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회전 2기 (r2판)

편집일시 :




주술회전 2기 (2023)
呪術廻戦 2期[br]Jujutsu Kaisen 2nd Season
기타 키 비주얼 ▼
이미지:jujutsu kaisen 2nd Season (2).jpg티저 비주얼 1탄
이미지:Jujutsu Kaisen 2nd Season.jpg티저 비주얼 2탄
작품 정보 ▼
장르능력자 배틀
원작아쿠타미 게게
감독○○
부감독○○
시리즈 구성○○
캐릭터 디자인○○
미술 감독○○
색채 설계○○
CGI 프로듀서○○
3D CG 디렉터○○
촬영 감독○○
편집○○
음악○○
음향 감독○○
음향 제작○○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파일:MAPPA 로고.svg
제작주술회전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23. 10. ○○. ~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분
화수2쿨 예정
국내 심의 등급미정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1. 개요
2. 방영 전 정보
2.1. PV
3. 줄거리
6. 주제가
7. 회차 목록
8. 평가
9. 기타



1. 개요[편집]


과거와 현재가 교차한다

過去と現在が交差する

일본의 만화 주술회전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TV판 제2기. 감독은 미정, 제작사는 TVA 1기 & 극장판에 이어 MAPPA. 방영 시기는 2023년


2. 방영 전 정보[편집]


  • 2022년 2월 12일,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 고죠 사토루게토 스구루를 비롯한 주술사들의 학생 시절을 다룬 과거편이나 원작 스토리의 전개와 방향이 완전히 뒤바뀌는 시부야 사변이 애니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1기와 극장판의 감독인 박성후가 2021년 3월 MAPPA를 퇴사하고 E&H PRODUCTION이라는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닌자 카무이라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제작에 착수했기 때문에 감독 변경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 언론사에서 애니메 엑스포 2022의 극장판 주술회전 0의 이벤트에서 박성후 감독이 보낸 비디오 메세지를 출처로 박성후가 2기에서도 일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나 며칠 뒤 해당 언론사에서 잘못 썼다며 기사를 수정했다. #출처[1]

  • 티저 비주얼이 뜬지 약 20분후 공식 국내 방영사인 애니플러스에서도 바로 축하 트윗을 남겼다.#

  • 레딧에서 변경된 감독은 1기에서 17화를 연출해 호평을 받았던 고쇼조노 쇼타라는 루머가 나왔다. 키 비주얼 또한 고쇼조노 쇼타가 좋아하는 광각 렌즈로 인해 원형으로 일그러진 구도이기 때문.[2]

  • 2022년 9월 25일, 시부야 사변의 키 비주얼도 공개됨과 동시에 좌우로 나뉘어진 키 비주얼들이 합쳐져 완전한 모습이 공개되었다. 그리고 본작의 분량은 연속 2쿨로 회옥•옥절 에피소드[3]시부야 사변 에피소드를 다룬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또한 2기의 캐치프레이즈[4]도 함께 공개되었다. #

2.1. PV[편집]


PV 제○탄


3. 줄거리[편집]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술회전/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주술회전/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편집]


OP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ED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5]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日: 2023.


8. 평가[편집]




9. 기타[편집]


  • 원작자인 아쿠타미 게게가 이를 기념해 일러스트를 그렸다.[6]


[1] Note: an earlier version of this write-up said Sunghoo Park was "hard at work" on Season Two. After reviewing the audio of the panel, that statement has been removed and Park's involvement is not confirmed.[2] 보통 키 비주얼은 감독이 기본 틀을 짜고, 캐릭터 디자이너가 그리는 게 관행이다. 참고로 박성후 감독은 이런 구도를 잘 쓰지 않는다.[3] 고죠와 게토의 과거편으로 단행본 8, 9권의 제목이기도 하다.[4] 과거와 현재가 교차한다.[5]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6] 파일:FLYxRukVUAAqoZU.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