 의원 선거구들 중 비교적 영향력이 큰 곳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메인주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네브래스카와 더불어 주의 선거인단 일부가 하원 의원 선거구의 결과에 따라 배정되는 곳이기 때문이다.[2] 따라서 이 지역구는 대통령 선거 선거인단 1명을 배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지역구인 것이다. 이는 옆 지역구인 메인 1구와 네브래스카 1구, 2구, 3구도 마찬가지.

3. 역사[편집]



3.1. 역대 국회의원[편집]


의원명소속 정당임기
브루스 폴리퀸
2015년 1월 3일 ~ 2019년 1월 3일
제러드 골든
2019년 1월 3일 ~ 현재


3.2. 역대 선거 결과[편집]



3.2.1. 2022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편집]


메인 제2구
앤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루스툭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벡 카운티 일부
1차 개표 결과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제러드 골든
Jared Golden
153,0741위

48.38%진출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브루스 폴리퀸
Bruce Poliquin
141,2602위

44.65%진출
Ind티파니 본드
Tiffany L. Bond
21,6553위

[[무소속|
무소속
]]
6.84%탈락
Write
in
기타393-
수기투표0.12%
최종 개표 결과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제러드 골든
Jared Golden
165,1361위

53.05%당선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브루스 폴리퀸
Bruce Poliquin
146,1422위

46.95%낙선
최종 유효표311,278

유지
총 투표수316,382

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직 의원인 제러드 골든 의원이 무난하게 경쟁자 없이 단독 경선을 통해 후보직을 확정지었고, 공화당에서는 지역구 전직 의원인 브루스 폴리퀸 전 의원이 리즈 카루소 메인주 서머셋 카운티 카라텅크 선별위원회 위원장을 경선에서 60.1% vs 39.9%로 가볍게 누르고 당의 후보로 선출되면서 메인 2구의 전현직 하원의원 간의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두 후보 간 맞대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2018년 중간선거 당시 첫 맞대결을 펼쳐 민주당의 제러드 골든 후보가 승리해 지역구를 탈환한 바 있다.

2018년 이래로 대선에서는 공화당의 트럼프를 지지하면서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골든을 선택하는 교차투표 성향을 보이고 있는데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도 3%~6% 정도의 격차로 민주당의 제러드 골든 후보가 공화당 브루스 폴리퀸 후보에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격차가 워낙 적은 탓에 대부분의 언론과 선거 예측 업체에서는 이 선거구를 경합구로 분류하면서 관심을 가졌다.

3.2.2.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편집]


메인 제2구 (1)
앤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루스툭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벡 카운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선거인단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도널드 트럼프196,6921위

51.72%확보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조 바이든168,6962위

44.36%없음
파일:자유당(미국) 선거심볼.svg조 요르겐슨14,1523위

3.72%없음
파일:녹색당(미국) 선거심볼.svg하위 호킨스3,5764위
녹색당0.94%없음
로키 데 라 푸엔테5345위
동맹당0.01%없음
총 투표수380,324

유지

3.2.3. 2020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편집]


메인 제2구
앤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루스툭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벡 카운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재러드 골든
Jared Golden
197,9741위

53.04%당선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대일 크래프트
Dale Crafts
175,2282위

46.95%낙선
Write
in
기타333위
수기투표0.01%낙선
총 투표수246,895

유지

3.2.4. 2018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편집]


메인 제2구
앤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루스툭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벡 카운티 일부
1차 개표 결과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브루스 폴리퀸
Bruce Poliquin
134,1841위

46.3%생존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제러드 골든
Jared Golden
132,0132위

45.6%생존
Ind티파니 본드
Tiffany L. Bond
16,5523위

[[무소속|
무소속
]]
5.7%탈락
Ind윌 호어
William R.S. Hoar
6,8754위

[[무소속|
무소속
]]
2.4%탈락
최종 개표 결과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제러드 골든
Jared Golden
142,4401위
50.62%당선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브루스 폴리퀸
Bruce Poliquin
138,9312위
47.94%낙선
최종 유효표281,371표
획득
총 투표수289,624표

3.2.5. 2016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편집]


메인 제2구
앤드로스코긴 카운티, 아루스툭 카운티, 프랭클린 카운티, 핸콕 카운티, 케네벡 카운티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F4527307-6210-4C4F-BF18-51E4D94F8A0E.png브루스 폴리퀸133,320표1위
47.0%당선
파일:1024px-Democratic_Disc.svg.png에밀리 앤 케인인118,568표2위
41.8%낙선
Ind블레인 리처드슨31,337표3위
11.0%낙선
Oth기타248표4위
0.0%낙선
총 투표수283,473표
유지



[1] 엘비온, 베오그라드, 벤튼, 클린턴, 파옛트, 가드너, 리치필드, 몬머스, 마운트버논, 오클랜드, 랜돌프, 로마, 시드니, 유니티 타운쉽, 비엔나, 웨인, 웨스트 가디너[2] 메인주에 배정된 선거인단 4명 중 2명은 주 전체 결과에 따라 배정되고, 나머지 2명은 하원 의원 선거구인 1구와 2구의 결과에 따라 각각 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