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메탈 120mm 활강포

덤프버전 :

파일:M256.png
다이어그램[1]
파일:Rheinmetall_120_mm_gun-inside-muzzle_view.jpg
포신 내부 사진[2]

1. 개요
2. 상세
3. 국가별 파생형/관련 화포
3.1. 44구경장
3.1.1. Rh120/L44
3.1.2. M256
3.1.3. WIA CN03
3.1.4. XM360
3.2. 52구경장
3.3. 55구경장
3.3.1. Rh120/L55
3.3.1.1. Rh120/L55A1
3.4. 구경 확장형
3.4.1. Rh130/L51
4. 국가별 탄약 목록
4.1. 독일
4.2. 대한민국
4.3. 미국
4.4. 이탈리아
4.5. 일본
5. 매체에서의 등장
5.1. 게임



1. 개요[편집]


Rheinmetall 120-mm-Glattrohrkanone (Rh120)
Rheinmetall 120 mm smoothbore gun (Rh120)

1979년에 독일의 라인메탈(Rheinmetall AG) 사가 개발한 120mm 구경의 활강포. 44구경장 120mm 활강포(Rh120 L/44)를 시작으로 냉전기 서방 MBT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전차포이며 현재까지 여러 국가에서 면허 생산되거나 소폭 개량된 경우가 많다.

영국 로열 오드넌스(Royal Ordnance Factories (ROFs), 왕립조병창) 사의 52구경장 105mm L7 강선포의 스테디셀러 자리를 이어받은 후계자라고 할 정도로 현재 러시아를 비롯한 동구권 국가나 중국, 북한 등 소련제 125mm 2A46 활강포를 쓰는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의 주력 전차포로 라인메탈 120mm 활강포 혹은 이를 기반으로 독자 개발하거나 라이센스 생산한 물건이 사용되고 있다.

흔히 '120mm 라인메탈 Rh120 활강포 L/44'로도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Rh120는 '라인메탈 120mm 활강포'라는 뜻을 축약한 것으로 '120mm 라인메탈 활강포 L/44'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2. 상세[편집]


냉전 초기에 등장한 미국제 120mm M1 대공포를 기반으로 하는 전차포, 또는 영국제 120mm L1L11, L30 계열 강선포와는 구경만 같을 뿐 탄약 규격 자체가 다른 물건이다.

NATO 표준인 STANAG 4385에 따르면 회원국 간의 탄약 표준화를 위해 탄약이 120×570mm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영국제 강선포가 아니라면 120mm 활강포용으로 제작된 모든 탄약 호환이 가능하다.[3] 개발 당시 라인메탈은 금속 탄피를 쓸 예정이었지만 이미 그때부터 소진 탄피가 대세가 될 전망[4]이었기 때문에 120mm 주포를 운용하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소진 탄피를 사용한다. 물론 금속 탄피도 원한다면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3. 국가별 파생형/관련 화포[편집]




3.1. 44구경장[편집]




3.1.1. Rh120/L44[편집]


파일:external/www.fprado.com/Rehinmetall-120mmL44.jpg

처음 개발된 버전. 라인메탈에서 1965년부터 개발하여 1979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초중반에 소련에서 115mm 구경의 2A20 활강포로 무장한 T-62가 공개된 이후 서방에서도 전차용 활강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그런데 라인메탈 120mm 활강포의 개발이 끝나고 채택될 시점에는 소련군의 주력 전차포도 125mm 2A46 계열로 바뀌었기 때문에 라인메탈 120mm 활강포의 라이벌은 개발에 영향을 준 115mm 2A20 활강포보다는 125mm 2A46 활강포로 여겨졌다.

