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강 생물 목록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절지동물문 생물 목록 문서
절지동물문 생물 목록번 문단을
절지동물문 생물 목록# 부분을
, 곤충강에 대한 내용은 곤충 문서
곤충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곤충#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1단계 문단을 사용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생물 분류 기준은 GBIF Checklist dataset에 등재된 가장 최신의 데이터로 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한글로 기재되어 있으나 발표된 국명이 없음을 의미한다.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므로 인용 시 주의해야 한다. 유래가 같은 학명이 분류 단계만 다를 경우는 제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의 분류가 확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1. 개요
2. 단관절구류(Monocondylia)
2.1. 돌좀목(Archaeognatha)
3. 쌍관절구류(Dicondylia)
3.1. 무시아강(Apterygota)
3.1.1. 좀목(Zygentoma)
3.2. 유시아강(Pterygota)
3.2.1. 고시하강(Paleoptera)
3.2.1.1. 하루살이상목(Ephemeropteroidea)
3.2.1.1.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3.2.1.2. 잠자리상목(Odonatoptera)
3.2.1.2.1. †게로프테라목(Geroptera)
3.2.1.2.2. †원잠자리목(Meganisoptera)
3.2.1.2.3. 잠자리목(Odonata)
3.2.1.3. †고망시상목(Palaeodictyopteroidea)[1]
3.2.2. 신시하강(Neoptera)
3.2.2.1. 외시류 (Exopterygota)
3.2.2.1.1. 메뚜기계열(Polyneoptera)
3.2.2.1.1.1. †옛메뚜기목(Protorthoptera)[2]
3.2.2.1.1.2. 강도래목(Plecoptera)
3.2.2.1.1.4. 민벌레목(Zoraptera)
3.2.2.1.1.5. 집게벌레목(Dermaptera)
3.2.2.1.1.6. 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
3.2.2.1.1.8. 대벌레목(Phasmatodea)
3.2.2.1.1.9. 망시류[3]
3.2.2.1.2. 노린재계열(Paraneoptera)[4]
3.2.2.1.2.1. 다듬이벌레목(Psocodea)
3.2.2.1.2.2. 총채벌레목(Thysanoptera)
3.2.2.2. 내시류(Endopterygota, Holometabola)
3.2.2.2.1. 부채벌레목(Strepsiptera)
3.2.2.2.3. 약대벌레목(Raphidioptera)
3.2.2.2.4. 뱀잠자리목(Megaloptera)
3.2.2.2.6. 벌목(Hymenoptera)
3.2.2.2.7. 밑들이목(Mecoptera)
3.2.2.2.8. 벼룩목(Siphonaptera)
3.2.2.2.9. †원시파리목(Protodiptera)
3.2.2.2.11. †타라코프테라목(Tarachoptera)
3.2.2.2.12. 날도래목(Trichoptera)
3.2.2.2.13. 나비목(Lepidoptera)
4. 불분명(Incertae sedis)


1. 개요[편집]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는 걸 의미한다.

2. 단관절구류(Monocondylia)[편집]



2.1. 돌좀목(Archaeognatha)[편집]



3. 쌍관절구류(Dicondylia)[편집]



3.1. 무시아강(Apterygota)[편집]



3.1.1. 좀목(Zygentoma)[편집]


  • 좀과(Lepismatidae)
    • Ctenolepisma
      • (Ctenolepisma longicaudata)
      • 작은좀(Ctenolepisma villosa)
    • Lepisma

3.2. 유시아강(Pterygota)[편집]



3.2.1. 고시하강(Paleoptera)[편집]



3.2.1.1. 하루살이상목(Ephemeropteroidea)[편집]



3.2.1.1.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편집]


3.2.1.2. 잠자리상목(Odonatoptera)[편집]



3.2.1.2.1. †게로프테라목(Geroptera)[편집]


3.2.1.2.2. †원잠자리목(Meganisoptera)[편집]


3.2.1.2.3. 잠자리목(Odonata)[편집]


3.2.1.3. †고망시상목(Palaeodictyopteroidea)[7][편집]


  • 고망시목 (Palaeodictyoptera)
  • †아르코도나타(Archodonata)
  • †메가세코프테라(Megasecoptera)
  • †디아파노프테로데아(Diaphanopterodea)
  • †페르모테미스티다(Permothemistida)

3.2.2. 신시하강(Neoptera)[편집]



3.2.2.1. 외시류 (Exopterygota)[편집]



3.2.2.1.1. 메뚜기계열(Polyneoptera)[편집]


3.2.2.1.1.1. †옛메뚜기목(Protorthoptera)[8][편집]


3.2.2.1.1.2. 강도래목(Plecoptera)[편집]


3.2.2.1.1.3. 흰개미붙이목(Embioptera)[편집]


3.2.2.1.1.4. 민벌레목(Zoraptera)[편집]


3.2.2.1.1.5. 집게벌레목(Dermaptera)[편집]


3.2.2.1.1.6. 귀뚜라미붙이목(Notoptera)[편집]


3.2.2.1.1.7. 메뚜기목(Ortho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메뚜기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칼로네우로데아(Caloneurodea)
  • 티타노프테라(Titanoptera)[11]

3.2.2.1.1.8. 대벌레목(Phasmatodea)[편집]


3.2.2.1.1.9. 망시류[12]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망시상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1.2. 노린재계열(Paraneoptera)[13][편집]


3.2.2.1.2.1. 다듬이벌레목(Psocodea)[편집]


