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행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성주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ongju-map.png

1. 읍
2. 면
2.2. 벽진면
2.3. 대가면
2.4. 금수면
2.5. 월항면
2.6. 가천면
2.7. 수륜면



1. 읍[편집]



1.1. 성주읍[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성주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성주군의 중심지로 1979년 5월 1일 읍으로 승격했으며, 읍소재지는 성산리, 군청은 경산리에 있다.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1] 인구는 13,233명.[A]

군청, 교육지원청, 경찰서, 소방서 등이 있으며 경산리, 성산리, 예산리, 백전리에 걸쳐 읍내가 상당히 크게 펼쳐져 있다. 여담으로 관우의 위패를 모셔놓은 사당(절이기도 하다.)이 경산리의 성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에 있다. 이 사당은 일제강점기 이후 버려져 마을 안의 흉물로 자리잡고 있었는데, 1960년대 대안스님이 이 부지를 사들여 사찰로 개수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는 성주읍성 내 관상용 연못이었으며[2] 일제강점기 때 메워져 지금은 성주버스터미널로 사용되고 있다. 읍내에 공립 학원인 '별고을교육원'(별고을은 성주의 순우리말 이름)이 있다. 특이하게도 인구도 별로 없는 성주에 몇 안 되는 위대태껸회 소속의 태껸전수관이 있는데 바로 성주읍에 위치해 있다.[3] 학교는 성주초, 중앙초, 성주중, 성주여중, 성주고, 성주여고가 있다.

과거부터 성주의 중심지였던 만큼 많은 유적이 위치하고 있는데 성산동 고분군, 성밖숲, 동방사지칠층석탑, 성주향교, 성주읍성, 등이 있다.

성주 경전철의 서쪽 시종착역이 위치할 예정이다.


2. 면[편집]



2.1. 초전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초전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면소재지는 대장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4] 인구는 4,402명.[A]

구 롯데스카이힐골프장 부지에 성주 사드 기지가 배치되었다. 백세각이 있다. 학교는 초전초, 초전중이 있다. 913번 지방도를 통해 김천시 농소면, 905번 지방도를 통해 김천시 남면과 접한다.


2.2. 벽진면[편집]


면소재지는 수촌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5] 인구는 3,024명.[A]

별미령을 통해 김천시 농소면과 접한다. 감천면과도 접하고 있으나 고당산에 가로 막혀 도로는 없으며 어차피 농소 쪽으로 조금만 둘러가면 되므로 도로가 개설되지 않을 듯 하다. 벽진 이씨의 '벽진'이 이 곳이다. 다만 '벽진' 자체가 성주의 옛 이름이라, 벽진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학교는 벽진초, 벽진중이 있다.

후삼국 시대 고려와 후백제간 벽진 전투가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2.3. 대가면[편집]


면소재지는 옥성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6] 인구는 2,347명.[A]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주IC가 있다. 그리고 심산 김창숙 선생의 생가가 있으며 청천서원이 있다. 학교는 대가초가 있다. 성주읍과 함께 타 기초자치단체와 접하지 않은 둘뿐인 읍면이다.


2.4. 금수면[편집]


면소재지는 광산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7] 인구는 1,185명[A]으로 성주군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산지 비율이 성주군에서 가장 높아[8] 교통도 성주군에서 가장 불편하며 면소재지는 동쪽에 치우쳐져 있어 서쪽의 영천리 등에서는 접근성이 불편하다.[9][10]

낙동강의 지류인 회천(대가천)을 막아 건설된 성주호, 무흘구곡이 있고, 아시아 최대의 수상레저 테마파크인 아라월드가 있다. 30번 국도를 통해 김천시 증산면, 903번 지방도를 통해 김천시 지례면, 59번 국도를 통해 김천시 조마면과 접한다. 성주호로 인해 봉두리 평지 일대가 수몰되었으며, 농협 기능은 광산리로 이전되었다. 다만 댐으로 인한 수몰 지역은 98% 이상이 금수면 지역이고 2% 정도만 가천면이 수몰되었는데 댐은 가천면에 지어졌다. 학교는 가천초, 성주중 가천분교가 있다.

영천리에서 증산 방면으로 가기는 쉽지만, 바로 옆 가천면 신계리로 가기에는 상당히 어렵다. 쉽게 가려면 성주호 북부까지 가서 성주중학교 가천분교 쪽으로 돌아가야 한다. 사실 길이 하나 있긴 한데, 굉장히 오프로드고 꼬불꼬불하다. 어지간하면 이 길로는 가지 말자.


2.5. 월항면[편집]


면소재지는 안포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11] 인구는 3,269명.[A]

선석사, 한개마을, 세종대왕자 태실이 있다. 학교는 월항초(지방분교)가 있다. 33번 국도를 통해 칠곡군 기산면과 접하며 그 외 지방리에서는 지산로를 통해 칠곡군 기산면과 접한다.

벽진면, 초전면, 선남면, 성주읍과 함께 성주에서 평지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수죽리, 지방리, 인촌리는 월항면소재지인 안포리로 바로 가는 버스가 없다. 또한 장산리, 보암리, 용각리는 월항으로 바로 가는 버스는 있지만 월항에서 해당 지역으로 바로 가는 버스는 없다.


2.6. 가천면[편집]


면소재지는 창천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12] 인구는 1,994명.[A] 포천계곡, 독용산성, 독용산이 있다.[13] 903번 지방도김천시 증산면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막혀 있었다가 2021년 12월에 터널이 뚫렸다.[14] 관련 기사

성주댐이 이 면의 중산리에 건설되었다. 학교는 가천초, 성주중 가천분교가 있다.

