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보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31px; color: #ffffff"
[ 펼치기 · 접기 ]


제212대

심환지

제213대

이시수

제214대

이병모

제215대

서매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김재찬

제218대

서용보

제219대

한용귀

제220대

김재찬

제221대

남공철

제222대

이상황

제223대

심상규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조인영

제226대

권돈인

제227대

정원용



제228대

조인영

제229대

권돈인

제230대

김흥근

제231대

김좌근

제232대

정원용

제233대

김좌근




서용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영의정
익헌공(翼獻公)
서용보
徐龍輔

출생
1757년(영조 33)
사망
1824년(순조 24)
재임기간
제220대 영의정
1819년 2월 19일 - 1820년 7월 24일
(음력 순조 19년 1월 25일 - 순조 20년 6월 15일)
시호
익헌(翼獻)
본관
대구 서씨[1]

여중(汝中)

심재(心齋)
붕당
노론 (청명당, 벽파)
부모
부친 - 서유령(徐有寧)
모친 - 진천 송씨 송의손(宋宜孫)의 딸
부인
반남 박씨 박지원(朴志源)의 딸
자녀
(양자) - 서대순(徐戴淳)[2]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고조부정성왕후의 아버지인 달성부원군 서종제이다.


2. 생애[편집]


영조 말기 1774년에 문과에 급제해서[3] 정조, 순조시대에 주로 활동했다. 대사헌, 전라도관찰사, 경기도관찰사, 이조판서,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했다. 1819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1년 만에 병으로 사직하고 4년 뒤에 사망하였다.

최연소 우의정이었던 이덕형에는 못 미치지만 이쪽도 승진이 빨라서 44세에 우의정에 올랐다. 다만 후술하는 아버지 문제로 고향에 칩거해 있다가 영의정을 한참 늦게 달았고 이것 때문에 공백기간이 길어서 능력의 한계를 느끼고 사임하였다.


3. 여담[편집]


  • 정조 초기에 정약용과 같이 일했는데, 1794년 경기도 관찰사 시절에 정약용이 암행어사로 가서 서용보의 비리를 고발하는 바람에 파직되어 사이가 틀어졌다는 썰이 있다. 실제로 1794년에 관찰사에서 물러난건 사실인데 실록에는 왜 물러났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다. 업무 보고가 늦어서 문책 받은 기록은 남아있는데 시점상 정약용이 암행어사로 파견되기 몇달 전 이야기다.
    • 일성록에는 좀 더 정확하게 나오는데, 정조 18년(1794년) 11월 16일 내용을 보면 이 시기에 경기도에 암행어사를 여러명을 풀었는데,[4] 아래 수령들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 여담으로 경기도 관찰사에서 물러난 다음 관직이 정조의 화성행차 관련 업무를 맡던 정리사(整理使)였다.



  • 훗날 갑신정변에 가담한 서광범의 증조부이다.[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2:41:30에 나무위키 서용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첨공(典籤公) 경수(景需)파 22세 보(輔) 항렬[2] 동생 서응보(徐應輔)의 아들[3] 당시 한국나이로 18에 과거 시험에서 소과와 대과를 1년만에 급제했다는 기록이 있다.[4] 암행어사 중에 정약용이 끼어 있다.[5] 정확히 따지면 서용보의 양아들이자 서응보의 친아들인 서대순의 손자가 서광범이므로, 서응보가 친증조부이겠지만 어쨌든 족보상으론 서용보가 증조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