3.2.2.1.2.2. 총채벌레목(Thysanoptera)[편집]


3.2.2.1.2.3. 노린재목(Hemi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노린재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2. 내시류(Endopterygota, Holometabola)[편집]


  • †Miomoptera[14]
  • 알스로포즈


3.2.2.2.1. 부채벌레목(Strepsiptera)[편집]


3.2.2.2.2. 풀잠자리목(Neuro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풀잠자리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2.3. 약대벌레목(Raphidioptera)[편집]

성충은 소형 내지 대형의 크기로 뱀잠자리와 유사하나 뒷머리가 길어 목처럼 보이는 점으로 구별된다. 머리는 긴 편이고, 입은 저작형이다. 더듬이는 사상이고, 여러 마디이며 매우 길다. 겹눈은 돌출하였고, 항상 있다. 홑눈은 약대벌레과에만 있다. 가슴의 앞가슴은 가늘고, 날개는 앞․뒷날개의 맥상은 동일하며, 기능적인 막질의 날개가 있다. 많은 횡맥과 연문이 있다. 뒷날개는 작다. 성충의 모양은 사마귀붙이과와 비슷하나, 다리는 앞다리, 가운데다리와 뒷다리는 거의 같은 크기로 차이가 별로 없는 점이 다르다. 배는 매우 연하다. 가시복절은 10마디이며, 미모는 없고, 암컷은 긴털 모양의 긴 산란관이 있어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나무껍질 틈에 산란한다.

유충은 육상생활을 하며, 길고, 입은 전구식이며, 저작형이다. 옆낱눈이 있다. 가슴에 있는 다리는 모두 동일하다. 복부에는 부속지가 없다. 유충은 진딧물이나 나비류의 유충을 먹고, 성충은 포식성이나 작은 먹이만을 취한다. 번데기는 저작형 턱을 가지고 있으며, 나용이고 성충과 비슷하게 생겼다.

전 세계에 약 100종이, 호주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볼 수 있다.


3.2.2.2.4. 뱀잠자리목(Megaloptera)[편집]


3.2.2.2.5. 딱정벌레목(Coleo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딱정벌레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2.6. 벌목(Hymeno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벌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2.7. 밑들이목(Mecoptera)[편집]


3.2.2.2.8. 벼룩목(Siphonaptera)[편집]


3.2.2.2.9. †원시파리목(Protodiptera)[편집]


3.2.2.2.10. 파리목(Di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파리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2.11. †타라코프테라목(Tarachoptera)[편집]


3.2.2.2.12. 날도래목(Trichoptera)[편집]


3.2.2.2.13. 나비목(Lepidoptera)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나비목 생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불분명(Incertae sedis)[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2:40:48에 나무위키 곤충강 생물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멸종된 고시하강 분류군으로, 분류군명의 뜻은 오래된 그물 날개라는 뜻이며 옛망시목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신기하게도 앞가슴 양 옆으로 작은 날개막이 달려있으며 다른 고시하강처럼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행글라이더같은 활강비행을 했다. 약충은 다른 고시하강과는 달리 육상생활을 했으며 성충 약충 모두 식식성이었다고(노린재와 같은 구기를 지녔다). 신시하강의 곤충들이 나타나면서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으며 페름기 대멸종 때 완전히 멸종했다. 학명에 Dictyoptera가 들어가지만 현대의 망시목과는 관련이 없다. 망시목은 신시하강이다.[2] 멸종한 원시 신시하강 곤충. 옛바퀴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메뚜기목의 조상이다. 하지만 생김새는 아주 다르다.[3] Dictyoptera를 상목으로, 바퀴목/사마귀목/흰개미목을 독립된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통합해 딕티오프레타를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4] 준신시류(準新翅類)라고도 한다.[5] Calopteryx atrata의 학명이명[6] 유전자분석 결과 일본및 동남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꼬마잠자리와 다른종으로 밝혀져 한국꼬마잠자리라는 새로운 이름과 학명을 얻고,신종으로 등재되었다.[7] 멸종된 고시하강 분류군으로, 분류군명의 뜻은 오래된 그물 날개라는 뜻이며 옛망시목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신기하게도 앞가슴 양 옆으로 작은 날개막이 달려있으며 다른 고시하강처럼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행글라이더같은 활강비행을 했다. 약충은 다른 고시하강과는 달리 육상생활을 했으며 성충 약충 모두 식식성이었다고(노린재와 같은 구기를 지녔다). 신시하강의 곤충들이 나타나면서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으며 페름기 대멸종 때 완전히 멸종했다. 학명에 Dictyoptera가 들어가지만 현대의 망시목과는 관련이 없다. 망시목은 신시하강이다.[8] 멸종한 원시 신시하강 곤충. 옛바퀴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메뚜기목의 조상이다. 하지만 생김새는 아주 다르다.[9] 종명은 국립생물자원관 김태우 연구사의 이름을 기린 것이다.[10] 속명은 생물학자 남궁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11] 트라이아스기에만 출현했던 곤충으로, 신시하강의 곤충 중에서 가장 커다란 크기를 자랑했다. 메뚜기목, 대벌레목과 근연이다.[12] Dictyoptera를 상목으로, 바퀴목/사마귀목/흰개미목을 독립된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통합해 딕티오프레타를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13] 준신시류(準新翅類)라고도 한다.[14] 멸종한 원시내시류 곤충. 석탄기 중반부터 페름기까지 생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