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램턴

덤프버전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의 주요 도시
[ 1~10위 ]
순위도시인구면적 (km²)
1토론토온타리오2,794,356631.1
2몬트리올퀘벡주1,762,949364.74
3캘거리앨버타1,306,784820.62
4오타와온타리오1,017,4492,788.2
5에드먼턴앨버타1,010,899765.61
6위니펙매니토바749,607461.78
7미시소거온타리오717,961292.74
8밴쿠버브리티시컬럼비아662,248115.18
9브램턴온타리오656,480265.89
10해밀턴온타리오569,3531,118.31
· {{{-2
주도
>
출처: 2021년 인구조사
틀 바로가기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 11~20위 ]
순위도시인구면적 (km²)
11서리브리티시컬럼비아568,322316.11
12퀘벡시퀘벡주549,459452.30
13핼리팩스노바스코샤439,8195,475.57
14라발퀘벡주438,366246.13
15런던온타리오422,324420.5
16마컴온타리오338,503210.93
17온타리오323,103272.44
18가티노퀘벡주291,041341.84
19새스커툰서스캐처원266,141226.56
20키치너온타리오256,885136.81

출처: 2021년 인구조사
틀 바로가기



브램턴시
City of Brampton
파일:Brampton_Logo.svg.png


국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온타리오
시장
무소속}}} 패트릭 브라운
인구656,480명
면적265.89km²

파일:shutterstock-2084772610-1.webp
브램턴 GO 역 근처의 풍경 출처

1. 개요
2. 역사
3. 상세
4. 교통
5. 여담



1. 개요[편집]


브램턴(Brampton)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도시이다. 토론토 광역권의 일부이며, 토론토의 서북쪽이자 미시소거의 북쪽에 있다. 이웃한 미시소거와 함께 필 지방자치구(Peel Regional Municipality)의 일부다.


2. 역사[편집]


브램턴의 역사는 미시소거와 궤를 같이 한다. 미시소거의 역사 문단에 언급된 내용으로, 19세기 영국인들이 아메리카 원주민 애니쉬나비(Anishinabee) 부족으로부터 미시소거 일대의 땅을 매입할 때 현재 브램턴의 영토도 포함되어 있었다. 농지였던 브램턴을 발전시킨 계기는 1863년 한 영국 이주민이 지은 화훼 종묘장이었다. 종묘장이 성공하며 아예 회사를 하나 차려버린 그는 브램턴 전역에 온실을 지으며 사업을 확장했고, 자연스레 마을이 팽창하기 시작했다.[1] 1867년 브램턴은 미시소거를 비롯한 이웃 마을들과 함께 토론토가 속한 요크 카운티(York County)에서 분리되었고, 새로 생겨난 필 카운티(Peel County)의 일부가 된다.

그렇게 농업 기반을 다져 가며 천천히 성장하던 브램턴은, 1960년대 부동산 기업인 브래멀리(Bramlea Limited)가 주도한 대규모 개발 사업과 함께 가파르게 팽창한다. 브래멀리는 브램턴과 지금의 피어슨 국제공항 주변의 멀톤(Malton)[2]을 따 지은 이름으로, 당시 캐나다 최대의 부동산 개발 기업이었다. 브래멀리의 개발과 함께 규모를 키워 가던 브램턴은 1974년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주변 지역을 흡수하였으며, 종주 도시 토론토의 팽창과 함께 베드타운이자 산업 보조 기지로 성장하며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3. 상세[편집]


발전상 자체가 토론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만큼, 토론토의 강력한 영향 아래에 놓여 있다. 전형적인 스프롤 현상을 보여주는 도시로 일단 명확한 다운타운이 없으며, 도시 전체가 저밀도 주거 지역과 공업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또 토론토로부터 거리가 좀 있다 보니, 군데군데 미개발 지역도 많이 보이는 편. 대부분의 주민들은 토론토로 출퇴근하며, 따라서 출퇴근 시간만 되면 토론토로 향하는 고속도로가 일제히 주차장으로 변한다. 브램턴을 지나는 고속도로는 407번과 410번, 총 2개다.


4. 교통[편집]



파일:토론토로고/화이트.svg 토론토 광역권대중교통
[ 펼치기 · 접기 ]
도시철도파일:TTC-LOGO1.png 토론토 지하철 1호선 2호선 3호선미개통 4호선 5호선미개통 6호선미개통 구 3호선운행종료
파일:Ion_logo.png워털루 · 휴론타리오미개통 · 파일:해밀턴_LRT_로고.png 해밀턴미개통
광역철도파일:690px-GO_Transit_logo.svg.png GO 레이크쇼어 웨스트 밀턴 키치너 배리 리치먼드 힐 스토프빌 레이크쇼어 이스트
파일:Union_Pearson_Express_logo.svg.png UP Express
버스 노선파일:TTC-LOGO1.png 토론토 시내버스 ・ GO 광역버스
버스터미널유니언역 버스 터미널토론토 코치 터미널
공공자전거바이크 쉐어 토론토 (Bike Share Toronto)
페리토론토 아일랜드 페리 (Toronto Island Ferry)
공항토론토 피어슨 (YYZ) ・ 토론토 빌리 비숍 (YTZ) ・ 해밀턴 (YHM)
관련 기업GO비아 레일메트로링스
TTC요크파일:external/www.utm.utoronto.ca/Brampton_Transit%20%281%29.png브램턴파일:external/www.burlingtontransit.ca/logo.png벌링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rham_Region_Transit_logo.png더럼파일:Milton_Transit_logo.png밀턴파일:external/miwayblog.ca/MiWay_LOGO_RGB.jpg미시소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Oakville_Transit.svg.png오크빌

대중교통은 정말 존재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브램턴의 시내버스는 브램턴 교통(Brampton Transit)에서 담당한다. 미시소거와 브램턴 중심부를 관통하는 휴론타리오 가(Hurontario Street)를 다니는 버스들은 그래도 좀 자주 오는 편이지만, 나머지 지역은 그나마 있는 버스마저 30분~1시간에 한 대 올까 말까 한 정도다. GO 트랜짓의 키치너(Kitchener) 선이 도시 남쪽을 지나가며, 브래멀리 GO(Bramalea GO), 브램턴 GO(Brampton GO), 마운트 플레전트 GO(Mount Pleasant GO) 총 3개 역에 정차한다.


5. 여담[편집]


어째서인지 토론토 광역권에 사는 이들에게 인외마경 취급을 받는다. 토론토와 주변 도시들에선 Brampton Man이라는 밈으로 플로리다 맨과 비슷한 위상을 지닌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9:22:53에 나무위키 브램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에 들어서도 브램턴 시는 화훼 산업으로 큰 도시라는 특징을 내세우기 위해 플라워 시티(Flower City)를 카피로 내세운다.[2] 현재는 미시소거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