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1. 일반 정의
1.1. 관용어 한몫
2. 수학 용어
2.1. 다항식에서
3. 기타



1. 일반 정의[편집]


Share, Portion, Cut, Quota

여러 개로 나누어 가지는 각 부분을 뜻하며 지분(持分)의 순화어다.

'넋, 삯'과 함께 받침을 쓰는 셋뿐인 명사 중 하나이다. 동사 '묵다'와 어원을 공유하는데, 이는 같은 뜻의 한자과도 유사한 면이 있다.

1.1. 관용어 한몫[편집]


'일조(一助)하다'의 동의어로, '한 사람으로서 맡은 역할을 충분히 하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목에 털어넣다'처럼 쓰이는 '한목'이라는 표현과 혼동하기 쉬워 잘못 쓰는 경우도 잦다. 또한 '한몫하다'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써야 한다. #

'영어의 'contribute to'와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의 혹위에서 되새김질을 할 때 메탄 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소도 지구 온난화한몫을 합니다. 출처


지구 온난화가 글로벌 이슈가 되는 데는 유력 정치인들의 관심도 한몫했다. 출처.



2. 수학 용어[편집]


quotient

나눗셈에서 피제수를 0이 아닌 제수로 나누었을 때의 결과값을 의미한다.

만약 이 나눗셈이 (몫과 나머지가 발생하는) 유클리드 나눗셈이었다면, 피제수가 제수의 배수가 아닐 때 나눗셈의 결과가 정수로 주어지지 않는다. 그 때, 몫을 최대로 구하고 그 이외에 남는 수는 나머지라고 한다.

참고로 유리수, 실수, 복소수 에서는 나머지가 존재하지 않고, 0을 제외한 모든 수가 몫이 될 수 있다. 나머지가 존재한다면 자연수 또는 정수 이다. (유리수) / (유리수) = (유리수), (실수) / (실수) = (실수), (복소수) / (복소수) = (복소수) 이기 때문.


2.1. 다항식에서[편집]


다항식에서도 실수에서처럼 몫을 정의할 수 있는데, 다항식 A를 다항식 B로 나눈다고 하면 남는 다항식(여기서는 C라고 하자)의 차수가 B의 차수보다 작아져서 더 이상 나눗셈을 할 수 없을 때까지 진행한 후, 남는 다항식인 C를 나머지로 정의하며, 이때 A = BX + C의 관계가 성립하고, 몫은 다항식 X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x2+x+1을 x+1로 나누면 x2+x+1 = x(x+1)+1이므로 몫은 x, 나머지는 1이 된다. 참고로 일차 다항식으로 나누는 경우에는 나머지가 무조건 상수로 나오지만, 이차 이상의 다항식(D라고 하자)으로 나누는 경우 상수부터 D의 차수보다 1 낮은 다항식까지 나올 수 있다. 다항식 x3+2x2+3x를 x2+x+1로 나누면 x3+2x2+3x = (x+1)(x2+x+1)+(x-1) 이므로 몫은 x+1, 나머지는 x-1로 1차 다항식이 된다.


3. 기타[편집]


창작물에서는 선역악역에게 자신의 친구들에 대한 복수를 할 때 이건 ~의 몫, 이건 ~의 몫이라고 말하면서 때리는 클리셰가 있다.

게임에서는 종종 1UP이르는 단어로 쓰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7:03:3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