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환상형 도시

덤프버전 : r (♥ 0)


放射環狀型都市 | Ring City

1. 개요
2. 환상형 도시 건설의 세 가지 원칙
3. 방사형 적용 사례
3.1. 한국
3.2. 외국
3.2.1. 일본
4. 목록


1. 개요[편집]


도시 계획에서, 어느 한 지점을 중심으로 도로망이 사방으로 뻗어 나가는 방사형의 도로와, 방사형의 도로과 교차하는 순환형의 도로로 이루어진 원형의 도시를 말한다. 영어로는 '링 시티(Ring City)'라고 하는데, 도시의 모양이 마치 고리를 닮았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1] 근대 도시 계획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방사형 도시에 주변 지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순환선을 더하여 계승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환상형 도시 건설의 세 가지 원칙[편집]


1. 축, 선, 결절점 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균등한 발전을 이루도록 대중교통 체제를 구축

2. 매력적인 대중교통 가로 조성, 폭 넓은 공공 공간 확보를 위해 대중교통 주변을 고밀 개발

3. 녹지, 번화가 같은 다양한 장소에 쉽게 접근하게 하여 교통량 및 도로 연장 감축, 혼합적 토지 이용 등 입체적으로 활용


3. 방사형 적용 사례[편집]



3.1. 한국[편집]


한국의 도시 계획에서 최초로 방사형 도시 계획이 확인되는 것은 바로 1897년에 조성된 서울 덕수궁 앞 지역이다. 오늘날의 세종대로·소공로·을지로·남대문로가 이 당시에 방사형 가로망 계획의 일환으로 조성된 것이며, 이는 본디 도성제에 따라 격자로 구획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한국의 도시가 근대 도시로 변신하는 순간이었다. 혹자는 이것이 워싱턴 D.C.내셔널 몰을 참고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한다.

1970년대는 서울의 골격을 만들어 가던 시대였다. 이때 서울도 방사형 도시 계획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사대문 안을 중심으로 그 외곽으로 뻗어나가는 간선도로망을 구축한 것이다. 이 일환으로 건설된 도로들이 동작대로·강남대로·송파대로·천호대로·남부순환로 등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순환선으로 지어졌다.

반면, 동시대에 건설된 강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세부 지역 도로망은 그때까지도 격자형을 고수하였으며, 이 기조는 1990년대까지 이어져 1기 신도시로 지어진 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까지 모두 격자형 도시가 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한국 신도시의 도로망 형태가 확 달라지는데, 1기 신도시로 지어진 분당과 2기 신도시로 지어진 동탄를 비교하면 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마찬가지로 그 이후에 지어진 세종특별자치시 역시 방사형으로 건설되고 있다.

3.2. 외국[편집]



3.2.1. 일본[편집]


도쿄도를 보면, 고쿄를 중심으로 도로망이 원형을 띄고 있으며, 수도고속도로가 이러한 모양으로 거대한 간토평야를 뒤덮고 있다. 이는 1964 도쿄 올림픽을 기점으로 하여 도쿄 대개조 작업을 벌일 때 계획된 것이었다.

4. 목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9 14:41:11에 나무위키 방사환상형 도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자어인 환상형(環狀形)이라는 말도 '고리 모양'을 뜻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