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사(워크래프트)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jiangfeng-feng-knights-of-the-silver-hand.jpg
은빛 성기사단 4인방. 왼쪽부터 빛의 수호자 우서, 티리온 폴드링, 세이든 다스로한, 투랄리온


1. 개요[편집]


Paladin. 성스러운 빛의 신앙을 갖는 얼라이언스사제들이 1차 대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자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전투 훈련을 받고 갑옷을 갖춰입은 것에서 시작됐으며,[1] 3차 대전쟁 이후 진영을 옮긴 블러드 엘프와 태양빛의 신앙을 갖기 시작한 타우렌이 등장하면서 호드에도 성기사들이 생겨났다.


2. 역사[편집]


아제로스에서의 성기사의 기원은 1, 2차 대전쟁 당시 오크 호드에 심각한 피해를 입던 성직자들에게 대주교 알론서스 파올이 갑옷을 입히고 전투 훈련을 거쳐 탄생시킨 1세대 성기사단에 있다. 이후 거꾸로 기사들도 성스러운 빛의 교리를 배워 성기사단에 가입하면서 그 위세가 점점 증가하였으며, 3차 대전쟁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역사에서 성기사들의 활약은 큰 축을 차지하게 된다.

1대 성기사들 중에서도 최초의 성기사 5명이 있는데, 정의의 성기사 빛의 수호자 우서, 보호의 성기사 투랄리온, 신성의 성기사 세이든 다스로한, 징벌의 성기사 티리온 폴드링 그리고 연민의 성기사 가빈라드이다. 이들이 성립한 것이 현재 유일한 성기사단인 '은빛 성기사단'이다. 인간의 토속 종교인 성스러운 빛 신앙을 기초로 했기 때문에 초창기 구성원의 대다수는 인간이었으나, 성스러운 빛에 호기심을 가지고 배웠던 일부 하이 엘프나 드워프도 소속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

2대 성기사들은 1대 성기사들에 의해 키워진 인물들이다.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우서의 가르침을 직접 받은 로데론의 후계자 아서스 메네실. 그러나 타락하여 죽음의 기사가 된 아서스 메네실에 의하여 대부분의 1~2대 성기사들이 희망의 빛 예배당 근처에서 사망하였고, 은빛 성기사단은 괴멸되고 만다.

이후 붉은십자군이 창립되고 이들이 훈련시킨 성기사들, 또한 스톰윈드 대성당에서 알론서스 파올 주교가 훈련시킨 성기사들이 바로 현재의 3세대이다. 스톰윈드의 성기사들은 계속 버텨내었지만, 붉은십자군은 노스렌드 진격전에서 괴멸하고 오히려 본거지인 동부 역병지대가 당한 이후로 과격한 광신도 집단이 되고 만다. 이 중 마음가짐을 바로잡은 성기사들과 사제를 비롯한 다양한 종족이 스컬지에 대항하자는 신념 아래 하나 것이 은빛 여명회다. 드레나이는 오랜 세월동안 성스러운 빛 그 자체와 동일시되는 신적 존재 나루들의 가르침을 받았기에, 얼라이언스와 무관하게 원래부터 성기사가 존재했다.

기본적으로 성기사들은 집단적인 의식을 통해 상급자에게 성스러운 빛의 권능을 배워 그 힘을 깨닫게 되지만, 극히 일부가 스스로 대단히 강력한 빛의 힘을 각성해 사용하기도 한다. 역사상 이러한 인물은 빛의 수호자 우서와 2대 파멸의 인도자 대영주 티리온 폴드링이 유일하다. 이 둘은 빛의 대척점에서 죽음의 힘을 다루던 리치 왕과 대등하게 겨루고 승리를 거둘 수 있던 인물이기도 하다.