냉전기에는 2A46이 조금 더 큰 구경 때문에 위력도 더 강력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냉전이 종식된 이후 세계 곳곳에 풀린 2A46의 탄약이 분리장약식인 2중 구조라서 서방의 포탄보다 철갑탄의 관통자가 짧았기 때문에 신형 포탄 없이는 라인메탈 120mm보다 오히려 위력이 낮았음이 밝혀졌다. 물론 이후 개발된 포신 길이가 늘어난 55구경장 120mm 활강포(Rh120/L55)와 비교해서는 44구경장 버전의 성능이 밀리기는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3세대 주력 전차의 활강포로 44구경장 버전이 운용되고 있다.

레오파르트 2의 주무장으로 처음 탑재되었고, 이외에도 타국에서도 이 활강포의 라이센스를 받거나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체적으로 120mm 활강포를 개발하여 생산한다.

일본에서 개발한 90식 전차의 경우 JSW에서 라인메탈 활강포를 면허 생산한 44구경장 90식 활강포로 무장했다. 1990년에 등장한 이후로 시간이 흘러서 포탄 업그레이드가 전혀 없어왔으나, 2020년대에 들어서 10식 전차와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하는 C1 아리에테 전차의 경우 오토 브레다 사에서 자체 개발하고 생산한 120mm 규격의 활강포로 무장하였는데, 라인메탈의 120mm 활강포와 포탄이 호환된다.

이스라엘의 IMI에서 Rh120의 영향을 받아서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메르카바 전차(Mk.3 이후)에 적용한 IMI 120mm의 경우에도 사실상 대등한 성능이 나온다. 라인메탈제 활강포보다 경량화된 것도 특징이다.

3.1.2. M256[편집]


Rh120/L44를 기반으로 미국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버전. 세계 최강의 MBT로 평가되는 M1 에이브람스(M1A1부터)의 주포로 적용되었다.

M256은 미국에서 라인메탈 120mm L/44 활강포를 라이센스 생산한 버전이 맞긴 하지만, 로열 오드넌스 L7과 L7의 미국 라이센스 생산형인 M68의 관계처럼 원본을 그대로 면허 생산한 것은 아니고 몇가지 개량을 거친 물건이다. M256은 포신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품을 미국제로 사용하고, 주퇴기를 개량하여 라인메탈제 활강포보다 약간 경량화 시키는 등 전부는 아니지만 미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부분들도 들어간다. 그리고 포구 끝에 달린 동적포구감지기가 라인메탈제 활강포와의 차이점이라서 눈으로 잘 보면 금방 구분이 된다.

M256에서 발사되는 M829A4 날탄과 같은 열화우라늄 관통자를 가진 포탄은 KE 기준으로 관통력이 800mm 이상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미제 탄약이 120mm 포탄 중에서도 가장 강한 축에 들어가기는 한다. 미군은 시가전을 대비해서 여전히 44구경장 M256을 고수하고 있는데 M829A4 같은 관통력이 세계 최강인 날탄을 운용하고 있어 굳이 레오파르트 2A6, K-2 흑표와 같이 포신 구경장을 늘릴 필요가 없다고 한다.

M256을 대한민국의 현대위아에서 면허 생산한 KM256이 K1A1 계열 전차의 주포로 장착되었다.

3.1.3. WIA CN03[편집]


국방과학연구소현대위아에서 2003년에 개발한 활강포. K1A1 계열 전차의 KM256 활강포를 대체하기 위해서 개발된 활강포로 K-2 흑표의 주포인 55구경장으로 개발된 CN08의 개발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CN03 활강포는 현재 K1A1의 개량형인 K1A2 전차의 주포로 장착되고 있고 현대위아(WIA)에서 생산하고 있다.


3.1.4. XM360[편집]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20101003306.png
XM360은 FCSM8 뷰포드용으로 개발되던 44구경장 저반동포이나 현재 개선된 XM360E1형은 일반 전차에 탑재하도록 개발 중이다.

반동이 상당히 적어져서 보다 정확한 사격을 가능하게 만들고, 보다 고압의 포탄을 사용해도 차체가 버틸 수 있어서 에이브람스 전차의 개량형인 M1E3에 적용될 수도 있다.


