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7000계 전동차(1962년)

덤프버전 : r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운행이 중단되어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1]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차량이 폐차될 경우 틀을 교체해주시고, 차량이 재운행 될 경우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1] 7500계, 신 7000계 제외.

파일:Tokyu-7052.jpg

보존중인 데하7052

1. 제원
2. 개요
3. 분류
3.1. 7000계
3.2. 7200계
3.3. 7500계
3.4. 7600계
3.5. 7700계
3.6. 신 7000계
4. 관련 문서


1. 제원[편집]


東急(とうきゅう7000(ななせん(けい電車(でんしゃ
東急(とうきゅう7500(ななせんごひゃっ(けい電車(でんしゃ
東急(とうきゅう7600(ななせんろっぴゃく(けい電車(でんしゃ
東急(とうきゅう7700(ななせんななひゃく(けい電車(でんしゃ

열차 형식통근형 전동차
급전 방식직류 1500V
영업최고속도(7000계)90km/h
영업최고속도(7600계 · 7700계)85km/h(이케가미선)
80km/h(타마가와선)
설계최고속도110km/h(7000계 · 7600계)
120km/h(7500계 · 7700계)
기동가속도4.0km/h/s(7000계)
3.3km/h/s(7500계)
3.2km/h/s(7600계)
3.0km/h/s(7700계)
신호 방식에이단형 WS-ATC, 도큐형 ATS(7000계)
ATC-P, 도큐형 ATC, 도큐형 ATS(7500계)
도큐형 ATS, TASC(7600계 · 7700계)
제작 회사도큐차량제조
도입연도1962년 ~ 1966년(7000계)
2012년(7500계)
1986년 ~ 1990년(7600계)
1987년 ~ 1991년(7700계)
제어방식저항제어
GTO-VVVF 인버터 제어(7600계 · 7700계[2])
IGBT-VVVF 인버터 제어(7500계 · 7700계[3])
구동장치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중실축 평행카르단 TD피팅식(7500계)
운행노선(과거)[4]도큐 도요코선,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직통운행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오이마치선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타마가와선, 도큐 코도모노쿠니선
운행노선(7500계)도큐 도요코선, 도큐 메구로선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오이마치선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타마가와선
도큐 코도모노쿠니선, 미나토미라이선


2. 개요[편집]


도큐 전철에서 각 노선 투입용으로 제조한 차량이다. 일본 최초 올 스테인리스 차체 철도차량이라는 의의가 있다. [5]


3. 분류[편집]




3.1. 7000계[편집]


파일:Tokyu-7057F.jpg
1962년 최초로 제조된 차량이며,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직통용으로 만들어진 번대이자, 일본 최초이자 간토지역 사철 최초의 올(ALL) 스테인리스 전동차다.[6]
제조 당초 히비야선 직통용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도큐 도요코선, 도쿄메트로 히비야선에서 운행하였다. 히비야선이 한동안 18m가 된 진정한 주범이 이 열차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80년대부터 차량의 노후화로 인하여, 이 차량은 도큐 1000계 전동차에게 쫓겨나 1987년부터 7700계 VVVF로 마개조(...)되었고 지선 노선으로 운행했으며, 2018년에 완전히 퇴역하였다.

3.2. 7200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큐 7200계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7500계[편집]


파일:TOQ-i.jpg
다른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도큐 각 노선에서 운행하였으나 다른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폐차될 뻔 했는데 도큐에서 이 차량을 가지고 검측용 차량을 만들어서 현재도 도큐 각 노선을 잘도 뛰어놀고 있는 중이다.

검측용 차량(TOQ i). 사철중 도큐에선 기관차 역할도 하고 있다.[7]
열차가 고장나서 역행불가시 긴급으로와서 연결해서 기지까지 회송하거나, JR 화물의 의해 갑종회송해서 온 발주한 열차가 도착지에 도착하기 전 대기하고있다 구원대상 열차가 도착하면 연결해서 기지로 회송한다.
본 계열 시리즈 중 유일한 현역이다. 그런데 신차처럼 보이는건 뭐지

3.4. 7600계[편집]


파일:Tokyu-7653F.jpg
이 차량은 전면부가 칼로 자른 듯이 편평한 다른 번대와는 달리 오히려 전두부가 7200계차체를 재활용했다.
이 차량도 본 문서의 다른 차량들처럼 잘 다니다가 다른차량들처럼 쓰레기통 노선으로 이적되었으나 다른 차량들처럼 폐차....


3.5. 7700계[편집]


파일:Tokyu-7903F.jpg
아오 무슨 형식이 이렇게 많아
히비야선 직통용으로 만들어진 난카이 전기철도도 울고갈 7000계의 차체를 재활용하여 도큐의 쓰레기통이 되다시피 한 도큐 이케가미선도큐 타마가와선에 투입하기버리기위해 VVVF 인버터제어로 개조된 차량이다.
지금까지 서술한 7000계 계열의 차량들중에서는 그나마 신차인지라 이케가미선과 타마가와선의 터줏대감 노릇을 하게 될 줄 알았으나...
도큐 신 7000계도큐 1000계 전동차의 이적으로 나가리 확정(...)
지금은 요로 철도 요로선으로 이적한 상태이다. 구 킨테츠 노선인지라 킨키 일본 철도 전산망에 등록되어 있는데 편성기호는 도큐 전철의 약칭인 TQ이다.


3.6. 신 7000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큐 7000계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도큐 7000계 전동차 문서의 r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도큐 7000계 전동차 문서의 r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2 10:57:14에 나무위키 도큐 7000계 전동차(1962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 7901F ~ 7914F[3] 7915F[4] 7500계 제외.[5] 한국에서는 1993년에 제작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최초 올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1세대)는 엄밀히 말하면 다른 부분은 모두 스테인리스이나 언더 프레임만은 철제로 세미 스테인리스 차량이다.[6] 그 이전에 도큐 5200계 전동차영단 3000계 전동차 등이 있었지만 골조가 강철구조다. 일본 위키백과를 비롯한 일본 사이트들에서는 스킨 스테인리스나 세미 스테인리스 차체라고 부른다.[7] 메이테츠는 사철 소유 기관차의 원조로 전기기관차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