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 그레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100 Greatest Greeks
※ 2009년 그리스 Skai TV 방송이 그리스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그리스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알렉산드로스 3세게오르요스 파파니콜라우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소크라테스
6위7위8위9위10위
아리스토텔레스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플라톤페리클레스
11위~100위
[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미키스 테오도라키스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멜리나 메르쿠리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니코스 카잔차키스
16위17위18위19위20위
오디세아스 엘리티스호메로스마노스 하지타키스레오니다스 1세히포크라테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피타고라스콘스탄티노스 카바피마리아 칼라스아르키메데스아리스토틀 오나시스
26위27위28위29위30위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엘 그레코콘스탄티노스 11세요르기오스 세페리스리가스 페레오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아리스 벨루키티오스요안니스 메탁사스니코스 갈리스게오르기오스 카라이코스데모크리토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야니스 마크리야니스아다만티오스 코레스야니스 리트오스
41위42위43위44위45위
테미스토클레스헤라클레이토스투키디데스유클리드파블로스 멜라스
46위47위48위49위50위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디미트리 나노풀로스무명용사
51위52위53위54위55위
페이디아스아리스토파네스코스티스 팔라마스에톨리아의 코스마스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
56위57위58위59위60위
소포클레스니코스 벨로야니스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요르요스 파판드레우니콜라오스 마르지오리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에피쿠로스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오톤
66위67위68위69위70위
반젤리스솔론클레이스테네스아이스퀼로스바실리오스 2세
71위72위73위74위75위
콘스탄티누스 1세이온 드라구미스코스타스 시미티스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76위77위78위79위80위
테오 앙겔로풀로스니코스 실루리스스텔리오스 카잔티디스차릴로스 플로라키스에우리피데스
81위82위83위84위85위
카롤로스 코운유스티니아누스 1세라키스 라조폴로스헤로도토스다나시스 벤고스
86위87위88위89위90위
헬레네 글리카츠아흐와일러카티나 팍시누알리키 부지욱라키마르코스 밤바카리스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91위92위93위94위95위
바실리스 치차니스피로스 디마스마노스 로조스마노리스 글레조스엘레나 무잘라
96위97위98위99위100위
필리포스 2세디미트리스 혼라스카리나 부불리나탈레스프락시텔레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엘 그레코
El Greco
파일:el-greco.jpg}}}[1]
본명도메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
(Δομήνικος Θεοτοκόπουλος)
출생1541년 10월 1일
베네치아 공화국 크레타 섬 칸디아[2]
사망1614년 4월 7일 (향년 72세)
스페인 톨레도
국적베네치아-그리스, 스페인
직업화가
사조매너리즘, 스페인 르네상스
스승티치아노 베첼리오

1. 개요
2. 생애
3. 대표 작품
4. 기타



1. 개요[편집]


그리스 태생의 스페인인 화가로, 디에고 벨라스케스,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과 함께 근세 스페인을 대표하는 3대 화가로 꼽힌다. 17세기 르네상스 말기 에스파냐의 펠리페 2세의 궁중 화가였고, 당시 매너리즘으로 분류된 그의 화풍은 주목받지 못했다. 그의 화풍은 20세기독일 표현주의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는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2. 생애[편집]


그리스 크레타 섬 칸디아에서 태어난 그는 원래는 그리스 사람으로 본명은 도메니코스 테오토코폴로스(Δομήνικος Θεοτοκόπουλος)인데, 그리스인이라는 뜻의 엘 그레코[3]로 불렸다. 베네치아에서 베첼리오 티치아노의 지도를 받고, 틴토레토(자코포 로부스티)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 엘 그레코의 초기 화풍은 정확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하였고 베네치아풍의 색채법을 사용하였다.

