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데몬즈 드래곤/서포트 카드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레드 데몬즈 드래곤

1. 개요
2. 효과 몬스터
3. 싱크로 몬스터
4. 마법
4.1. 크림즌 헬 시큐어
4.2. 홍련마룡의 항아리
5. 함정
5.1. 크림즌 헬 플레어
5.2. 스크린 오브 레드
5.3. 스카레드 코쿤


1. 개요[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 및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에 대한 목록.

2023년 신규 출시한 스트럭쳐 왕자의 고동의 신규 카드들이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들을 지원하는 효과로 구성 되어 있어 기존의 레드 데몬즈 드래곤 서포트 마법 / 함정 카드 들도 신규 지원의 대상이 됐다. 다만, 기존의 마법 / 항정 카드들의 경우 매우 애매하거나 좋지 못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지원의 대상이 됐음에도 투입률은 상당히 저조하다.


2. 효과 몬스터[편집]



2.1. 레벨 2[편집]



2.1.1. 비전 레조네이터[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 카드.

2.2. 레벨 3[편집]



2.2.1. 소울 레조네이터[편집]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카드를 효과 파괴로부터 지켜주는 카드.

2.3. 레벨 10[편집]



2.3.1.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릴리즈 하고 소환가능한 진화체.


3. 싱크로 몬스터[편집]



3.1. 레벨 8[편집]



3.1.1. 레드 데몬즈 드래곤[편집]


본인.


3.1.2.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카드.


3.1.3. 스카레드 데몬[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카드.


3.2. 레벨 10[편집]



3.2.1.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소재로 요구하는 카드.


3.3. 레벨 12[편집]



3.3.1.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소재로 요구하는 카드.


4. 마법[편집]



4.1. 크림즌 헬 시큐어[편집]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56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크림즌 헬 시큐어,
일어판명칭=クリムゾン・ヘル・セキュア,
영어판명칭=Scarlet Security,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 원작
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원작에서는 아포리아와의 결전에서 등장한 카드. 이것으로 아포리아의 마법 / 함정들을 파괴해 승리의 길을 텄다. 원작에서는 앞면 표시만 파괴했지만 OCG화되면서 앞뒷면을 가리지 않도록 버프를 먹었다.

효과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 전용 해피의 깃털. 다만 보통 해깃은 후공돌파용으로 쓰이는 카드인데, 레드 데몬즈를 뽑을 정도로 전개했다면 사실 이 카드가 쓰일 일은 없다고 봐도 좋을 듯. 물론 파문의 베리어 -웨이브 포스-, 길항승부 같이 배틀 페이즈나 그 후에 발동하는 카드나, 스킬 드레인같은 지속 함정을 제거하는 용도라면 확실히 쓸모는 있을 것이다. 근데 스드처럼 몬스터 효과를 막는 게 아니라면 차라리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가 훨씬 낫다.

너무 오래된 카드라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요구한다는 점이 단점이었는데, 2015년 즈음부터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직접 지정한다기 보다는 "레드 데몬" 카드군이나 "8레벨 이상 드래곤족/어둠 속성"같은 방식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2023년 왕자의 고동 출시 이후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원본이 채용할 확률도 올라서, 기존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인 마/함중에서는 가장 채용해볼만한 카드일 듯하다. 해깃이 제한 1이고, 레드 데몬 자체도 상대 후열을 정리할 카드가 타이란트나 슈퍼노바 말고 없으니까.

하지만 상대 마/함 존을 그대로 둔 채 견제를 받지 않고 레몬을 필드에 낼 수 있는 정도라면, 그냥 더 강력한 몬스터를 전개하는 편이 낫고, 해깃 대체용이라면 이 카드보다는 라이트닝 스톰이 훨씬 낫고, 더 필요하다면 차라리 싸이크론 류나 나이트 샷을 투입해서 1장이라도 정리하고 전개하는 게 나을 듯.

일러스트에서 파괴되는 카드는 빛의 봉인검강자의 고통. 둘 다 비트 계열에겐 극상성인 카드이므로 사소하지만 나름 적절한 선정이라 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1-02-1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EXVC-JP045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5-1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EXVC-EN045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6-1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EXVC-KR045 | 익스트림 빅토리
[[노멀|
N
노멀
]]



4.2. 홍련마룡의 항아리[편집]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56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홍련마룡의 항아리,
일어판명칭=<ruby>紅蓮魔竜の壺<rp>(</rp><rt>ぐれんまりゅうのつぼ</rt><rp>)</rp></ruby>,
영어판명칭=Red Dragon Vas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를 발동할 경우\, 다음 상대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원작 효과
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원작에서는 아포리아와의 결전에서 등장한 레드 데몬즈 전용 욕망의 항아리.

OCG화 되면서 발동하는 경우 상대 턴 종료 시까지 소환 /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붙어서 쓰기 까다로워졌다. 레드 데몬즈를 소환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소환한 턴에는 이미 특수 소환을 했으므로 이 카드의 발동이 불가능하다. 한 턴 필드에서 버틴 후에 추가 전개를 포기해야 드로우가 가능한 것. 차라리 이 카드를 발동한 다음부터 일소,특소가 불가능한 효과였다면 그나마 나았을텐데, 아예 써먹지 못할 수준으로 만들어놨다.