3.1.5. IMI 120mm[편집]


이스라엘의 IMI에서 독자 개발한 44구경장 활강포. 동일한 구경장의 라인메탈 활강포와 동급의 물건이다.


3.2. 52구경장[편집]



3.2.1. GIAT CN120/52[편집]


프랑스의 GIAT 사에서 독자 개발한 52구경장 활강포. CN 120-25와 CN 120-26으로 2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이중에서 CN 120-26 버전이 르클레르 전차의 주포로 사용되고 있다. 이 활강포는 일반적인 44구경장 포와 다르게 발사 가스가 포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배연기 대신에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포연 가스를 방출시키는 메커니즘을 갖췄다는 특징이 있다.


3.3. 55구경장[편집]




3.3.1. Rh120/L55[편집]


파일:Rheinmetallguncomparison.jpg

레오파르트 2A6에서 처음 사용된 포로서 44구경장(120*44=5280)에 비해 55구경장(120*55=6600)으로 포신 길이가 1m 이상 늘어났다. 포신의 길이가 늘어난 만큼 포구 초속도 빨라져서 44구경장과 동일한 탄약으로도 관통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다만 포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서 시가전에서 불리 할 수 있다는 평도 일부 있지만 그만큼 44구경장보다 탄속이 빨라지고 포탄의 관통력이 증가하면서 양산된 전차포 중에서는 최강으로 불릴 만하다. 현재 레오파르트 2A6/2A7의 주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미래에는 120mm 44구경장 활강포와 함께 동구권의 125mm 2A82-1M 같은 일체형 탄약을 쓰는 활강포나 서방권의 130mm 활강포 또는 140mm ~ 152mm 활강포 등 차세대 전차포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서서히 그 왕좌를 내줄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140mm 활강포의 경우 레오파르트 2M1 에이브람스 전차에도 장착되어 테스트를 한 적이 있다.

3.3.1.1. Rh120/L55A1[편집]

기존의 Rh120/L55보다 포신 압력을 높여서 관통력을 20% 향상시킨 개량형. 라인메탈 사에서 개발을 완료하여 레오파르트 2A7+의 주무장으로 장착했다.#


3.3.2. WIA CN08[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WIA 120mm CN08 활강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구경 확장형[편집]



3.4.1. Rh130/L51[편집]


구경이 130mm로 늘어난 신형 활강포.

4. 국가별 탄약 목록[편집]


국가명은 가나다순을 기준으로 한다. 참고로 용어와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은데 APFSDS-T(날개안정분리철갑예광탄), HEAT-MP-T(대전차 다목적 고폭 예광탄), TP-T(대전차 훈련용 예광탄), HE(고폭탄)이다.


4.1. 독일[편집]


텅스텐 탄자를 사용한다. DM-43까지는 120mm 44구경장(레오파르트 2A5 이전)에서 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DM-53부터는 55구경장(레오파르트2A6 및 이후 개량형)에서 주로 쓰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 DM13 APFSDS-T
  • DM23 APFSDS-T
  • DM33(A1) APFSDS-T
  • DM43(A1) APFSDS-T - 독/프 공동개발인 DM43계열 탄약. DM43 기준 탄 총중량 7.3kg에 관통자 중량 4kg, L/44구경장 주포 발사기준 탄속 1740m/s으로, 2km에서 560mm라는 성능을 발휘한다.
  • DM53(A1) APFSDS-T
  • DM63(A1) APFSDS-T

  • DM12(A1) HEAT-MP-T
  • DM11 HE


4.2. 대한민국[편집]


텅스텐 중합금 복합관통자를 사용하며 모든 포탄들은 현재 국군이 운용하는 K1A1 계열 전차의 KM256, CN03 활강포에 사용이 가능하며 K-2 흑표 전차에서 운용 중인 포탄들의 경우 WIA CN08 120mm 활강포를 참고.