2.1. 주요 인물[편집]


유명한 성기사로는 인간성기사 뿌뿌뽕, 빛의 수호자 우서, 티리온 폴드링, 투랄리온, 노스렌드로 가기 전의 아서스 메네실 등이 있다. 오랜 역사와 신앙을 기초로 한 기반 덕에 마법사와 함께 한때나마 얼라이언스의 영웅으로 칭송받던 인물이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3. 워크래프트 2[편집]


파일:362px-PaladinW2[1].jpg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기사(워크래프트)


워크래프트 2 인간 얼라이언스의 유닛, 건물
[ 펼치기 · 접기 ]

-2 ||<colbgcolor=#87ceeb> [[마을 회관(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마을 회관'''[br]''타운 홀''}}}]] ||<bgcolor=#87ceeb> [[성채(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성채'''[br]''킵''}}}]] ||<bgcolor=#87ceeb> [[성(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성'''[br]''캐슬''}}}]] ||<-3> [[농부(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Peasant.gif|height=24px]][br]농부[br]''피전트'']] || || [[병영(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병영'''[br]''배럭''}}}]] || [[보병(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oot.gif|height=24px]][br]보병[br]''풋맨'']] || [[엘프 순찰자|[[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face.gif|height=24p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ranger.gif|height=24px]][br]엘프 궁수/순찰자[br]''엘븐 아처/레인저'']] || [[쇠뇌(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HumanBallista.gif|height=24px]][br]쇠뇌[br]''발리스타'']] || [[성기사(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Night.gif|height=24px]] [[파일:external/971ca50626aca4a1ba9af762c5b94ba3115544ee07f2434495ac8f05972dd846.gif|height=24px]][br]기사/성기사[br]''나이트/팔라딘'']] || || || [[작업장(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노움 발명소'''[br]''노미시 인벤터''}}}]] || [[비행기(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ly.gif|height=24px]][br]노움 비행기[br]''노미시 플라잉 머신'']] || [[드워프 폭파 분대|[[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Demo.gif|height=24px]][br]드워프 폭파 분대[br]''드워븐 데몰리션 스쿼드'']] ||<-3> || || [[마법사 탑|{{{#0054ff '''마법사 탑'''[br]''메이지 타워''}}}]] || [[마법사(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age.gif|height=24px]][br]마법사[br]''메이지'']] ||<-4> || || [[그리핀 사육장|{{{#0054ff '''그리핀 사육장'''[br]''그리폰 에비어리''}}}]] || [[그리핀 기수|[[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ryph.gif|height=24px]][br]그리핀 기수[br]''그리폰 라이더'']] ||<-4> || || [[조선소(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조선소'''[br]''십야드''}}}]] || [[유조선(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HumanTanker.gif|height=24px]][br]유조선[br]''오일 탱커'']] || [[수송선(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HumanTransport.gif|height=24px]][br]수송선[br]''트랜스포트'']] || [[구축함(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HumanDestroyer.gif|height=24px]][br]엘프 구축함[br]''엘븐 디스트로이어'']] || [[전함(워크래프트 시리즈)|[[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HumanBattleship.gif|height=24px]][br]전함[br]''배틀십'']] || [[노움 잠수함|[[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WC2HumanSubmarine.gif|height=24px]][br]노움 잠수함[br]''노미시 서브마린'']] || ||<|3><bgcolor=#0054ff> '''{{{#white 기타 건물들}}}''' ||<rowcolor=#373a3c><rowbgcolor=#87ceeb> [[농장(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닭 농장'''[br]''치킨 팜''}}}]] || [[제재소|{{{#0054ff '''엘프 제재소'''[br]''엘븐 럼버 밀''}}}]] || [[대장간(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대장간'''[br]''블랙스미스''}}}]] || [[마구간(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마구간'''[br]''스테이블''}}}]] || [[교회(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교회'''[br]''처치''}}}]] || ||<rowcolor=#373a3c><rowbgcolor=#87ceeb> [[주조소|{{{#0054ff '''주조소'''[br]''파운드리''}}}]] || [[정제소|{{{#0054ff '''정제소'''[br]''오일 리파이너리''}}}]] || [[석유 굴착대|{{{#0054ff '''석유 굴착대'''[br]''오일 플랫폼''}}}]] ||<-2> || ||<rowcolor=#373a3c><rowbgcolor=#87ceeb> [[정찰탑|{{{#0054ff '''정찰탑'''[br]''스카웃 타워''}}}]] || [[경비탑|{{{#0054ff '''경비탑'''[br]''가드 타워''}}}]] || [[포탑(워크래프트 시리즈)|{{{#0054ff '''포탑'''[br]''캐논 타워''}}}]] || 벽 ||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Night.gif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Paladin.gif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HumanKnight.gif

