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ry Christmas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ARIAH CARE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f 45%, #fff 55%, transparent 55%); width: 9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ᴅ ɪ s ᴄ ᴏ ɢ ʀ ᴀ ᴘ ʜ ʏ ♕

4집
Merry Christmas
(1994)
3집
Music Box
(1993)
5집
Daydream
(1995)

Merry Christmas
파일:merrychristmas.jpg
✨🎄 Deluxe Anniversary Edition 🎄✨
파일:mcdae.jpg
발매1994년 10월 28일
프로듀서머라이어 캐리, 월터 아파나시에프, 로리스 홀랜드
장르크리스마스 캐럴
레이블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
녹음기간1993년 12월 ~ 1994년 8월
길이39:31
1. 개요
2. 평가
3. 성적
4. 싱글
5. 트랙리스트[1]
6. 주요 공연
7. 여담



1. 개요[편집]



1994년 10월 28일에 발매된 머라이어 캐리의 첫 번째 크리스마스 앨범이자 네 번째 정규 앨범이다.


2. 평가[편집]


''''''
[ 펼치기 · 접기 ]
1위2위3위4위5위
파일:aecbd899673543c28b2339f5e361d78f.webp
파일:마부크리스마스.png
파일:merrychristmas.jpg
파일:캐롤음반.jpg
파일:크마.png
빈스 과랄디 트리오마이클 부블레머라이어 캐리만하임 스팀롤러만하임 스팀롤러
A Charlie Brown ChristmasChristmasMerry ChristmasA Fresh Aire ChristmasChristmas
6위7위8위9위10위
파일:냇콜크마송.jpg
파일:조그노엘.jpg
파일:셀디디잘스페탐.jpg
파일:어베리크마.jpg
파일:케니지홀데앨.jpg
냇 킹 콜조쉬 그로반셀린 디옹Various Artists케니 지
The Christmas SongNoelThese Are Special TimesA Very Special ChristmasMiracles: The Holiday Album
출처
같이 보기: 노래




“그땐 크리스마스 앨범을 낸 아티스트가 많지 않았어요. 그 당시에는 그렇게 알려지지도 않았었고, 새로운, 거대한 크리스마스 노래를 시도한 사람도 없었죠. 그래서 저희는 평소처럼 아무렇지 않게 앨범을 내려고 했어요.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봐, 다들 알다시피, 우리 크리스마스 앨범 낼 거야. 뭐 어때?'”

월터 아파나시에프[2]

머라이어가 크리스마스 앨범 내는 것을 싫어했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크리스마스 앨범을 내는 가수는 거의 없었고, 그마저도 전성기가 한참 지난 중견 내지는 원로 가수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시의 머라이어는 3집의 세계적인 대성공으로 커리어가 정점에 있던 시기였고, 싱글 성적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는 크리스마스 앨범을 발매하는 것은 그 자체로 큰 리스크이자 모험이었던 것이다.[3]

그러나, 이러한 걱정과 편견 속에 제작된 머라이어의 크리스마스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큰 인기를 끌었고 30년 가까이 지난 현재까지도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으며, 크리스마스 앨범계의 마스터피스이자 후발주자들에게 모범적인 선례를 남겨 준 전설적인 앨범이 되었다. 실제로 이 앨범이 대성공을 거두면서 너도나도 크리스마스 앨범을 발매하기에 바빴고 더 이상 전성기를 보내고 있는 가수들이 크리스마스 앨범을 내는 것을 이상하게 보지 않았다.

전 세계의 수없이 많은 가수들이 '제2의 Merry Christmas'를 꿈꾸며 '크리스마스의 여왕'이라는 타이틀에 끝없는 도전장을 내밀곤 했지만 결말은 항상 머라이어의 승리로 끝났다는 점은 이 앨범의 위대함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예시이다. 앨범은 이미 스테디셀러라는 개념을 넘어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 잡았고, 발매 후 28년이 지난 지금도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전 세계인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이 앨범을 찾는다. 매년 들려오는 신기록과 1위 행진은 이제는 익숙한 일이며 그 어떤 강요나 집착이 없음에도 불구, 이러한 집단적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대중음악사 전체를 둘러봐도 보기 드문 일인 것이다.


3. 성적[편집]


파일:RIAA 플래티넘8.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8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8,000,000 단위 이상



차트 및 판매량
[ 펼치기 · 접기 ]
국가순위판매량인증
일본12,800,0002x 밀리언
라트비아1N/A-
리투아니아1N/A-
오스트레일리아2425,0006x 플래티넘
네덜란드2125,000플래티넘
스웨덴2100,000-
미국36,200,0008x 플래티넘
영국32350,000플래티넘
캐나다4350,0002x 플래티넘
독일15350,000골드
뉴질랜드1015,000플래티넘
프랑스470,000-
오스트리아435,000골드
벨기에4100,0002× 플래티넘
브라질-N/A-
이탈리아9400,000플래티넘
스페인26100,000-
스위스450,000골드
덴마크460,0003x 플래티넘
노르웨이460,0003x 플래티넘
싱가포르-120,0004x 플래티넘
대만-300,0006x 플래티넘
한국10640,000
비공식 800,000
6x 플래티넘
월드13,000,000[1]
[1] 아시아: 4,220,000 유럽:2,000,000