  • K276 APFSDS-T 날개안정분리철갑탄
  • K279 APFSDS-T 날개안정분리철갑탄[5]
  • K277 HEAT-MP-T 대전차고폭탄
  • K282 TPCSDS-T 연습예광탄
  • K287 TPCSDS-T 도비방지연습예광탄
  • KSTAM-1 종말유도형 상부 장갑 공격 지능탄[6]
  • KSTAM-2 자탄탑재형 상부 장갑 공격 지능탄


4.3. 미국[편집]


44구경장 120mm M256 활강포를 장착한 M1A1부터 사용하는 포탄 목록이다. 미군 내수용 날탄은 훈련탄인 M865를 제외하고 전부 열화우라늄, 수출용 날탄은 텅스텐 탄자를 사용한다.

  • 미군용
    • M829 APFSDS-T
    • M829A1 APFSDS-T
    • M829A2 APFSDS-T
    • M829A3 APFSDS-T
    • M829A4 APFSDS-T
    • M830 HEAT-MP-T
    • M830A1 HEAT-MP-T
    • M831A1 TP-T
    • M865 TPCSDS-T
    • M908 HE-OR-T
    • M1002 TPMP-T
    • M1028 Canister[7]
    • XM1147 AMP
    • XM943 STAFF[8]



4.4. 이탈리아[편집]


  • CL3143 APFSDS-T - 이스라엘 IMI사의 M322 텅스텐 날탄을 CL3143이라는 이름으로 들여와 운용하고 있다.
  • CL3105 HEAT-MP-T
  • CL3139 TPCSDS-T
  • CL3206 TP-T
  • CL3132 APERS-T


4.5. 일본[편집]


텅스텐 탄자를 사용하고 있다. 90식 전차에서는 독일제 DM-33, DM-12A1, DM-11을 면허생산한 JM-33, JM-12A1, JM-11을 운용하고 있으며 10식 전차에서는 따로 개발된 신형 날탄을 사용한다. 참고로 10식 전차용 날탄은 공식 명칭이 공개되지 않아 가칭 명칭으로 작성하였다.

  • JM-33 APFSDS-T
  • 10식 신형 날탄 APFSDS-T[9]
  • JM-12A1 HEAT-MP-T
  • JM-11 HE


5.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5.1. 게임[편집]


독일 레오파르트 2K, 일본 90식 전차 추가를 시작으로 현재는 서방권 전 국가(미국, 독일,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스웨덴) 지상군의 탑랭 MBT 표준 주포로 쓰이고 있다. Rh120 기반 활강포를 쓰지 않는 국가는 125mm 2A46 계열 활강포를 쓰는 소련이나 중국, 120mm 강선포를 고수하는 영국 뿐이다. 현 서방 MBT 표준 주포답게 게임에서 등장하는 모든 활강포 중에서 화력은 출중하나 사용 탄종이 한정되어 고폭탄이나 ATGM을 쓰는 125mm 활강포보다는 다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사실상 대전차용 주력 포탄은 날탄이라 이로 인한 불공평 문제는 없다.
그리고 날대탄의 경우 든든한 복합장갑이나 반응장갑을 두르고 있는 MBT들을 상대로는 아주 제한적인 구역(이상적인 착탄각을 포함한)정도만 관통할 수 있는데 특정 몇몇 전차들은 기본으로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은 날탄을 기본탄으로 지급했고 몇몇전차들은 날대탄과 날탄 한 종류씩만 지급해서 기본탄으로 날대탄을 사용하게 했었다.
이런 불공평한 기본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저들이 전 국가 모두 기본탄을 날탄으로 해주면 안 되겠냐고 건의를 해본 결과, 날대탄을 사용하지 않는 영국 챌린저와 스웨덴 Strv 122 계열을 제외한 전 국가 상위랭크 MBT들의 기본탄이 날대탄으로 바뀌게 되면서 두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 모두 공평하게 스톡 날대탄 지옥을 맛보게 되었다.[10]

