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7200계 전동차

(♥ 0)

||
파일:Tokyu-7209F.jpg
외부
차량 정보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2량 1편성
3량 1편성
4량 1편성
6량 1편성
8량 1편성
운행노선도큐 도요코선 /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덴엔토시선 / 도큐 오이마치선
도큐 메카마선[1]
도입시기1967년 ~ 1972년
제작사도큐차량제조
소유기관도큐 전철
운영기관
운행시기1967년 ~ 2000년[2]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궤간1,067㎜
급전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최고속도설계 100㎞/h
영업 100㎞/h
가속도2.5 / 2.8 / 3.2㎞/h/s
감속도상용 3.5km/h/s
비상 4.5km/h/s
전장18,000㎜
전폭2,744mm(선두차)
2,740mm(중간차)
전고4,100㎜
대차축 스프링식 다이렉트 마운트 에어스프링 대차
TS-802·PIII-707형→PIII-708형
차체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1]
동력장치HS-833-Irb형 직류 복권전동기
TDK-841-A1형[2] 직류 복권전동기
동력모터출력 110kw
기어비86:15
제어방식저항제어
구동장치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자직통 공기제동
보안장치ATC-P, 도큐형 ATS

[1] 사업용 차량 한정[2] 도요전기 제조

1. 개요
2. 사업용 차량으로의 개조
3. 종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67년 3월 27일부터 1976년까지 도입된 차량.

노면전차 노선인 세타가야선을 제외한 당시 운행하던 도큐의 거의 모든 노선에 반입된 차량이다.

도큐 7000계 전동차는 일본 최초의 올(All) 스테인리스 전동차라는 철도사적 의의가 있다.[3] 하지만 역간거리가 짧은 도시철도 입선용으로 제작되었기에 높은 가감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국유철도101계 전동차처럼 전 차량이 동력차로 제작되어 제작 및 유지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차량을 지하철에 입선하지 않는 운행 계통에 사용하는 것은 낭비였기에, 101계 전동차의 후신인 103계 전동차처럼 적당한 가감속도를 내는 전동차인 7200계 전동차가 개발되었다.

2. 사업용 차량으로의 개조[편집]


파일:Tokyu-7290F.jpg
나름 이 차를 가지고 이런저런 시도를 많이 해 봤는데, 그 중 하나가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 → 사업용차량이다. 아예 신조한 물건.

처음에는 알루미늄 차체 시험차량으로, 덴엔토시선도요코선을 경유하는 코도모노쿠니선 셔틀으로 굴렸다가 (1980 ~ 1989) , 이후 뜬금 없이 사업용으로 개조되어 3량으로 뽈뽈뽈 돌아다니게 되었다.

이후 2012년에 도큐 7500계 전동차가 제작되면서 운행을 종료했고, 2013년 11월 10일 토도로키 육상 경기장에서 전시된 후 폐차가 시작, 2014년 9월에 폐차가 완료되었다.


3. 종운[편집]


2000년 8월 4일 통상 영업운전을 종료하였고, 동년 11월 12일 종운식을 했다.

그리고 도큐는 늘 그랬듯이 다른 회사들에게 팔았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19 09:20:41에 나무위키 도큐 7200계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노선은 2000년 8월 6일 부로 메구로선타마가와선으로 분리되었다.[2] 사업용 차량은 2012년까지 운행했다.[3] 그 이전에 도입한 도큐 5200계 및 6000계 전동차, 영단 3000계 전동차는 차체가 스테인리스강이지만 골조 재질이 강철이다. 참고로 한국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전동차는 1994년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