3.1. 대사[편집]


  • 생산 : "Ready to serve, my lord."(섬길 준비 됐습니다, 폐하)
  • 클릭 : "Your majesty?"(예, 폐하?) "At your service."(분부를 내리십시오.) "Sire?"(폐하?) "What ho!"(안녕하십니까!)
  • 이동 : "We move."(갑니다.) "In your name."(그대의 이름으로) "For the king."(왕을 위하여) "Defending your honor."(명예를 지켜드리겠습니다.)
  • 여러번 클릭 : "I need orders."(명령이 필요합니다.) "Give me a quest!"(할 일을 내려 주십시오!) "Don't force me to run you through!"(제가 당신을 찌르도록 강요하지 마십시오!)[3]


3.2. 설명[편집]


워크래프트2 한글판 매뉴얼에서는 '무협가'라는 의협심 넘치는 이름으로 번역된 바 있다.

금 800 나무 100을 소요하는 유닛. 오크 호드의 오우거, 오우거 메이지와 같은 위치에 있다. 즉 지상 유닛 테크의 4번째인 돌격병 겸 마법유닛. 영웅 유닛으로는 안두인 로서(나이트), 빛의 수호자 우서, 투랄리온(팔라딘)이 있다.

나이트를 만들려면 배럭 이외에도 스테이블이 필요하다. 캐슬 업그레이드 이후 교회를 짓게 되면 팔라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팔라딘이 되면 초상화의 눈이 빛나며 목소리가 울리는 효과가 붙는다. 기본마법은 홀리 비전이며, 힐과 엑소시즘을 마법을 추가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해금한다.

  • 홀리비전/성스러운 시야(Holy Vision)
    • 대상 지역을 아주 잠시 동안 밝힌다. 워크래프트 3 파시어의 파 사이트와 스타크래프트의 스캔과 같은 효과이며, 범위는 한 화면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매우 넓지만 지속시간이 너무 짧다. 오우거 마법사의 킬로그의 눈에 대응되는 단순 정찰용 마법.
    • 단, 잠수함이나 투명마법 등으로 숨겨진 유닛 등은 발견하지 못한다.

  • 힐/치유(Heal)
    • 마나 6당 대상의 체력을 1 회복한다.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지는데, 마나를 다 쏟아도 팔라딘 피통의 절반조차 못 미치는 회복량이다. 반면에 오우거 메이지의 블러드러스트는 공격력 3배 뻥튀기라는 압도적인 성능이라서, 어렵사리 팔라딘 여럿이 치유를 전부 성공해도 절대로 따라갈 수가 없다. 단, 컴퓨터 Ai는 버티기용으로 참 잘 쓴다.[4] 물론, 그저 버티기만 할 뿐, 블러드러스트에 비해 체력교환 효율이 압도적으로 밀려서 의미 없다.
    • 왜 넣었는지 모를 정도로 지나치게 불편하다. 자동시전이라는 개념은 당연히 없었고, 부대 선택 중에는 개별 유닛의 특수능력을 못 쓰기 때문에, 급박한 전투 와중에 치유를 하려면 선택해제→성기사 선택→단축키→대상 클릭→다시 대상 선택… 의 악몽같은 노가다를 해야한다. 참고로, 적에게도 사용가능 하기 때문에 난전 중에 클릭미스로 적의 피를 채워줄 수 있는 변태적인 마법이었다.

  • 엑소시즘/퇴마술(Exocism)
    • 마나 4당 대상 언데드에게 1의 피해를 준다. 언데드에게만 사용할 수 있다. 워크래프트 2의 언데드는 죽음의 기사와 소환된 해골이 전부지만, 시전시 마나를 전부 소비하므로 체력 60인 데스나이트를 풀마나인 255로 공격하면 한 방에 정화할 수 있다. 후반전에서 얼라이언스와 호드의 밸런스를 그나마 맞춰주는 꽤 중요한 마법.[5] 상대방의 최종테크 마법유닛을 봉쇄하는 무시무시한 성능이다.
    • 단, 죽음의 기사가 부정의 갑옷(Unholy Armor)을 걸고 있다면 대미지를 무시하므로, 귀신같이 마법을 사용하는 컴퓨터 AI 대상으로는 쓸 수 없다. 멀티에선 오크 고수들도 워낙에 잘 쓰고 다녀서 생각보다 눈치싸움이 필요하다.

