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사(인터넷 방송인)/콘텐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과로사(인터넷 방송인)




1. 개요[편집]


인터넷 방송인 과로사의 콘텐츠를 정리한 문서.

엔딩이 없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각종 리듬 게임을 기본 콘텐츠 겸 1부로 두고 GTA 스토리모드 같이 엔딩이 있는 게임은 2부로 놓고 진행한다. 따라서 2부는 엔딩을 보는 즉시 다른 게임으로 갈아탄다.


2.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과로사의 주 콘텐츠. 주 라인은 미드이며, 트위스티드 페이트, 탈론을 주로 사용한다. 판테온, 제드도 플레이하는 경우가 있으나, 제드의 경우 실력이 영 좋지 못해 과드라고 불리면서 놀림받는다. 가끔 정글을 갈 때도 있는데, 정글 라인에서는 판테온, 녹턴, 에코 등을 사용한다.

최고 점수는 마스터 200점으로 현재 본계정은 다이아몬드 2티어, 부계정은 다이아몬드 4티어이며, 연습과 방송용으로 부계정을 주로 플레이하고 있다. 부계정은 다이아몬드 3~4티어 구간에서 쩔쩔매고 있는데, 방송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가 원인이다. 사실 애니 노래, 쿠란 낭송, 심지어는 미국 국가 등 쏟아지는 링크들을 게임 도중에 틀어 줘야 하고, 본인의 취향에 안 맞는 노래를 들으면서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플레이하는게 더 신기하다. 시청자들 역시 쩔쩔매는 장면에 열광하며 꾸준히 도네이션과 채팅으로 훼방을 놓는다.

롤을 시작한 시기는 시즌 2로, 게임 친구들이 롤을 시작하여 과로사도 시작했다고 한다.[1] 처음 주력 챔프로 피들스틱을 선택했는데 이유는 자신과 닮았고 자신이 존경하는 용개(와우저)를 닮은 노상강도 피들스틱 스킨 때문이었다고 한다.[2] 이후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자신의 성향과 맞아 주력 챔프를 트위스티드 페이트로 바꿨다.

도로사, 과파 소리를 들을 정도의 트위스티드 페이트 장인이지만 트위스티드 페이트에 질려서 최근 주 챔피언은 탈론. 특유의 아크로바틱 플레이를 활용해 게임을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탈론이 밴당하면 라이즈를 플레이한다. 그러나 최근 반복되는 연패 흐름으로 인해 부계정에서는 절대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안 하겠다는 강한 똥고집을 꺾고, 오랜 세월 함께 해 온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사용했다. 트위스티드 페이트 사용 시 AD 트위스티드 페이트 위주로 쓸 것이라 발언했다. 과로사가 탈론을 하는 이유는 참수칼로 한방에 죽이는게 재밌고, 한 챔피언만 파는 성향[3]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4]

최근에 와서는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다시 사용하고 있으며 99게임 승률 64퍼 KDA 4.83으로 엄청난 피지컬을 보여주고 있고 최근 트위스티드 페이트로 솔랭 11연승을 달성했다.

가끔 한타 중에 먼저 짤리면 속사포로 한타 상황을 중계해주기도 한다[5], 과로사의 계정을 보면 시즌 3 기록이 없는데 집안 사정이 어려워지자 해선 안되는 행동을 했다가 적발되어 한 시즌 정지를 당했다고 한다. 7년째 다이아몬드에 그친 이유는 타 게임 다크 게이머에 열중하느라 랭크 유지만 해서 그렇다고.

11월 방송 복귀 이후에는 챔피언 폭을 넓히기 위해 부계정으로 여러 챔피언들을 연습하기 시작했다.

2020년 3월부터는 탈론의 너프와 동시에 트위스티드 페이트의 상향으로 인해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더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담으로 스킨중에 펄스 건 스킨을 자주 착용하는데, 이 스킨의 일러스트가 묘하게 과로사를 닮았다.

2021 프리시즌 현재는 챔프폭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챔피언을 연습하고 있다. 특히 빅토르, 럼블을 자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년 중순 이후 사실상 롤을 접었다가 2022년 초에 복귀했다.

