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리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정통}}}
제피리노
정통}}}
폰시아노
vs.
vs.
대립}}}
나탈리오
대립}}}
히폴리토
정통}}}
고르넬리오
정통}}}
루치오 1세
정통}}}
식스토 2세
vs.
대립}}}
노바시아노
정통}}}
에우세비오
정통}}}
리베리오
정통}}}
다마소 1세
vs.
vs.
vs.
vs.
대립}}}
헤라클리오
대립}}}
펠릭스 2세
대립}}}
우르시노
대립}}}
에울랄리오
정통}}}
심마코
vs.
vs.
vs.
vs.
대립}}}
테오도로
대립}}}
라우렌시오
대립}}}
디오스코로
vs.
대립}}}
파스칼
vs.
vs.
vs.
대립}}}
요한 8세
vs.
대립}}}
필립보
정통}}}
레오 5세
vs.
vs.
정통}}}
요한 14세
vs.
vs.
vs.
vs.
대립}}}
요한 16세
정통}}}
빅토르 3세
vs.
vs.
정통}}}
파스칼 2세
vs.
vs.
vs.
vs.
대립}}}
테오도리코
대립}}}
아달베르토
vs.
vs.
vs.
vs.
vs.
vs.
vs.
대립}}}
파스칼 3세
정통}}}
요한 22세
vs.
vs.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7세
대립(아비뇽)}}}
베네딕토 13세
대립(피사)}}}
알렉산데르 5세
vs.
대립(아비뇽)}}}
베네딕토 13세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8세
vs.
대립(피사)}}}
요한 23세
대립(아비뇽)}}}
선대 베네딕토 14세
vs.
vs.
대립(아비뇽)}}}
클레멘스 8세
vs.
대립(아비뇽)}}}
후대 베네딕토 14세
대립}}}
펠릭스 5세


교황테오도리코(Theodoric)
세속명없음
출생지실전됨
사망지카바 데 티레니의 삼위일체 수도원
생몰년도? ~ 1102년
재위기간1100년 9월 10일 ~ 1101년 1월
1. 개요
2. 행적



1. 개요[편집]


교황 파스칼 2세에 대적한 대립교황.


2. 행적[편집]


출생지, 출생년도, 부모관계 등 기원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는다. 1084년 11월 4일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가 반포한 교서에서 추기경이자 비아 라타의 산타 마리아 성당의 부제를 역임한 인물로 소개되었다. 1098년 클레멘스 3세의 지시에 따라 독일로 가서 클레멘스 3세가 추진한 베르첼리 공의회에 참석하기를 거부한 마인츠 대주교 루타르트를 질책했다. 그럼에도 루타르트가 클레멘스 3세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자, 클레멘스 3세는 마인츠 시민들에게 주교에게 충성을 바칠 의무를 해제하겠다고 통보했다. 1099년 알바노 교외 지역의 추기경으로 선임되었다.

1100년 9월 8일 클레멘스 3세가 로마에서 축출된 뒤 얼마 안 되어 치비타 카스텔라나에서 사망하자, 그는 9월 9일에서 10일 사이의 밤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를 지지하는 주교들에 의해 교황에 선출되었다. 그는 교황 파스칼 2세가 자리를 비운 틈을 타 라테라노 대성당을 접수하여 한동안 버텼다. 그러나 1101년 로마로 돌아온 파스칼 2세의 반격에 직면하자 하인리히 4세와 합류하려고 북상했지만 도중에 파스칼 2세가 파견한 병사들에게 체포된 뒤 카바 데 티레니의 삼위일체 수도원에 보내졌고, 1102년 그곳에서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8:14:57에 나무위키 테오도리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