베네치아에서 화가로서 입지를 굳힌 엘 그레코는 당시 최고의 국력을 자랑하고 있던 스페인에서 성공해보겠다는 생각으로 스페인으로 건너갔으며 그가 원하던 당시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의 궁중화가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화풍이 펠리페 2세의 마음에 들지 않아 궁중 화가를 그만두게 되었다. 그가 그린 대부분의 그림이 종교화와 초상화였고 회색빛 명암색채, 비정상적으로 길쭉하고 뒤틀린 인체묘사로 당시 스페인에서는 매너리즘 미술로 평가절하되었다. 사후 오랫동안 그의 진가가 묻혀져 있었으나 19세기 이후 재평가되어 폴 세잔을 비롯한 많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20세기 초 독일 표현주의가 등장하면서 그는 미술사에서 신기원으로 이룬 가장 중요한 작가로 평가되기 시작했다. 스페인의 궁중 화가로서 톨레도에 정착한 후에 평생 그곳에서 그림을 그렸고, 스페인 왕실이 마드리드로 천도한 뒤에도 톨레도에서 계속 살다가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3. 대표 작품[편집]


파일:external/allart.biz/el_greco_opening_of_the_fifth_seal.jpg
다섯번째 봉인의 개봉 (1614년, 캔버스에 유화)
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어두운 단색으로 배경을 표현하여 인물을 강조하고 그 인물들을 10등신에 가깝게 길게 그려서 눈에 띄도록 한 독특하고 파격적인 화풍의 소유자이다. 그 당시에는 실제 사람과 사물을 똑같이 표현하는 고전주의 사조가 유행하였기 때문에 시각장애가 있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 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화풍은 16세기 말에 매너리즘[4]이라는 사조로 발전한다. 후일 그의 화풍은 표현주의추상주의에 영향을 준다.[5]

파일:external/www.artble.com/the_burial_of_the_count_of_orgaz.jpg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1588년, 캔버스에 유화)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이라는 작품에서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스테파노가 오르가스 백작시신을 매장하고 있고 그의 영혼천사천국으로 끌어올리는 장면이 있는데 당시 그림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묘사였다. 특히 동시대 인물이 아닌 사람들[6]을 동시에 묘사한 것, 영혼을 실체있는 형상[7]으로 표현한 것 때문에 당시 백작의 유해를 모셨던 산토 토메 성당에서는 이 그림을 묘지 위에 걸기 싫어했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고 그 그림을 보기 위해서 산토 토메를 찾는 관광객이 매우 많아진 것을 보면 아이러니하다고 할 수 있다.[8] 여담으로 이 그림중 백작의 시신이 그려진 부분이 1940년 스페인 페세타 지폐 도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4. 기타[편집]


  • 마드리드프라도 미술관, 에스코리알궁, 톨레도의 미술관과 여러 성당에 그의 작품이 있으니 관심있는 사람은 한 번쯤 가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 NPC로 등장한다. 단, 해당 게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도시들이 항구도시인만큼, 게임 속 에스파냐의 본거지가 당시 수도였던 톨레도가 아닌 세비야로 설정이 되어 있어, 엘 그레코 또한 세비야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8:09:41에 나무위키 엘 그레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화상으로 추정. 제목은 노인의 초상화다.[2] 오늘날의 그리스 크레타 섬 이라클리오[3] 사실 엘 그레코라는 표현 자체는 약간 비하적인 표현이 섞여있어서 스페인 사람들이 불렀던 의미는 그리스인보다는 '그리스놈'이라는 표현에 더 가깝다. 이사벨 1세 여왕의 레콩키스타 성공과 통일 스페인 왕국 출범 이후 이방인들에게 까칠했던 스페인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는 한 단면인 셈. 또한 이방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만천하에 공표했으니 그의 출신에 대한 자부심이 들어있기도 하다.[4] 16세기 말 이미 소묘 실력이 정점에 달하면서 미술의 발전은 끝난 것이 아니냐는 생각과 함께 조화와 균형 대신 신체의 특정부분을 과장 왜곡하면서 부자연스러움을 추구하게 되었다.[5] 실제 모습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데 집중하는 것 대신에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종교적 열망과 희열-을 표현하기 위해 형태가 일그러진 모습으로 나타내었단 것을 생각한다면 표현주의, 추상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400년 정도 앞서갔던 화풍이었던 셈.[6] 성 아우구스티누스, 성 스테파노와 오르가스 백작, 동네 주민들, 심지어 왼쪽에는 엘 그레코 자신의 모습과 아들을 묘사해놓았다. 왼쪽에 정면을 주시하고 있는 아이가 엘 그레코의 아들이고, 군중들 중에 오른손을 들고 정면을 주시하고 있는 사람이 엘 그레코 본인이다. 참고로 수많은 인물들이 그려져있지만 정면을 주시하고 있는 것은 이 두 명 뿐이다.[7] 흰색 물결, 천의 형상으로 표현.[8] 내부에서는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고 오로지 눈으로만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