2023년에는 리메이크된 아우렐리온 솔을 잘 고르기 시작했는데, 본인 말에 따르면 어쨌든 후반까지만 가면 다 터뜨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아직 다이아인데 남동생은 마스터 등반, 여동생은 프로게이머 시작으로 멘탈이 많이 쪼개져 있는 게 특징

현재는 롤에 대한 흥미가 많이 떨어진 상황이라 종합게임 위주로 플레이 하고 있다.

2.1. 자낳대[편집]


2020년 6월 8일, 인벤을 통해 2020 AMD 자낳대 시즌 1에 미드라이너로 참여하는 것이 공지되었다.

파일:NDS_logo.png {{{#ffffff NDS (네 다음 씹덕)
파일:TOP_icon_white.png
TOP
파일:JGL_icon_white.png
JGL
파일:MID_icon_white.png
MID
파일:ADC_icon_white.png
BOT
파일:SUP_icon_white.png
SUP
박옥자누나

NDS 김나영

스나랑

NDS 나랑이

과로사

NDS 과로사

따효니

NDS 따효니

루다님

NDS 이루아

Coach
인간젤리(메인/바텀), 소우릎(탑), 빵재애오(정글), 장경환(미드), 임두성(원딜)


6월 15일, 경매를 통해 팀 구성원이 확정되었다. 이날 과로사는 정글러 최대 매물 스나랑에 905P를 베팅하여 팀 정글러로 합류시켰다. 본선에서 동생인 순당무 팀을 상대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자세한 내용은 2020 AMD 자낳대 시즌 1 참고.

파일:갱식당.png {{{#ffffff 갱식당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한동숙

웨이터 한동숙

남봉

메이드 김남봉

과로사

주방장 과로사

스나랑

숟가락 스나랑

박잔디

젓가락 박잔디

감독
갱맘

매니저 깽마미

코치
피글렛바텀


2021년 5월 24일, 2021 자낳대 시즌 2에서 갱맘 팀 미드라이너로 낙찰되었다. 전 대회 동료였던 스나랑과 다시 같은 팀이 되었다.

2.2. 그 외[편집]


{{{#ffffff 백설양 팀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UP
큐베

직장인 큐베

발칸최현진

빌어먹을세상스팔

과로사

길쭉한털쟁이오이

백설양

하늘의제왕백설이

인간젤리

젤지컬




3. 리듬 게임[편집]


  • 세탁기팔괘장maimai 시리즈[6]
  • 사운드 볼텍스: 과거 사운드 볼텍스 갤러리에서 활동한 이력도 있다. 그것도 IV 시절에만 몇천 코인을 투입한 하드 유저. 인터넷 방송으로 뜨고 난 이후에도 가끔 출현한다. 2020년 5월에 폭룡천을 달성했다. 2022년 11월에 임페리얼을 달성했다.
  • beatmania IIDX: 라이트닝 기체 이용. 싱글 7단을 못따는 사파리 난민이었으나# 2019년 10월 23일 새벽에 마침내 난민을 탈출하고 7단을 따는 데 성공했다. 그러고서 2019년 11월 19일 밤에 8단을 따는 데 성공했다. 이후 2021년 3월에 9단을 따는데 성공하며 2021년 5월 3일에 10단을 따는데 성공했다. 이후 2021년 8월 28일에 중전을 따는데 성공했다.
  • 팝픈뮤직: 2020년 후반기 들어오면서 주력으로 시작한 게임이다.
  • GITADORA 기타프릭스: 2023년에 시작한 게임이다.
  • 2~3년 전에는 osu!도 자주 플레이했었으나[7] 요즘은 잘 하지 않는다고 한다.

본인의 평가로는 중수 정도의 실력이다. 본가인 평택시에는 큰 오락실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부천시에 가서 방송을 하고 있다. 주로 부천 어택에서 방송 중. 부천 P2존에는 방송 컴퓨터를 기부한 바 있지만 사볼에 현타가 오고 어택에는 투덱 라이트닝 기체가 2대나 있는데다 기타도라 기체도 개수가 더 많아서 어택만 간다. 본가와 오락실 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아예 부천 쪽에 집을 하나 마련했다.

