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할머니

덤프버전 :

분류

부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재종고고모할머니종고조할아버지고고모할머니내재종고조할아버지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증조당고모할머니종증조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증고모할머니내재종증조할아버지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삼종고모할머니내삼종조할아버지내삼종고모할머니재종조할아버지재종고모할머니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할아버지
(조부)
할머니
(조모)
||<-4><bgcolor=#528eff>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2><bgcolor=#a1c1ff> 내재종조할아버지 ||<-2><bgcolor=#a1c1ff> 내재종고모할머니 ||<bgcolor=#eff5ff> 내삼종조할아버지 ||<bgcolor=#eff5ff> 내삼종고모할머니 ||<bgcolor=#eff5ff> 내내삼종조할아버지 ||<bgcolor=#eff5ff> 내내삼종고모할머니 ||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아버지
(아빠, 부)
어머니
(엄마, )
||<-2><bgcolor=#2b74ff> 고모 ||<-2><bgcolor=#7aa7ff> 내당숙
(내종숙) ||<-2><bgcolor=#7aa7ff> 내당고모
(내종고모) ||<bgcolor=#c8dbff> 내재당숙
(내재종숙) ||<bgcolor=#c8dbff>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bgcolor=#c8dbff>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bgcolor=#c8dbff>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4><|11> ||
삼종형제자매내삼종형제자매내삼종형제자매내내삼종형제자매재종형제재종자매내재종형제내재종자매사촌형제
오빠
남동생
||<-4><|2><colbgcolor=#000033> ||<|2><bgcolor=#003eb4> 자매 ||<-2><bgcolor=#528eff> 고종사촌 ||<|2><bgcolor=#a1c1ff> 내재종형제 ||<|2><bgcolor=#a1c1ff> 내재종자매 ||<|2><bgcolor=#a1c1ff> 내내재종형제 ||<|2><bgcolor=#a1c1ff> 내내재종자매 ||<|2><bgcolor=#eff5ff> 내삼종형제자매 ||<|2><bgcolor=#eff5ff> 내내삼종형제자매 ||<|2><bgcolor=#eff5ff> 내내삼종형제자매 ||<|2><bgcolor=#eff5ff> 내내내삼종형제자매 ||
(종형제)(종자매)(내종형제)(내종자매)
재종질재종생질내재종질내재종생질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아들조카(생질)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내재종생질내내재종질내내재종생질
삼종손이삼종손내삼종손내이삼종손재종손이재종손종손손자손녀외손자외손녀이손내재종손내이재종손내삼종손내이삼종손내내삼종손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이재종증손종증손증손외증손이종증손내종증손내이종증손
재종현손이재종현손종현손현손외현손이종현손내재종현손내이재종현손
종내손내손외내손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이촌삼촌사촌오촌육촌칠촌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2촌 관계: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친할머니가족의 구성원 중 하나로, 아버지어머니를 말한다. 어머니의 어머니는 외할머니라 부른다.


2. 상세[편집]


친할머니의 친가를 진외가(陳外家)라고 한다. 할머니의 여자 형제(=아버지의 이모)는 진외존이모이며, 그 남편은 진외존이모부이다. 할머니의 남자 형제(=아버지의 외삼촌)는 친이조부라고 하며, 그 아내는 친이조모라고 한다. 진외종조부, 진외종조모를 일컫는 '넛할아버지', '넛할머니'라는 순우리말도 있으나 앞뒤 두 쌍 모두 잘 쓰이는 말은 아니다.

아버지를 기준으로해서 친할아버지의 이나 아우를 친종조부, 그의 배우자를 친종조모, 여자 형제인 대고모/왕고모를 쉽게 고모할머니, 그의 배우자를 고모할아버지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친할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입말로 친이모할머니-친이모할아버지, 진외숙(외삼촌)할아버지-진외숙모할머니라고 부르기도 하며, 그냥 쉽게 '할아버지', '할머니' 앞에 이름이나 사는 곳의 지명을 넣어 부르는 경우도 있다.

엄마의 기준으로 시어머니이다.

할머니의 부모님(=아버지의 외조부모)는 '진외증조부', '진외증조모'라고 하며, 보통 '진외증조할아버지', '진외증조할머니'라고 부른다. 이를 실생활에서 아버지의 외가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외가(외외가)에도 준용하면, 어머니의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는 ''외외증조할아버지', '외외증조할머니'다.

자신의 아들이 자녀를 낳으면 친할머니가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9:25:52에 나무위키 친할머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