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란츠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월터 란츠
Walter Lantz
파일:Walter Lantz, Boxoffice Barometer, 1939.jpg
본명월터 란자
Walter Lanza
출생1899년 4월 27일
미국 뉴욕 주 뉴 로첼
사망1994년 3월 22일 (향년 94세)
미국 캘리포니아 버뱅크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가족배우자 도리스 홀리스터 ,(1930년 결혼, 1940년 이혼),
배우자 그레이스 스태포드 ,(1940년 결혼, 1992년 사별),
직업애니메이터, 만화가, 애니메이션 감독, 프로듀서
소속Walter Lantz Productions
서명
파일:Walter_Lantz_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3. 작품 목록
4. 여담
5. 관련 인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 뉴욕 주 출신의 애니메이터, 만화가, 애니메이션 감독, 프로듀서.


2. 생애[편집]


이탈리아 이민자 부모의 가정에서 태어난 란츠는, 1915년에 영화 감독 그레고리 라 카바(Gregory La Caba)가 관리 중이던 애니메이션 부서에서 일하면서 애니메이터로써의 업계 경력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1925년엔 Dinky Doodle이란 자신의 카툰 시리즈를 만들어 감독, 애니메이션, 주연까지 맡기도 했다.

1928년 유니버설에서 찰스 민츠가 제작자로 참여해 제작 중이던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 카툰 시리즈에서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고용되었고, 당시의 유니버설 사장 칼 르밀이 민츠가 만들던 작품의 퀄리티를 보고 불만을 지녀 찰스를 해고한 대신 오스왈드를 계속 제작하기로 정했는데 이때 란츠는 톰 팔머(Tom Palmer), 버트 피스크(Burt Fiske)를 포함한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들을 인수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란츠는 개발 협력자로 애니메이터 빌 놀란을 선택하였었고, 1934년에 공동 작업을 멈추기 전까지 서로 같이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홀로 스튜디오의 제작자가 된 란츠는 유니버설이 배급한 단편 애니메이션들을 제작해 주게 되었으며, 1930년대 중기부터 새 캐릭터들을 주연으로 한 작품들을 제작하던 중에 앤디 판다(Andy Panda)가 1939년부터 란츠의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첫 스타 캐릭터로 명성을 올려갔고 그 이듬해엔 란츠 본인의 대표작으로 거론되는 우디 우드페커(딱따구리 우디)가 등장하는 작품을 처음으로 데뷔시키게 된다.

란츠가 운영하던 스튜디오와 유니버설 간의 관계는 큰 일 없이 조화로웠지만, 1947년 새로 부임한 소유자의 영향으로 유니버설-인터내셔널(Universal-International)로 개명된 유니버설 측의 새로운 경영진이 전체적인 구조조정을 하면서 란츠가 제작한 캐릭터라이선스와 상품화 권리의 소유를 주장하자, 란츠는 이 요구를 거절했으며 1948년부터 이듬해 초까지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배급으로 개봉한 12개의 단편 카툰을 제작했었다. 그러나 재정적 문제로 인해 같은 해(1949년)에 스튜디오를 폐쇄하였으며, 1951년 유니버설과 란츠는 서로 계약을 갱신하고 카툰 제작을 재개하였다.

1957년 우디 우드페커 쇼에서 애니메이션 작업 과정을 기록하는 시퀀스에 출연하기도 했던 란츠는, 1960년대까지 다른 영화사들이 애니메이션 부서를 폐쇄하고 카툰 제작을 중단하는 와중에도 극장용 단편 애니를 만드는 스튜디오에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이자 제작자의 위치에 있었다.[1] 그러나 1960년대 후반 발생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수익이 줄게 되면서 점차 관련 작품 제작에 불리한 상황에 놓이자, 1972년에 란츠는 자신의 스튜디오(월터 란츠 스튜디오)를 폐쇄하고 스튜디오가 제작한 자산의 판권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와 90년대엔 NSFI의 자문위원회에서 자문 위원으로 소속되어 활동하기도 하였으며, 1993년에는 자신의 명의로 애니메이터들을 위한 장학금과 상금을 만들어 칼아츠기증하기도 했다. 이듬해(1994년) 3월 22일, 심부전의 여파로 인해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성 조셉 메디컬 센터에서 세상을 떠났다.