워썬더와 비슷하게 독일의 레오파르트 2 계열, 일본의 90식 전차, 한국의 K1A1, 미국의 M1A1 등의 여러 국가 MBT의 표준 주포로 쓰이고 있으며 구축전차(TD)나 경전차 등에서도 저반동포로 장착하여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아머드 워페어에서 등장하는 120mm 활강포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44구경장의 경우 일반적으로 빠르면 6티어, 보통 7~9티어 구간에서 보이며 55구경장의 경우 9~10티어에서 주로 사용한다.

서방 진영 전차의 주무장으로 등장한다. 밸런스 때문에 T-62가 M829A4를 3-4발 쳐맞고도 버틴다. 애당초 이 게임 기갑시스템은 철저한 밸런스 중심이기 때문에..

[1] 그림은 미국 라이센스 생산 버전인 M256이다.[2] 사진은 오스트리아군 소속 레오파르트 2A4의 포신 내부다.[3] 다만 55구경장을 기준으로 설계된 탄약을 44구경장 포에 넣고 발포하는 경우 포신 수명 감소 등의 영향을 준다고 한다.[4] 이미 60년대부터 동서방할 것 없이 탄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 되었었다. Rh120 훨씬 이전에 개발된 소련제 125mm 활강포 탄약 조차도 소진 탄피을 사용한다.[5] K279 날탄의 경우 44구경장 활강포인 KM256 혹은 CN03 주포에서도 K279 날탄 발사가 가능하다. 다만 국방부에서 K279 날탄이 120mm 55구경장 CN08 활강포에 최적화 된 포탄이라서 44구경장 활강포(KM256 & CN03)에서 운용할 경우 포신 수명이 짧아진다고 밝혀서 비상 상황을 제외하면 운용을 권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현재 K1A1 전차 계열에는 K279 날탄을 적재하지 않고 있다.[6] KSTAM은 Korea Smart Top Attack Munition(한국형 상부 장갑 공격 지능탄)으로 Fire & Forget을 지원하며 일단은 K-2 흑표에서 운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추후 K1A1 전차 계열에서도 개량을 통해 상부장갑공격지능탄(KSTAM 계열)의 운용 능력을 갖추게 된다면 보급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7] 흔히 유산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벌집탄 혹은 대인예광탄(APERS-T)으로 분류하고 있는 탄으로 105mm KM68A1 강선포에 쓰이는 M494 벌집탄이 있다.[8] Smart Target Activated Fire-and-Forget(상부 장갑 공격 지능탄, Fire & Forget 지원)[9] 10식 전차에서만 운용하고 있으며 기존 90식 전차의 경우 JM-33을 운용하고 있지만 2021년부터 90式戦車 (改)라는 이름으로 개량을 앞두고 있다고 전해졌다. 그러나 2022년 말에 90식 전차는 개량 없이 전량 퇴역이 정해졌기에 10식 전차의 전용 탄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10] 물론 기존의 기본탄 불공평 문제를 지속하는 것보단 나은 선택이긴 했다. 예를 들자면 당시 레오파르트 2A5의 경우 처음부터 DM23으로 다른 전차들은 적당히 약점 사격하면 되는 수준인데, M1A2의 경우 M830 날대탄으로 M829를 언락하기 전까지 최소 DM23을 쏘는 레오파르트 2A5를 상대해야했다. 그렇다고 기본탄으로 날탄을 주게되면 M1A1(M1A2)의 경우 처음부터 M829를 쏘게된다. 이쪽은 이쪽대로 밸런스에 문제가 생기니.. 최종 날탄을 기본탄으로 준다는 플레이어 기준에서의 최선책이 아니어서 욕먹긴하지만 이상적인 차선책은 되는 정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2:33:18에 나무위키 라인메탈 120mm 활강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