한때에는 방송을 등한시할 정도로 굉장한 폐인이였으나, 어느 한 팟수와의 약속 이후 마음을 고쳐먹고 곡이 전부 해금되어 있었던 e-amusement pass를 잘랐다. 그러나 현재 데이터 자체는 전부 복구된 상태. 새로 산 두 번째 이어뮤마저 잃어버려서 당황하던 중 우연찮게 e-amusement에 백업해둔 데이터가 있던 걸 확인해서 옮겼다고 한다. 아직도 리듬 게임을 즐겨하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취미 수준으로 보인다. 적어도 방송에 지장이 갈 정도로 하지는 않기 때문. 오히려 최근 리듬 게이머들이 늘어나 리겜 야방을 원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방송으로 번 돈을 어택에 쏟아 부음에 따라 본래도 대형 오락실이였던 곳이 수많은 방송장비와 기기들이 들어서게 되었고 아예 과로사의 아빠도 어택 오락실 근처에 식당을 냈다.

어택이 임시 휴업에 들어가면서 다시 피투존에서 방송하고 있다.

현재는 주로 부계정에서 비마니 리듬게임 방송을 하고 있다.

4. Grand Theft Auto V[편집]


뭘 영정 도전이야 이 tlqkf

카카오TV 에서 트위치TV로 넘어가기 직전에 플레이하기 시작. 많은 시청자들이 플레이 하기를 원했던 게임이다. 게임 자체가 자유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지나가는 행인을 죽인다던지 차를 뺏는다던지 과로사가 플레이하면서 리액션 하기 아주 좋은 게임이고 컨셉도 잘 맞아 떨어져 대다수의 시청자들이 Grand Theft Auto V 콘텐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GTA 하면 영정 먹는다는 과로사 또한 플레이 중에는 19금을 걸고 게임에 몰입하며 자신이 마치 게임의 주인공이 된 것처럼 게임을 하이텐션으로 플레이한다. 압둘 알리의 자아는 어디 못가는지 차로 이동할 때 시민을 친다던가, 뛰어난 에임으로 시민을 총으로 사살한다던가 미션에서 적들을 과녁 취급하며 몰살시킨 뒤 다시 정신차리면서 "제가 안 그랬어요. 압둘알리가 그랬어요"라고 변명 아닌 변명을 한다. 이런 플레이 스타일 때문에 별이 오르는 상황은 일상다반사. 여기서 전윅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엔딩은 제 3의 길 루트로 진행했으며(해피엔딩), Grand Theft Auto Online은 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여담으로 주인공들의 능력을 한 번도 쓰지 않고 깼다. 또한 강제적으로 몇몇 무기들을 써야할 상황을 빼면 거의 대다수의 미션을 오직 피스톨과 RPG만 써서 클리어했다.

5.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편집]


2019년 8월 부터 시작한 콘텐츠다. 일명 파키로. 당연히 온갖 참수 드립이 난무했다. 초회차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보스를 5트 안에 끝장내는 수준급의 실력을 보여주었는데, 리듬게임으로 다져진 박자감 + 이전에 더 어려운 프롬 게임들을 겪어본 경험이 있어서 그런듯. 그러나 원망의 오니 같은 역대급 보스들은 상당히 힘겨워했다.

엔딩은 불사끊기 루트로 갔으며, 다른 엔딩을 보러 2회차를 할 생각은 없다고 한다.

6.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편집]


2019년 11월부터 시작한 콘텐츠다.

7. 레드 데드 리뎀션 2[편집]


2019년 12월 부터 시작한 콘텐츠다.

8. Escape from Tarkov[편집]


2020년 2월부터 시작했으며 3월 기준 롤과 함께 주 콘텐츠이다.

9. 마인크래프트[편집]


응애의 숲으로 불리며 주로 삼남매 합방용으로 플레이한다.
'응애'와 '맘마'가 확산되기 시작한 콘텐츠다.