3. 작품 목록[편집]




4. 여담[편집]


  •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황금기 시절 애니메이터들한테 일을 하기 가장 좋은 고용주 중 1명으로 여겨졌었다. 이유는 란츠 자신이 애니메이션 만들기를 좋아하는 성격이었으며, 실제로 애니메이터와 애니메이션 감독을 거친 경력도 있던 것이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스튜디오의 작업실에서 일하는 애니메이터와 아티스트들의 재능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보조해 줬기 때문에 알렉스 루비(Alex Lovy), 샤머스 컬헤인(Shamus Calhane)을 비롯한 휘하 애니메이터들이 훗날 인터뷰에서 란츠를 언급할 때 그를 고평가하기도 했다.

  • 유니버설에서 배정받은 애니메이션 제작 예산이 많지는 않았지만, 스튜디오 내부 직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이 크게 작용했는지 란츠가 이끌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집단적인 파업이 일어나지 않은 스튜디오 중 한 곳이었었다.[2]

  • 1941년 개봉된 단편 애니메이션 Scrub me mama with a boogie beat이 1948년 재개봉하였을 당시, NAACP 측에서 유니버설 측에 항의하는 사태가 빚어졌었는데 결과적으로 이듬해 초에 상영이 중지되었지만 이 작품의 제작자였던 란츠한텐 굉장히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당시 란츠는 누군가의 기분을 상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고 연이어 말했으며, 이후부터 스튜디오에서 제작하는 작품들에 다른 인종에 대해 차별적인 묘사를 삽입하지 않으려 적극적인 노력을 했었고 다시는 이러한 작품들은 만들지 않게 된다.[3]

  • 1980년대 초기에 진행한 필름 인터뷰 영상이 있다. 영상 자료

  • 스탠리 큐브릭이 란츠의 작품들 중 딱따구리 애니를 굉장히 좋아해서 자신이 제작할 영화에 삽입하려고 란츠와 상의를 했지만 그(란츠)가 거부하면서 이뤄지지 못했다.

5. 관련 인물[편집]


  • 영향을 받은 인물
    • 윈저 매케이(Winsor Mccay): 윈저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공룡 거티에 깊은 영향을 받았었다고 애니메이션 역사가 조 아담슨(Joe Adamson)이 저술한 (월터 란츠를 바탕으로 만든) 전기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 동료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제작자로써 당시 유일한 위치로써의 친구이자 파트너쉽을 유지했다.
    • 빌 놀런(Bill Nolan): 활동 초중기에 란츠가 가장 신뢰하던 애니메이터이자 애니메이션 감독.


  • 전 동료
    • 멜 블랭크: 초대 딱따구리를 맡은 성우였지만 워너 브라더스와의 전속 계약 체결로 얼마 안 지나 유니버설을 떠났으며, 1950년대 초반에 타이틀 카드에 대한 딱따구리 음성 활용에 대한 권리 문제로 민사소송을 진행한 사건이 있었다.

  • 상사
    • 칼 르밀(Carl Lemile)
    • 찰스 민츠(Charles Mintz)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 알렉스 루비
    • 텍스 에이버리: 1930년대 초반과 1950년대 중반에 잠시 란츠의 휘하에서 일했다.
    • 딕 런디(Dick Lundy)
    • 폴 J. 스미스(Paul J. Smitch)
    • 제임스 샤머스 컬헤인(사머스 컬헤인)
    • 벤 하더웨이(Ben Hardaway): 우디 우드페커를 디자인한 캐릭터 디자이너이자 딱따구리의 1944~45년 성우.
    • 애머리 호킨스(Emery Hawkins)
    • 돈 패터슨(Don Patterson)
    • 레이 패터슨(Ray Patterson)
    • 그랜트 시몬스(Grant Simmons)
    • 그림 냇윅(Grim Natwick): 플라이셔 스튜디오에서 베티 붑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1:52:13에 나무위키 월터 란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나머지 회사 중 유명한 곳은 핑크 팬더 시리즈를 제작하던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가 있었다.[2] 나머지 스튜디오 중 유명한 사례는 스크린 젬스와 MGM 카툰 스튜디오가 있었다. 후자는 MGM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애니메이션 제작 예산이 많게 배정된 여력도 작용하였으며, 1941년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에 참여한 일부 직원들이 MGM으로 이직한 일도 있었다.[3] 그러나 해당 단편은 1980년대까진 일부 신디케이트 방송국에서 방영된 사례가 있었다는 목격자들의 증언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