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7200계 전동차
(♥ 0)
||
1967년 3월 27일부터 1976년까지 도입된 차량.
노면전차 노선인 세타가야선을 제외한 당시 운행하던 도큐의 거의 모든 노선에 반입된 차량이다.
도큐 7000계 전동차는 일본 최초의 올(All) 스테인리스 전동차라는 철도사적 의의가 있다.[3] 하지만 역간거리가 짧은 도시철도 입선용으로 제작되었기에 높은 가감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국유철도의 101계 전동차처럼 전 차량이 동력차로 제작되어 제작 및 유지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차량을 지하철에 입선하지 않는 운행 계통에 사용하는 것은 낭비였기에, 101계 전동차의 후신인 103계 전동차처럼 적당한 가감속도를 내는 전동차인 7200계 전동차가 개발되었다.
나름 이 차를 가지고 이런저런 시도를 많이 해 봤는데, 그 중 하나가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 → 사업용차량이다. 아예 신조한 물건.
처음에는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량으로, 덴엔토시선과 도요코선을 경유하는 코도모노쿠니선 셔틀으로 굴렸다가 (1980 ~ 1989) , 이후 뜬금 없이 사업용으로 개조되어 3량으로 뽈뽈뽈 돌아다니게 되었다.
이후 2012년에 도큐 7500계 전동차가 제작되면서 운행을 종료했고, 2013년 11월 10일 토도로키 육상 경기장에서 전시된 후 폐차가 시작, 2014년 9월에 폐차가 완료되었다.
2000년 8월 4일 통상 영업운전을 종료하였고, 동년 11월 12일 종운식을 했다.
그리고 도큐는 늘 그랬듯이 다른 회사들에게 팔았다.
1. 개요[편집]
1967년 3월 27일부터 1976년까지 도입된 차량.
노면전차 노선인 세타가야선을 제외한 당시 운행하던 도큐의 거의 모든 노선에 반입된 차량이다.
도큐 7000계 전동차는 일본 최초의 올(All) 스테인리스 전동차라는 철도사적 의의가 있다.[3] 하지만 역간거리가 짧은 도시철도 입선용으로 제작되었기에 높은 가감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국유철도의 101계 전동차처럼 전 차량이 동력차로 제작되어 제작 및 유지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차량을 지하철에 입선하지 않는 운행 계통에 사용하는 것은 낭비였기에, 101계 전동차의 후신인 103계 전동차처럼 적당한 가감속도를 내는 전동차인 7200계 전동차가 개발되었다.
2. 사업용 차량으로의 개조[편집]
나름 이 차를 가지고 이런저런 시도를 많이 해 봤는데, 그 중 하나가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 → 사업용차량이다. 아예 신조한 물건.
처음에는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량으로, 덴엔토시선과 도요코선을 경유하는 코도모노쿠니선 셔틀으로 굴렸다가 (1980 ~ 1989) , 이후 뜬금 없이 사업용으로 개조되어 3량으로 뽈뽈뽈 돌아다니게 되었다.
이후 2012년에 도큐 7500계 전동차가 제작되면서 운행을 종료했고, 2013년 11월 10일 토도로키 육상 경기장에서 전시된 후 폐차가 시작, 2014년 9월에 폐차가 완료되었다.
3. 종운[편집]
2000년 8월 4일 통상 영업운전을 종료하였고, 동년 11월 12일 종운식을 했다.
그리고 도큐는 늘 그랬듯이 다른 회사들에게 팔았다.
4. 관련 문서[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19 09:20:41에 나무위키 도큐 7200계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