보유마법은, 오크 측이 죽음의 기사를 안 뽑으면 심히 잉여하다. 팔라딘의 라이벌 오우거 메이지의 블러드러스트는 팔라딘의 쓰레기같은 힐 마법과는 달리, 별다른 조작없이 휴먼의 시체로 이루어진 혐짤밭을 만드는 사기적인 마법이다. 심지어, 블러드러스트는 마나도 꼴랑 50밖에 안 든다.

하지만, 데스나이트라는 적의 최종테크를 봉인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장점이다. 덕분에, 휴먼은 메이지만 쌓이면 오크를 후반전에서 압도할 수 있었다. 단, 휴먼의 승리는 항상 팔라딘을 잘 쌓아둬야 한다는 전제가 붙는다. 이유는 주석참조.[6]

팔라딘의 포트레잇은 나이트의 포트레잇과 달리 눈에서 안광이 비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설정 상 성스러운 빛의 힘으로 눈이 빛나는 것이라고 한다.


3.3. 운영[편집]


초보~중수까지는 오우거 메이지에게 팔라딘 1 대 2 비율로 학살 당하므로 오크들이 우세하다. 하지만 후반전에는 팔라딘이 데스나이트를 완전봉쇄 할 수 있어서, 오히려 후반전은 휴먼이 마법사를 통한 대량학살이 가능해진다. 문제는 같은 실력이면 오우거 메이지의 테러활동에 휴먼은 앞마당이 박살나서 자원부족으로 말라죽는 상황이 많았다.[7] 보통 첫번째 오우거 메이지 서넛과 그런트 예닐곱만 모여도, 광산멀티를 빼앗기는 것은 기본이오, 오크측에서 틈틈히 게릴라 병력을 잘 굴리면 팔라딘과 메이지는 첫 러시를 막기도 벅찰 정도.

휴먼과 휴먼이 싸울 때는 메이지와 함께 노잼대결을 만드는 원흉이었다. 휴먼과 휴먼 대결은 메이지와 팔라딘을 이용해서 누가 더 많은 상대편 농부를 학살하는지 겨루는 은신 테러리스트 게임으로 고착화 되었다. 사실상 휴먼의 고수 대결은 농부 학살을 빼면 승패를 좌우할 수단없이 30~40분 이상 지루한 게임으로 이어졌는데, 메이지와 팔라딘은 극도로 사용자의 신경을 소모하면서도 정면승부가 어려운 유닛들이다.[8]

여담으로, 실제 워2의 팔라딘 운용법은 설정과는 전혀 맞지 않았다. 전면전이 아닌 후방에서 얌전히 마나를 채우다가, 정찰기를 띄워놓고 데스나이트를 봤을 때만 전진해서 암살을 하거나, 메이지의 투명을 받아 적의 일꾼을 죽이는 은신 학살범(?)으로 써먹어야 팔라딘을 겨우 활용할 수 있었다. 이렇게 컨셉과는 전혀 다른 사용법 때문인지, 워크래프트 3편 이후로는 팔라딘이 오크 호드의 무적 마법을 가져오게 되었다.[9]

배틀넷 에디션에서는 같은 실력일 경우 그냥 오우거 메이지들이 블러드러스트를 단체로 걸고 어택땅을 갈기면 순식간에 휴먼 보병들이 전멸해버려서 오크들이 또 유리해졌다. 휴먼이 자원 멀티를 포기하고 우주방어에 집중하려고 해도, 헤이스트를 받아서 빠른 속도로 달려오는 오크 투석기한테 메이지와 건물들이 펑펑 터진다. 이렇게 고생한 댓가인지 3편에선 최강방어 종족이 되었다.


4. 워크래프트 3[편집]


파일:411px-Paladin_silver_hand[1].jpg
성기사(워크래프트 3) 참조.

팔라딘이 영웅으로 승격되고, 나이트는 캐슬 티어의 개별 유닛으로 제각기 독립되었다. 비슷한 예로는 엘프 순찰자들이 영웅 및 군입직업이 되고, 일반 아처들은 일반 보병이 되었다.