빌보드 200 30위로 데뷔, 발매 5주 차에 3위를 차지해 피크 순위를 갱신했으며 6주 차에 500,000장을 팔면서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다. 앨범은 28년에 걸쳐 꾸준히 재진입하면서 2022년 기준 총 108주 동안 차트에 머무르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3개의 나라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호주와 네덜란드, 스위스에서는 2위를, 미국과 캐나다,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5위권 안에 들었다. 현재까지 전 세계 130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해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크리스마스 앨범이 되었고 아직도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전 세계 각종 차트에서 역주행을 하는지라 판매량은 현재진행형이다.

미국에서 62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고 RIAA 기준 8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아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크리스마스 앨범이다. 발매 25주년을 맞이한 2019년을 시작으로 빌보드 연말 차트에 꾸준히 랭크되고 있어 판매량 역시 계속 오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 앨범으로 첫 1위를 했는데 당시 일본 내 해외 가수 앨범 판매량 1위 기록[4]을 갈아치웠고, 현재까지 280만 장 이상 팔려 나가 일본에서 네 번째로 많이 팔린 해외 가수의 앨범이 되었다.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어 64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고 대만에서도 30만 장이나 팔렸다.

앨범의 리드 싱글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는 굉장한 성공을 거두었고, 현재까지 전 세계 1600만 장 이상의 싱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AIWFCIY〉 문서 참조.

〈AIWFCIY〉 외에도 스포티파이에서 1억 7000만 회의 스트리밍을 기록한 〈Christmas (Baby Please Come Home)〉이나 〈O Holy Night〉, 〈Santa Claus Is Comin' to Town〉, 〈Joy to the World〉, 〈Silent Night〉 등 거의 모든 수록곡들이 인기를 끌며 앨범을 진정한 클래식의 반열에 올렸다.[5]


4. 싱글[편집]


리드 싱글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한정 발매 싱글
Miss You Most (At Christmas Time)
한정 발매 싱글
Joy to the World
1994.10.291994.101995.11.27
파일:B2BC5D26-F535-48F0-83D0-2BAC13F5EFE0.jpg파일:mym_mc.jpg파일:jttw_mc.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싱글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트랙리스트[6][편집]


Merry Christmas
트랙제목
1Silent Night
2파일:single_sign.png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3O Holy Night
4Christmas (Baby Please Come Home)
5파일:singlepromo_sign.png Miss You Most (At Christmas Time)
6파일:singlepromo_sign.png Joy to the World
7Jesus Born on This Day
8Santa Claus Is Comin' to Town
9Hark! The Herald Angels Sing / Gloria (In Excelsis Deo)
10Jesus Oh What a Beautiful Child
Deluxe Anniversary Edition
11God Rest Ye Merry, Gentlemen
1[7] Sugar Plum Fairy Introlude
2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3Silent Night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4Joy to the World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5Hark! The Herald Angels Sing / "Gloria (In Excelsis Deo)"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6Jesus Born on This Day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7Santa Claus Is Comin' to Town (live at The Cathedral of St. John the Divine)
8Oh Santa!
9Christmas Time Is in the Air Again
10When Christmas Comes (with John Legend)
11The Star
12Lil Snowman
13Santa Claus Is Comin' to Town (Anniversary Mix)
14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o So Def Remix) (featuring Jermaine Dupri and Bow Wow)
15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riah's New Dance Mix Extended 2009)
16Joy to the World (Celebration Mix)
17Joy to the World (Flava Mix)
18Sugar Plum Fairy Introlude (Acapella)


6. 주요 공연[편집]


세인트 존 더 디바인 대성당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라이브

세인트 존 더 디바인 대성당
〈Joy to the World〉 라이브
[8]

세인트 존 더 디바인 대성당
〈Hark! The Herald Angels Sing〉 라이브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1:32:54에 나무위키 Merry Christma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일:single_sign.png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2] 머라이어와 함께 앨범을 만든 프로듀서로 앨범 준비를 위해 가졌던 첫 회의 때를 회상하며 한 말이다.[3] 프로듀서였던 월터 아파나시에프 역시 앨범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어찌 됐던 당시 소니 뮤직의 회장이자 남편이었던 토미 모톨라의 끝없는 설득을 머라이어가 승낙하며 앨범은 제작에 들어가게 된다.[4] 기존 1위는 휘트니 휴스턴의 〈The Bodyguard OST[5] 물론 원래 인기를 얻었던 기존의 곡들을, 월터 아파나지에프랑 머라이어 캐리가 자신들만의 느낌으로 편곡해 리메이크한 것이긴 하다. 다만 이후에, 원곡들 보다 머라이어 캐리 버젼이 더 크게 알려지며 새로운 캐롤 시대를 열었다.[6] 파일:single_sign.png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7] disc two[8] 참고로 토미 머톨라가 머라이어 캐리의 무대 중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무대가 있냐고 질문을 받자, 이 무대를 꼽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