10. 먹방[편집]



10.1. 리얼 파키 식당[편집]


유튜브에 올라오는 콘텐츠로 과로사의 먹방을 볼 수 있다.
평소에 소식을 해서 그런지 식사의 절반도 채 먹지 못하고 남긴다. 미션을 받으면 억지로 먹으며 '님들 저 X됐어요'를 외친다.


10.2. 찌워야 산다[편집]


1편
2편
3편
4편
체중 증량을 위해 만들어진 유튜브 콘텐츠이다. 리얼 파키 식당과 마찬가지로 과로사의 먹방을 볼 수있다.
여담으로 해당 콘텐츠에서 말하길 본인은 살이 찌는게 아니라 빠지는 요요현상이 찾아왔다고...


11. 성내동 1번지[편집]





공혁준 문서의 3.2.12.1 문단 참조.


12. They Are Billions[편집]


게임 자체는 그 이전부터 시작해왔으며 2020년 12월 말부터 900% 난이도 n일차 클리어 여부로 베팅 결과를 결정하는 포인트 도박장이라는 이름으로 생방송에서 열고있다. 포인트 베팅으로 인해 포인트를 얻는 시청자와 잃는 시청자들의 반응이 일품. 덕분에 포인트를 더 많이 얻기 위해 구독까지 하면서 진짜 돈을 쏟아붓는 시청자들이 있다 리겜방송으로 포인트를 모으는 사람들은 덤

13. 썸썸 편의점[편집]


그 시청자에 그 스트리머

2021년 1월 8일에 7시간 켠왕으로 시작하였다. 히로인은 방예나 루트로 플레이하였다.
방송 중 채팅창에 온갖 섹드립으로 도배되어 유튜브에 편집영상 올라가기가 매우 힘들것으로 보인다(...)

https://goarosa.live/watch?index=147&title=%EC%8D%B8%EC%8D%B8%ED%8E%B8%EC%9D%98%EC%A0%90. 다시보기로 그 때의 광기를 체험해볼 수 있다.게임은 15세 이용가인데 방송은 19금

14. 스타크래프트[편집]


2021년 6월부터 시작한 콘텐츠로 처음 하자마자 이렇게 재미있는 걸 니들끼리만 했냐며 14시간 연속으로 플레이했다. 주 종족은 저그. 다른 게임 하던 실력이 어디 안 갔는지 기초적인 컨트롤은 잡혀있는 모습이다.

14.1. 스낳대[편집]


테사기 (철면수심 팀)
그룹
A조
B조
C조
D조
종족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파일:저그아이콘.png
파일:저그아이콘.png
팀원
철면수심
피닉스박
과로사
한동숙
코치
갓보기(A조, D조), 도파(B조), 토스봇[1](B조), 박성준(C조)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각주]





15. 꾼: 부채 탕감의 방[편집]


샌드박스 네트워크가 제작하고 과로사의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된 웹예능 형식의 콘텐츠. 과로사, 김캐리, 원썬, 하창봉이 출연했다.

'카이지의 실사판을 과로사의 인생으로 만들어보자'는 기획 의도로 제작되었으며, 거액의 빚을 지고 있는 과로사가 다른 참가자들과 2박 3일간 게임을 통해 상금을 획득하는 형식의 콘텐츠이다.

결과적으로는 제대로 망한 컨텐츠로 평소 유튜브에 올리던 동영상보다 조회수나 평가나 모두 하락했으며, 빚을 청산하겠다던 과로사는 오히려 더 큰 빚이 생겼다.

이 컨텐츠가 실패하는데 이바지한 원인들로는 과로사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포커스를 맞췄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제대로 띄워주지 못한 채 불리한 악조건만 가득했던 점[8], 부족한 플레이어들의 리액션, 룰을 설명하는 도티와 게임을 진행하는 딜러의 몰입을 해치는 목소리톤[9], 김캐리의 부족한 집중력, 편집의 미숙으로 중간중간 게임 상황을 알기가 힘든 점 등이 꼽힌다. 샌드박스 측에서도 댓글 반응을 의식했는지 두번째 게임 설명부터 도티의 목소리를 빼고, 3화부터 참가자들의 속마음을 알 수 있는 인터뷰를 삽입하는 등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긴 했다.