5.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편집]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Knight_of_the_Silver_Hand.jp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host_of_Uther_Lightbringer.jpg
위 사진처럼 워2나 워3때 모습의 NPC로 등장한다.(오른쪽은 빛의 수호자 우서)

5.1. 직업[편집]


파일:attachment/paladin_icon.jpg
플레이어블 직업은 성기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참조. 성스러운 빛, 퇴마술, 천상의 보호막 등의 요소가 기술에 반영되었으며, 군마를 타고다니는 모습은 직업 탈것으로 계승되었다

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편집]


현재 성기사 영웅이 둘 있다.

워3 팔라딘의 특징 대부분이 계승되어 극 보조형 스킬셋, 노딜 뚜벅이, 괜찮은 맷집, 무적을 모두 이어받았다. 워3 팔라딘 + 와우 신기의 컨셉을 띠다 보니 히오스서는 강점이 더 두드러진다. 기본적인 스킬 셋은 철저하게 아군 지원에 특화되었지만 특성에 따라 달리 적을 광역으로 기절시키고 데미지를 주는 스킬 또한 가지고 있고 홀리 라이트를 적에게도 쓸 수 있게 되는 등 공격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7. 하스스톤[편집]


성기사(하스스톤)으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크래프트 2 문서의 r328 판, 8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팔라딘 문서의 r260 판, 4.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성기사(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문서의 r202 판, 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기사들이 빛의 권능을 배워 성기사가 된 케이스도 있다.[2] 하이엘프는 원래 마법문명이었고, 드워프들은 고유의 티탄과 관련한 문화 때문에 성스러운 빛에 관련한 신앙이 약한 편이다.[3] 마상창시합에서 상대방을 창으로 쳐서 말에서 떨어뜨리는 것을 의미한다.[4] 컴퓨터는 유저의 클릭&마우스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개별 유닛마다 힐을 일괄적으로 동시실행한다! 때문에 피통이 순서대로 낮은 유닛을 프로그래밍 된 즉시 힐을 돌리는지라 휴먼 컴퓨터를 만나면 정신 없이 서로 힐을 해주며 난장판을 만든다.[5] 특히, 컴퓨터전에서는 이것이 업그레이드되면 죽음의 기사는 사용금지가 되어버린다. 죽기가 눈에 띄는 순간 만사를 제쳐두고 끈질기게 쫓아 다니면서 퇴마술만 갈겨대는 AI 때문에 죽기는 아무것도 못하고 원샷 원킬이다. 다만 캠페인에서는 가끔 죽음의 기사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이 때는 호위 병력을 붙여 두자.[6] 팔라딘의 엑소시즘으로 데스나이트를 죽이려면 255의 마나를 꽉 채워둬야한다. 하지만, 팔라딘 및 퇴마술 업그레이드 없이 메이지부터 뽑다가 발각당하면, 오크는 데스나이트 2~3마리 뽑자마자, 마나없는 팔라딘과 메이지를 줏어먹고 휴먼을 끝장내는 상성역전도 종종 가능했다. 경험담. 오크의 데스나이트는 마법 업그레이드를 전혀 안 하고 기본마법(데스코일)만 연타해도 소수의 메이지와 나이트는 녹여버릴 수 있다.[7] 오우거 메이지 두마리만 들어와도 상대방 본진을 쑥대밭으로 만들 수 있었다. 블러드러스트가 워낙 사기라서 잘 쓰진 않았지만, 룬 마법으로도 금광봉쇄 및 해상맵의 오일탱커까지도 봉쇄할 수 있었다.[8] 휴먼 대 휴먼 대결은 농부학살 대결이 될 수 밖에 없었다. 휴먼은 오크와는 달리 자원을 펌핑할 수단이 없고, 워크래프트 2는 일꾼의 몸값이 비싼 게임이다. 덕분에, 휴먼은 오크보다도 일꾼을 잃을 때마다 동력상실이 심각했다. 결국, 지독한 장기전으로 넘어가기 쉬운 휴먼 대 휴먼을 빨리 끝내려면, 상대편 휴먼의 농부학살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다.(...)[9] 게임상으로는 무적 마법이 워크래프트 1의 네크로라이트, 워크래프트 2의 데스나이트가 먼저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