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0대 대통령 선거









1. 개표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당락
1이재명(李在明)16,147,7382위[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83%낙선
2윤석열(尹錫悅)16,394,815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8.56%당선
3심상정(沈相奵)803,358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37%낙선
4안철수(安哲秀)사퇴[2]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5오준호(吳準鎬)18,1057위

[[기본소득당|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5%낙선
6허경영(許京寧)281,4814위

[[국가혁명당|
파일:국가혁명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3%낙선
7이백윤(李百允)9,17610위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타입.svg
0.02%낙선
8옥은호(玉恩鎬)4,970[3]12위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1%낙선
9김동연(金東兗)사퇴[4]

파일:새로운물결 흰색 로고타입.svg
10김경재(金景梓)8,31711위

[[신자유민주연합|
파일:신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0.02%낙선
11조원진(趙源震)25,9726위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7%낙선
12김재연(金在姸)37,3665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0.11%낙선
13이경희(李京熹)11,7089위

[[통일한국당|
파일:통일한국당(2021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3%낙선
14김민찬(金旻澯)17,3058위

[[한류연합당|
파일:한류연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5%낙선
선거인 수44,197,692투표율
77.08%
투표 수34,067,853
무효표 수307,542

1.1. 개표 추이[편집]


개표 극초반에는 이재명 후보가 무려 30%p나 앞서나갔다. 이재명 후보가 유리했던 관내사전투표와 호남 지역에서 먼저 개표를 시작했기 때문. 하지만 점차 타 지역의 사전투표함들이 열리면서 격차가 3~10%p 정도로 급격히 줄어들었고, 본투표도 서서히 개표되기 시작하면서 3월 10일 0시 31분을 기점[5]으로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 동률, 역전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후 01시 24분 기준 윤석열 후보가 0.9%p로 표차를 벌렸다. 이후 개표가 종료될 때까지 두 후보는 20만표대의 격차를 꾸준히 유지하며 윤석열 후보가 표차를 벌리지도, 이재명 후보가 표차를 좁히지도 못하는 보합세가 계속 이어졌다. 오전 2시 13분에는 KBS가 윤석열 후보에 유력[기준1] 판정을 내렸고, 결국 3시 22분에 확실[기준2] 판정을 내렸다. MBC는 당선 유력 판정은 건너뛰고 개표가 98.0% 정도 진행된 새벽 3시 54분에[6] 바로 당선 확실[기준2] 판정을 내렸고, SBS는 별도의 당선 유력, 확실 판정을 내리지 않았다.[7]

한편 서초구의 경우 재보궐선거가 함께 진행되는 바람에 개표가 늦었는데[8][9],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이른바 세훈아 방 빼 → 강남3구 개표로 보수 정당 역전 사태와 유사한 양상이 벌어질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실제 개표 결과도 윤석열 후보에게 65%가 넘는 몰표가 쏟아져 나오며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유지하는데 기여했다.

대구광역시 역시 재보궐선거 때문에 시도별 개표율에서 제일 늦은 추이를 보였고[10] 경기도 부천시인천광역시 부평구 또한 개표가 늦어졌는데, 이 때문에 윤석열 후보에게 역전당한 이후 더불어민주당 및 이재명 지지자들에게 한 가닥 희망으로 남았으나 결국 결과를 다시 뒤집지는 못했다. 상술했듯이,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서초구와 대구광역시의 개표가 늦어지며 경기도-인천광역시 주요 지역과 관외 사전투표에서의 열세를 상쇄하며 격차를 유지한 것이다.

2. 지역별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20대 대통령 선거/개표 결과/지역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개표 결과
파일:20대 대선_지역별_투표결과_2.svg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
전국
16,147,738
(47.83%)
16,394,815
(48.56%)
77.08%
서울특별시
2,944,981
(45.73%)
3,255,747
(50.56%)
77.9%
부산광역시
831,896
(38.15%)
1,270,072
(58.25%)
75.3%
대구광역시
345,045
(21.60%)
1,199,888
(75.14%)
78.7%
인천광역시
913,320
(48.91%)
878,560
(47.05%)
74.8%
광주광역시
830,058
(84.82%)
124,511
(12.72%)
81.5%
대전광역시
434,950
(46.44%)
464,060
(49.55%)
76.7%
울산광역시
297,134
(40.79%)
396,321
(54.41%)
78.1%
세종특별자치시
119,349
(51.91%)
101,491
(44.14%)
80.2%
경기도
4,428,151
(50.94%)
3,965,341
(45.62%)
76.7%
강원도
419,644
(41.72%)
544,980
(54.18%)
76.1%
충청북도
455,853
(45.12%)
511,921
(50.67%)
74.8%
충청남도
589,991
(44.96%)
670,283
(51.08%)
73.7%
전라북도
1,016,863
(82.98%)
176,809
(14.42%)
80.6%
전라남도
1,094,872
(86.10%)
145,549
(11.44%)
81.1%
경상북도
418,371
(23.80%)
1,278,922
(72.76%)
78.1%
경상남도
794,130
(37.38%)
1,237,346
(58.24%)
76.4%
제주특별자치도
213,130
(52.59%)
173,014
(42.69%)
72.6%

파일:20대 대선_지역별_투표결과_1.svg

파일:20대 대선 전국 읍면동 지도.png

3. 세대별 결과[편집]





4. 정당별 결과[편집]





[1] 247,077표차(123,539표 이격)[2]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3] 대한민국 제6공화국 이후 대선 역대 최저 득표.[4]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5] 0시 28분 즈음부터 주요 방송사는 실시간으로 표 차이가 좁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기준1] 당선 확률 95% 이상.[기준2] A B 당선 확률 99% 이상.[6] 시간상으로는 이재명 후보가 패배 승복 선언을 한 직후에[7] 대신 자체 AI 예측만 내놓았다.[8] 3월 10일 01시 50분 기준 두 번째로 개표율이 낮은 은평구의 개표율이 60.88%였는데 서초구는 겨우 17.81%에 불과했다.[9] 여기에 서초구는 인접한 강남구와 더불어 서울에서도 교통 체증이 매우 심각한 곳이어서 그만큼 투표함이 개표소에 늦게 도착하기 때문에 공직선거 때마다 개표 시작이 다른 지역에 비해 대체로 늦는 편이다.[10] 3월 10일 01시 55분 기준으로 69.37%의 개표율을 보였는데, 이 시점에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유일하게 70%를 넘기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