역시 평지 지역의 비율이 조금 적은 편이다. 평지는 면소재지인 창천리, 면소재지와 가깝고 포천계곡이 있는 화죽리, 바로 밑동네인 동원리, 창천리 멀티인 금봉리에만 조성되었다. 이 마저도 금봉리는 서쪽은 독용산으로 인해 전 지역이 산지이며 동쪽에만 조성되어있다. 나머지 신계리, 용사리, 법전리, 마수리, 금봉리 서부, 중산리는 전 지역이 산지라고 봐도 무방하다.


2.7. 수륜면[편집]


면소재지는 신파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15] 원래 청파면(신파리 등 서부)과 지사면(수륜리 등 동부)으로 나뉘어 있다가, 1934년 수륜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3,225명.[A]

회연서원, 대가천계곡, 법수사 삼층석탑 가야산국립공원이 있다. 33번 국도를 통해 고령군 운수면, 59번 국도를 통해 합천군 가야면과 접한다. 백운리에서 날씨가 좋으면 대구 시가지를 볼 수 있다. 백운리는 가야산 초입으로 경치가 좋으며 야생화식물원이 있다. 33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성주읍과 고령군 양 방향으로의 교통이 엄청 편리해졌다. 특히 고령군 대가야읍(舊 고령읍)까지는 10분이면 간다. 학교는 수륜초, 수륜중이 있다.

남한의 정중앙[16]이 여기에 있다. 그리고 2027년에 남부내륙선 성주역이 적송리 일대에 개역할 예정이다.

매년 10월에 메뚜기축제를 개최한다.

수륜초등학교 개교 이전에는 지사초등학교만 있었고, 백운리 일대는 간이학교 말고는 학교가 없어서 수륜면 주민들은 간이학교나 지사초등학교를 가는 게 아닌 이상 산 넘고 물 건너서 통학했다고 한다. 정작 지금은 지사초는 폐교되고 수륜초만 살아 있다.

지역민방인 TBC의 중계소가 없어서[17] 지상파 TV로 시청하면 TBC|SBS 채널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감악산에서 송출하는 KNN을 대신 수신해야 하지만 그래도 울릉도보다는 낫다.[18]


2.8. 용암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용암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면소재지는 용정리, 관할 법정리는 17개이다.[19] 원래 용두면(용정리 등 동부)과 성암면(계상리 등 서부)으로 나뉘어 있다가, 1934년 용암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3,657명.[A]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성주IC남성주참외휴게소가 있다. 905번 지방도를 통해 고령군 다산면, 67번 지방도를 통해 고령군 운수면과 접한다. 선남면 쪽까지 길이 엄청 잘 뚫려서 대구광역시 방면으로 가기도 엄청 편해졌다. 학교는 대동초, 용암초, 용암중이 있다.


2.9. 선남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선남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면소재지는 관화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20] 인구는 6,133명.[A]

대구광역시와 직접 접하는 지역으로, 성주대교를 건너면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이다. 그래서인지 면 중에 인구가 가장 많으며, 성주대교와 접한 지역에는 중소기업 공장들이 많이 있다. 경일교통도 성원리에 차고지가 있다. 학교는 도원초, 선남초, 명인중, 명인고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24:56에 나무위키 성주군/행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산리·금산리·대황리·대흥리·백전리·삼산리·성산리·예산리·용산리·학산리[A] A B C D E F G H I J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 이 연못에 겸재 정선이 그린 쌍도정도에 나오는 쌍도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 현재는 예산리 일대의 성주성 북문 앞에 복원되었다.[3] 지금은 문을 닫은 상태이다.[4] 고산리·대장리·동포리·문덕리·봉정리·소성리·어산리·용봉리·용성리·월곡리·자양리·칠선리[5] 가암리·매수리·봉계리·봉학리·수촌리·외기리·용암리·운정리·자산리[6] 금산리·대천리·도남리·옥련리·옥성리·옥화리·용흥리·칠봉리·흥산리[7] 광산리·명천리·무학리·봉두리·어은리·영천리·후평리[8] 평지는 면소재지인 광산리와 대가면과 가까워 성주읍에서 접근하기 쉬운 명천리에만 조성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9] 이 때문에 성주댐 건설이전에는 중간에 위치한 '봉두리'라는 지역이 제2의 중심지를 차지했다. 물론 수몰 이후에는 얄짤없이 광산리만 중심지다.[10] 이 때문에 영천리 등은 성주에서 가장 오지인 지역이라고 평가 받는다.[11] 대산리·보암리·수죽리·안포리·용각리·유월리·인촌리·장산리·지방리[12] 금봉리·동원리·마수리·법전리·신계리·용사리·중산리·창천리·화죽리[13] 다만 초보운전자가 독용산성에 차를 타고 갈 때는 한 번 다시 생각해보자. 대부분 구간이 급커브와 헤어핀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다가, 가설 비포장 임도라 경차가 다니기에는 부적절한 환경이다.[14] 2025년 11월에 완공될 예정이다.[15] 계정리·남은리·백운리·보월리·봉양리·성리·송계리·수륜리·수성리·신정리·신파리·오천리·작은리·적성리[16] 한반도 본토뿐만 아니라 울릉·독도, 마라도, 가거도, 백령도 등 끝단의 섬들까지 포함. 수륜면 작은리 산 223.[17] 수륜면에 KBS, MBC 중계소는 있다.[18] 이쪽은 섬이라 지상파로는 타 지역의 민방을 수신할 수도 없다(…).[19] 계상리·기산리·대봉리·덕평리·동락리·마월리·문명리·본리리·사곡리·상신리·상언리·선송리·용계리·용정리·운산리·죽전리·중거리[20] 관화리·도성리·도흥리·동암리·명포리·문방리·선원리·성원리·소학리·신부리·오도리·용신리·유서리·장학리·취곡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