2023년 스트럭쳐 왕자의 고동에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를 지원하는 카드가 많이 생겼지만, 이 카드는 여전히 다음 턴까지 소환을 틀어막는 효과 탓에 쓰기 어렵다. 애니에서 아몬 가람이 썼던 카드처럼 잔존 효과를 없애주는 카드라도 생기지 않는 한 이 카드는 사용될 일이 없을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1-02-1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EXVC-JP046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5-1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EXVC-EN046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6-1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EXVC-KR046 | 익스트림 빅토리
[[노멀|
N
노멀
]]



4.3. 앱솔루트 파워포스[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공격명을 따온 필살기 카드

4.4. 크림즌 헬가이아[편집]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서포트하는 효과들로 무장한 강력한 지속 마법 카드.

5. 함정[편집]



5.1. 크림즌 헬 플레어[편집]


파일:attachment/레드 데몬즈 드래곤/card7371304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크림즌 헬 플레어,
일어판명칭=クリムゾン・ヘルフレア,
영어판명칭=Crimson Fire,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앞면 표시로 존재하고\, 상대가 데미지를 주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대신에\, 상대는 그 효과 데미지의 두 배의 데미지를 받는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공격명 필살기 카드.

효과 데미지를 2배로 받아치는 효과로 발동에 성공만 하면 매우 강력한 효과이며, 이 카드 또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카드명이 쓰여 있기에 왕자의 고동에서 새로 나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필드에 레드 데몬즈가 필요한 데다가 효과 데미지를 주는 마법 / 함정 카드의 채용률도 낮아서 사용할 가치가 떨어지는 카드다.

원작에서는 유세이의 메테오 스트림을 씹고 반격을 날렸지만 백은의 방어막 -실퍼 포스-역관광당했다. 마침 카드 일러스트도 뭔가 배리어같은거에 막혔다.

이후 팀 태양과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 요시조가 스피드 월드 2의 효과로 800 데미지를 주자 이 카드로 뻥튀기해 1600 데미지로 돌려줘 요시조를 탈락시켰다. 원작에선 몬스터도 카운터칠 수 있고 효과의 발동에도 반응할 수 있지만, 현실에선 카드의 발동에만 반응하기에 현실판 효과였으면 발동이 막혀서 그대로 데미지를 허용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장렬한 전투
RGBT-KR064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RAGING BATTLE
RGBT-JP064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DUELIST EDITION Vol.3
DE03-JP150
노멀
일본

Raging Battle
RGBT-EN064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수록 시리즈
2011-02-1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EXVC-JP046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5-1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EXVC-EN046 | Extreme Victory
[[노멀|
N
노멀
]]

2011-06-1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EXVC-KR046 | 익스트림 빅토리
[[노멀|
N
노멀
]]


5.2. 스크린 오브 레드[편집]


파일:スクリーン・オブ・レッ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스크린 오브 레드,
일어판 명칭=スクリーン・オブ・レッド,
영어판 명칭=Red Screen,
효과외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엔드 페이즈마다 1000 LP를 지불한다. 1000 LP를 지불할 수 없는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묘지의 레벨 1 튜너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공격력 2000이하의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할 수 없다. 또,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엔드 페이즈 시에 2000포인트 대미지를 받는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경우,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이나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을 소환하라고 준 카드. 매 턴 1000 LP 지불은 조금 뼈아프지만 강력한 공격 봉인 효과는 매력적이다. LP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 같은 덱에 유용하다. 참고로 텍스트 보면 알겠지만 LP를 지불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지불할 수 없을 때 파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1000 LP 남은 상황에서 자신 엔드 페이즈가 돌아오면 지불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LP가 그대로 0이 된다. 물론 악몽의 신기루-비상 식량 콤보의 응용편으로 상대 턴에 발동해 공격을 봉쇄하고 엔드 페이즈가 오기 전에 파괴하거나 하는 활용법도 있다. 태그포스 등의 게임에선 잭이 이 카드를 이용해 위기에서 탈출하는 경우가 많다만 라이프 생각을 안 하고 막 발동하다 이 카드 때문에 자멸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엑시즈 소환의 등장으로 그레비티 바인드레벨 제한 B구역 등의 공격 봉인 효과가 엄청나게 약화되었으므로 이 카드의 유용성이 조금 올라갔다.

애니에서 홍련의 악마의 종과 쓸 때 나온 이 카드는 발동 직후 파괴되었다. 여기선 LP가 2000이나 필요한 카드였으며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있을 때의 파괴 + 튜너 특수 소환 효과도 없었다. OCG가 더 좋아진 경우.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STBL-KR064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ARSTRIKE BLAST
STBL-JP064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arstrike Blast
STBL-EN064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5.3. 스카레드 코쿤[편집]


파일:スカーレッド・コク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스카레드 코쿤,
일어판 명칭=スカーレッド・コクーン,
영어판 명칭=Red Cocoo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S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 엔드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지속 함정
발동 후 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1장의 장착 카드가 된다. 장착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배틀 페이즈 동안에만 그 상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장착된 이 카드가 파괴된 턴의 엔드 페이즈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후도 유세이와의 마지막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하이스피드 라이더즈에서 4년만에 OCG화되었다.

원작에서는 지속 함정이었고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전용 카드였다.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전용 장착 함정으로 장착 몬스터에게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스탭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③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는 위치를 따지지 않으므로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져도 엔드 페이즈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5.4. 스카레드 존[편집]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는 지속 함정 카드.


5.5. 데먼즈 골렘[편집]


자신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때 이 카드를 발동할 경우, 덱 / 묘지에서 데먼즈 체인 1장을 필드에 세트할 수 있는 함정 카드.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