마지막화 종반부에서 3,400만 원의 빚이 더 생긴 과로사가 격분하면서 뛰쳐나가자 '돌발 상황에 제작진도 당황'[10]이라는 자막을 넣고 카메라가 따라가 좌절하고 있는 과로사를 찍는 등 과로사를 이상하게 포장하려는 시도까지 겹쳐져 구독자들은 샌드박스의 능욕이다, 도와주는 척 다가가서는 단물만 다 빨아먹고 버렸다는 등 샌드박스를 향한 거센 비판을 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과로사의 채무가 늘어났다면 도박죄가 성립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과, 청소년들이 주로 보는 채널에서 사실상 도박을 주제로 한 컨텐츠를 기획한 샌드박스에 대한 우려가 상당수 존재한다.

모든 게임이 종료된 후 누군가 과로사에게 전화를 걸어 3,400만 원의 새로운 빚을 갚을 수 있는 방법을 들어보겠냐고 말하면서 차후 시즌 2 또는 새로운 콘텐츠를 예고하는 떡밥을 던졌지만 기대된다는 반응은 눈꼽만큼도 찾아볼수 없다. 결국 까놓고 보면 유사 머니게임도 아니고 그냥 샌드박스가 깔아둔 드라마판에 불과한 것이다. 노골적으로 시즌 2를 암시하는 것 자체가 각본이 있다고 볼 수 밖에..


16. 언더테일[편집]



https://youtu.be/YkqsX_kRA_s?si=qQnRcljsGr3J65KO

17. Project Moon 시리즈[편집]


2023년 7월 26일 시작한 Lobotomy Corporation 방송부터 8월 29일 시작한 Library of Ruina, 10월 16일에 시작한 Limbus Company까지 프로젝트 문 게임을 차례대로 도장깨기하듯 플레이하는 중이다.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스토리에 큰 흥미를 느껴 세계관에 제대로 몰입하고 자신만의 해석을 내놓는 모습을 보이며 프로젝트문 인방 마이너 갤러리에서도 큰 호응과 인기를 받고 있다.
[1] 북미 서버 유저였고 배치 결과는 브론즈였다고한다.[2] 용개가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하는 것도 모두 챙겨보는 수준이었다고 한다.[3] 노가다, 끈기, 근성 등 다크 게이머의 일반적 성향.[4] 시즌 2에는 피들스틱을, 이후로는 트위스티드 페이트, 그리고 현재는 탈론으로 이어진다.[5] 중계중에 "보여주는 부분이죠"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6] 과로사의 패러디가 들어가 있는 Rush-More가 수록되면서 간접적으로 출연하게 되었다![7] 타블렛 유저였다.[8] 특히 과로사 혼자 특별 정산 규칙이라고 붙은 추가 룰이 있었는데, 그 내용이 실로 어이없는게, 정산시 400개의 코인을 획득한 경우 천만 원을 추가로 지급받지만, 자신이 원래 가지고 있던 100개 미만일 경우 잃은 코인 1개당 50만원의 벌금이라는 룰이었다. 딱 봐도 리스크는 터무니 없이 높은 주제에 리턴은 쥐꼬리만해서 아무리 생각 없는 사람이라도 받아들일 리가 없는 하이리스크 로우리턴 룰이라 억지로 룰을 강요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올정도로 말도 안되는 룰이었다.[9] 도티의 이미지와 목소리는 꾼의 어두운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았고, 딜러의 목소리는 보통 차분하고 낮은 목소리로 진행하는 유사 장르의 컨텐츠와 달리 경박하게도 느껴질 수 있는 가늘고 얇은 목소리였다.[10] 도대체 누가 빚을 갚기 위해 참가한 게임에서 오히려 빚이 두 배로 불어난 상황에 격한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심지어 이 상황은 타 참가자와 달리 과로사에게만 하이퍼리스크 로우리턴의 조건을 특수 룰이랍시고 붙여 과로사가 심리적인 부담감을 안게 된 결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5:29:59에 나무위키 과로사(인터넷 방송인)/콘텐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